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영지-
dc.creator진영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9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30-
dc.description.abstract한국 교회의 탁월한 숫적성장을 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회 과정에서 이루어진 대량주의의 산물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도 현금에 이르러 다소 정체한 듯한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현대한국사회가 고도의 기술사회구조로 전환됨으로써 야기된 다원주위적 경향이 물신적 세속화를 심화시킨 것에 기인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이러한 상황 속에서의 교회공동체가 세상 속에서 부름받은 백성으로서 빛과 소금이라는 선교적 삶을 상실하고 체제유지에 만족하는 안일한 태도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 또한 지적될 수 잇다. 그러나 교회사를 살펴보면 비대화된 교회의 타락과 부패로 복음선포의 기능이 약회되었을 때 제도교회 내에서 또다른 독립된 형태의 소공동체가 개혁운동을 주도함으로써 교회갱신과 선교사역을 담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신·구약성서와 교회사에 나타나는 이들 공동체는 당대 제도교회가 갖지못한 역동적 생명력을 가지고 단순하고 투명한 삶으로 선교를 하는 소수의 헌신되고 자발적인 비형식적 평신 도공동체로 출발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독립된 형태를 띄고 있으며 교회의 사도성을 인정하기에 제도교회와 내적 일치를 보유했던 성서적 선교구조였다. 그러므로 현대 한국교회는 이러한 이해를 기초하여 기독교적 영성의 회복과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위해 선교부나 선교회와의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연합과 일치의 유기적 선교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The eminent easy progress of the Korean church has come under an object of the criticism that it ought to be seen as a product from the process of rapid 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60's. Arriving to today, however, even this growth seems show ing a phenomenon of the rather stagnant. May be it is because the pluralist tendency that caused by the conversion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to a high technosocietal structure has deepend the both mental and material secularization. At the same time, also may be found in this condition the reality that church community, likewise, loosing the evangelical life as the light and salt, that is, as the people called by God, does not escape an easygoing attitude satisfi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system. Exploring the church history, however, there always have been some small communities of different, independent from who have leaded reform movements for the church renewal and positive participation in Missionary Works, within any institutional church, when the degenerated, corrupt and corpulent church attenuated the function of evangelism. This communities, appeared in the New and Old Testaments, and, also, in the church history, first started as small number of devoted, spontaneous and informal communities of laiety who lived simple and transparent lives and did their missionary works with such dynamic vitality that the institutional church of that times might not possess. Though their activities took on separate forms, they ought to be a structure of Biblical gospel preaching which kept an innerunity with the institutional church, since they also recognized the role as apostle of church. Therefor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Korean Church, it seems, should head for the organic missionary work of union and harmony within inter-complemental relations with evangelical sub-divisions or societies for the revival of Christian spirituality and effective missionary role-play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1. 문제제기와 목적 = 1 2. 연구내용과 방법론 = 2 Ⅱ. 선교와 공동체 = 4 1. 선교의 성서적 기초인 지상위임령 = 4 2. 지상위임령과 선교공동체 = 6 3. 성서안의 선교공동체 = 9 A. 구약의 선교공동체 = 9 B. 신약의 선교공동체 = 12 Ⅲ. 선교공동체 운동의 역사 = 16 1. 중세 수도원과 선교 = 16 A. 아일랜드 수도원의 선교 = 17 B. 13세기 탁발수도교단의 선교 = 19 a. 프란체스코와 작은 형제들 = 20 b. 도미니크와 그의 교단의 선교 = 22 c. 탁발교단의 교회사적 의의 = 24 2. 경건주의 운동과 선교 = 25 A. 스페너(Spener)와 경건주의 운동 = 25 B. 프랑케(A.H.Franke)와 할레대학의 선교 = 28 3. 모라비안과 선교활동 = 33 A. 진젠도르프와 모라비안 = 33 B. 모라비안 선교의 영향과 의의 = 36 4. 세계복음화를 위한 학생지원운동 = 37 A. 헤이스택(Haystack) 기도회와 선교운동 = 37 B. 학생지원운동과 세계선교 = 38 C. S.V.M운동의 의의와 영향 = 41 Ⅳ. 한국 대학생 선교회 = 42 1. C·C·C운동과 세계 복음화 = 42 2. 세계 복음화를 위한 방법론 = 44 A. 기본구조와 제자화사역 = 44 B. 지도자 육성의 제구조(諸構造) = 45 C. 한국대학생선교회와 세계선교 = 46 3. C·C·C운동의 의의와 영향 = 47 4. C·C·C운동의 한계와 문제점 = 49 Ⅴ. 결론 = 50 1. 요약 및 평가 = 50 2. 동력을 위한 제언 = 52 참고문헌 = 55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897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기독교학과 선교신학 전공-
dc.titleSODALITY 구조인 선교공동체 모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