View : 9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숙남-
dc.creator김숙남-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5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tient teaching in the home on self-care knowledge and behavior levels of persons receiving CAPD. The purpose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individual health education on self-care knowledge and behavior of clients receiving CAPD at home and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Orem's Self-care Model to direct nursing practice. The research used a pre-experimental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subjects were twenty persons receiving CAPD at home and attending out-patient renal clinics in five general hospitals in Pusan and Jinju.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st to October 16th 1992, through questionnaires, observation, interviews and during direct patient teaching on home visit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Self-care Compliance Scale developed by Park, Ok-Soon which consisted of 46 items related to self-care knowledge and behavior related to CAPD.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mean, MANOVA and ANOVA tests with repeated measures by a SAS computer program.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verage Self-care Compliance scores between the pre-test and first and second tests. (Subjective Self-care Compliance level: F=104.6, P[.0001; Objective Self-care Compliance level: F=192.8, P[.0001; Total Self-care Compliance level: F=146.6, P[.0001) 2.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also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first te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sts and between the pre-test and the second test. The greatest effect of patient teaching wa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first test after the first educational home visit(pre-test and first test: F=248.7, P[.0001; first test and second test: F=173.6, P[.0001; pre-test and second test: F=306.67, P[.0001). 3. No client characteristics or clinical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Self-care Compliance scores. 4. After the second test, the item with the lowest score in subjective self-care compliance was "sufficient activity". The item with the lowest objective self-care compliance was "shortness and tightness of breath". In this study patient teaching with CAPD clients elevated the degree of self-care knowledge and behavior. If self-care knowledge and behavior in CAPD patients is to be promoted, the nurse as an educator should reinforce and teach relevant knowledge and skills to enhance a healthy and valued life style.;현대에 들어와서 경제수준과 의학의 발달은 국민의 건강수준을 향상시켰지만 질병의 양상은 선진국형으로 바뀌면서 비전염성 질환과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성질환의 간호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도록 하며 증상을 조절하는 것 뿐만 아니라 환자가 증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가능한 정상생활을 하고 양질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특히 만성신부전 환자들은 증상조절을 위하여 신이식이나 혈액투석, 복막투석으로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복귀성이 높고 혈액투석의 단점을 보완한 계속적 보행성 복막투석이 권장되고 있으며 해마다 환자 수가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복막투석 요법은 환자가 직접 가정에서 시행함으로 인해서 오는 여러가지 문제점과 합병증으로 인해 복막투석을 중단하거나 다른 치료로 전환하는 환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복막시술 후에 1-2회의 교육을 받고 퇴원하여 가정에서 부적절한 자가관리로 인해 복막염 및 기타 합병증에 이환되는 경우가 많으나, 계속 교육의 기회나 제도가 주어져 있지 않은 현 실정에서 환자들은 복막투석의 치료상의 잇점에도 불구하고 복막투석을 중단하거나 사망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가간호가 요구되는 가정에서 복막투석 요법을 시행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교육을 실시하여 자가간호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Orem의 자가간호 모델을 적용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K제약회사에 등록하고 있으면서 부산과 진주시내 종합병원 외래를 정기방문하고 있는 대상자로서 가정방문을 허락한 20명을 대상으로 1992년 9월 1일부터 10월 16일 까지 46일 동안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절차는 1차방문에서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를 측정한 후 부족한 부분을 교육하고, 2차방문에서는 1차방문의 교육효과를 측정한 후 부족한 부분을 재교육 하였으며, 3차방문에서는 2차방문에서의 재교육 효과를 최종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는 박 옥순(1986)이 제작하여 사용한 것으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46문항으로서 26문항은 환자가 직접 자가보고식으로 응답하는 주관적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이행정도로 하였고, 20문항은 연구자가 직접 관찰, 면담하여 측정하는 객관적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로 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Alpha=.86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교육을 위한 자료는 부산시내 2개 종합병원과 서울시내 1개 종합병원 에서 사용하고 있는 복막투석 환자 교육 프로그램과 문헌고찰을 통하여 연구자가 작성 후 지도교수 및 내과의사 1인, 복막투석실 간호사 2인에게 자문을 얻어 수정, 보완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로 전산처리 하였으며, 백분율, 평균값, 반복측정법에 의한 MANOVA test와 ANOVA test를 통계 기법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방문을 통한 교육은 복막투석 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에 사전조사와 1차조사 2차조사 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평균값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관적:F=104.6, P[.0001, 객관적:F=192.8, P[.0001, 전체:F=146.3, P[.0001) 2.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의 시기별 교육효과에서는 사전조사와 1차조사, 1차조사와2차조사, 사전조사와 2차조사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개별교육의 효과는 사전조사와 1차조사 사이인 처음교육에서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조사와1차조사:F=248.7, P[.0001, 1차조사와2차조사:F=173.6, P[.0001, 사전조사와2차조사:F=306.67, P[.0001 ) 3 .교육시기에 다른 주관적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의 내용을 살펴보면 사전조사에서는 투석에 따르는 일상적인 관리인 마스크 사용, 교환실의 환기와 청소, 매일 목욕하는 것과 속옷을 청결히 하는 것, 체중측정, 식이조절, 활동과 운동에서 30%이하의 지식과 수행정도를 나타내었으며, 사후 조사에서는 적당한 활동을 한다만이 30%이하의 지식과 수행정도를 나타내었다. 4. 교육시기에 따르는 객관적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의 내용을 살펴보면 사전조사에서는 다리에 경련과 변비발생시의 대책, 카테타간호시의 준비물품에서만 30%이상의 지식과 수행정도를 보였으며 사후조사에서는 숨이차고 가슴이 답답할때의 대책에서만 30%이하의 지식과 수행정도를 나타 내었다. 5.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특성에 따르는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에서는 평균값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에서 나타난 결과에서 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이 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한 바 간호사는 복막투석을 시술받은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지식과 기술을 강화하여 자가관리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하여야 한다고 본다. 특히 이러만 교육은 복막투석 환자의 지식과 수행정도가 낮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복막투석 환자에 대한 교육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취약지역 환자에게 교육과 평가가 더욱더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막투석 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하는 간호수행의 자료가 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 7 A. 복막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 7 B. 복막투석 환자의 교육과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과의 관계 = 12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설계 = 16 B. 연구대상 = 16 C.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17 D. 연구도구 = 18 1.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 = 18 2. 환자교육 자료 = 19 E. 자료분석 방법 = 20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1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21 2. 질병과 관련된 제 특성 = 22 B. 교육을 통한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의 차이 검정 = 25 C. 교육을 통한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의 시기별 차이검정 = 27 D. 교육시기에 따른 자가간호에 관한 교육내용의 분석 = 30 1. 교육시기에 따른 주관적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의 교육내용 분석 = 30 2. 교육시기에 따른 객관적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의 교육내용 분석 = 32 E.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의 차이 검정 = 37 Ⅴ.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4 부록 = 51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838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dc.title가정방문을 통한 환자교육이 복막투석 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