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인숙-
dc.creator김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8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23-
dc.description.abstract本 論文은 上衣下裳과 더불어 古代 中國의 固有한 服制였던 深衣制度에 대하여 考察한 것이다. 深衣는 中國에서 그 由來가 상당히 오래되어 周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 착용범위가 매우 넓어 上下貴賤 및 吉凶을 가리지 않고 입었다. 즉 天子·諸侯에게는 燕居服으로 착용되었고 士大夫에게는 朝服 및 祭服의 다음가는 服으로 착용되었으며 庶人에게는 吉服으로 착용되었다. 家禮를 행할 때에는 冠禮 및 喪禮服으로도 사용되었다. 宋代에 이르러 朱熹가 家禮에 推據한 이래로 특히 儒學者들이 崇尙하여 많이 착용하였다. 深衣는 中國歷代를 통하여 계속 襲用 되어져 왔고, 거의 모든 衣服을 만드는데 하나의 원본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后婦의 朝服 및 蠶服은 모두 深衣制에 의거하여 만들었고, 天子의 絳紗神 및 中單등도 또한 그러하였다. 즉 長神類가 禮服化 하게된 始原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高麗 中期以前인 것으로 보고 있으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고, 高麗史 睿宗條에 王이 喪服으로 착용하였다는 記錄이 었어 睿宗朝 이전에 전래된 것만은 틀림없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일반 儒學者들에게 입혀지기 시작한 것은 高麗末 宋學의 傳來부터인 것으로 본다. 이후 朝鮮王朝時代 全般을 통하여 舊韓末까지도 계속 儒學者간에 애호되어 착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착용한 深衣制度는 朱子家禮에 의거하여 만든 것으로 中國制를 그대로 遵用하였다. 朝鮮王朝時代에 있어서는 주로 儒學者의 法服으로 崇尙되었고, 冠·昏·喪·祭등의 家禮에 禮服으로 사용되었다. 그 외에 朝鮮王朝時代의 文士들의 便服이었던 貼裏나, 大學生服이었던 欄衫, 儒生服인 학창의 등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인 深衣制度에 관해서는 禮記 玉藻 및 深衣 2篇을 비롯하여 諸儒의 서적에 그 논거가 허다하다. 그러나 사람마다 그 說이 紛紛하였는데 특히 禮記 원문의 '적임구변' 一句의 해석에 있어서 더욱 그리하였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도 이에 대한 明確한 사실을 알 수 없다. 深衣는 上衣下裳을 각각 따로 재단하여 合縫한 것으로 그 모양은 대체로 둥근 소매와 모난 깃을 가졌고, 길이는 복사뼈에 미친다. 또 깃, 소매부리, 등 옷의 가장자리에 모두 검은 선을 두른다. 그 형태가 몸이 넓고 소매가 커서 몸을 깊숙히 휩쌀수 있기 때문에 深衣라 하였다. 深衣의 材料는 白細布를 사용하였고 각부분의 치수는 대체로 人體의 自然的 길이에 따라 縫裁의 표준을 삼았다. 또 深衣의 各部分의 형태는 각기 특수한 意味를 內包하고 있다. 즉 소매는 둥그스름하여 規에 응하였는데 이것은 行春로 하여금 擧手揖議할 때 禮義를 지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모난 깃은 矩와 같이 方에 응한 것인데 方을 품음 으로서 그 뜻이 풀어지는 것을 막았으며 負繩을 등에 지므로서 政이 풀어지는 것을 바로 잡아 곧게 하였다. 下齊를 평평히 한 것은 뜻과 마음을 평안케 하기 위함이다. 深衣에는 幅巾과 大帶와 黑履를 부속물로서 함께 착용하였다. 本 論文硏究의 方法은 현존하는 실물을 求하지 못하여 文獻中心으로 諸說을 종합하였고 朝鮮王朝時代의 肖像畵를 참고로 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Simui system which was a dress regulation peculiar to old China with skirt and coat. The origin of Simui is a very long time, that is, before Ju dynasty in China. Its wearing range had a large circle irrespective of rank and good or bad luck. This was a ordinary dress to the Emperor or the lords, a below court attire or a below sacrificial rites attire to the illustrious officials, and good luck dress to the common people. But this was a funeral rites attire or coming-of-age ceremony attire in domestic behaviour. In the times of Song dynasty, lots of confucian scholars had put on this Simui because of Juhi's recommendation for domestic behaviour. This Simui had been put on through all the times of China and was the original text of all the dress. Especially the court attire and silkworm working dress of Empress, and the court attire and underwear court attire of Emperor is also made out of this Simui, therefore this is a origin of the ceremonial dress, which formed into long coat. In Korea it is said that this Simui was brought in prior to the middle of Goryeo dynasty. But we can't tell the correct transmitted age.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cords in Goryeo History. King had put on the Simui as a sacrificial rite attire in the times of Yejong" it is sure that this Simui was brought in prior to the times of Yejong. In fact, lots of confucian scholars had put on the Simui since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after that time this was taken by many confucian scholars through Yi dynasty. Korean Simui system was complied with Chinese system through confucian domestic behaviour. This was respected for court dress of confucian scholars, as it were, Chumri, (an ordinary dress of scholars), Nansam (a uniform of upper student), and Hakchangui (a uniform of confucian student). There are many data about Simui system in the bookk of Yeki, chapter Okcho and Simui, and other many confucian books. But we didn't demonstrate the theory about it till now. Especially there are diversities of opinions about the phrase of "Sok Im Ku Byum" in Yeki. Simui was cut in separate and then was stitched together in one piece. Generally its shape had round sleeve and angled lapel, its length reaches to the anklebone. And it has a line around the lapel, the sleeve band, and the edge of skirt. It is called Simui because the body can be wrapped deeply in broad width and large sleeve. The Simui was made of white fine linen and was cut by the natural size of body. Every part of Simui had a profound meaning; the round sleeve in compliance with regulation can keep a courtesy when a walker moves his hands and the angled lapel like a carpenter's square in compliance with square keeps them from loosing their justice and a string of the back also keeps them loosing from their righteousness and the flat lower part of Simui makes their heart and mind calm. This Simui was usually attendant on a head cover and belt made of cloth, and black shoes. This thesis was made a study of documents and portrait from Yi dynasty., for the actual object was not obtai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ⅲ 論文槪要 = ⅳ Ⅰ. 緖論 = 1 Ⅱ. 中國에서의 深衣의 由來와 그 服飾에 미친 影響 = 4 A. 深衣의 由來 = 4 B. 深衣의 襲用形態와 그 服飾에 미친 影響 = 8 Ⅲ. 深衣의 우리나라 傳來와 우리 服飾과의 關係 = 15 A. 우리나라 傳來 = 15 B. 우리 服飾과의 關係 = 20 Ⅳ. 深衣制度 = 24 A. 材料 및 마름에 쓰인 尺度 = 29 B. 各部의 形態 및 치수 = 32 C. 績衫鉤邊에 對한 辨證 = 50 D. 深衣의 各部形態가 갖는 意味 = 59 E. 深衣에 따르는 附屬物 = 65 Ⅴ. 結論 = 73 參考文獻 = 77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32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title심의고-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7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