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민-
dc.creator김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7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6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ttemp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the effective reference services at university libraries. Only when university library organizes reference collection based on the well-planned policy, can it establish the systematic reference collection, which can satisfy users, support continuity of work, spend budget more efficiently, and solve the space problem by weeding reference books. For this purpose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has been made according to questionnaire method and interview. (23 answers received) From the research the following facts have been found. 1. It is obvious that despite the lack of written policy or guidelines relating to the reference collection, reference librarians had little doubt about what was or was not a reference book. Heavy reliance was placed on a work's being reviewed or traditionally designated as a reference book, or being of a type almost always considered reference, so major point made was that the decision to put something in reference was often higly personal and sujective. 2. Among the 23 universities only 6 universities(26.1%) have specified polity for the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and only 4 universities(17.4%) have the written policy for reference book selection. 13 universities(56.5%) reported no specific written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e frequency of revised policy for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was not addressed by most libraries. Libraries offered ranged from "almost never" to "items themselves are reevaluated as needed or as requested." 3. Using CD-ROM and On-line databases for the reference services is in the beginning. But, there was general agreement that the manual tools, CD-ROM and On-line databases will both be needled and general acceptance of CD-ROM and On-line databases as a valuable new refernce source. 4. More formal use studies of reference book could provide a more objective basis for refernce book selection and weeding. Though empirical studies of use are almost nonexistent. Only 4 libraries(17.4%) admitted to conducting any kind of use study. Most librarians cited commonsense judgment or informal observation as their means of determinig "low use". 5. For effective management 12 universities weed the insufficient books from reference collection and 8 universities withdraw them from library collection. As the conclusion following suggestion have been made. 1. The written policy for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is necessary and specified policies are needed for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and policy of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should be utilised as working measure which would helpful in pratical reference service through perodic revision.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na guideline of university libraries should be depend on their situation. But to be an effective statement, the reference collection policy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basic elements objectives of the reference collection, subject scope of the collection, the optimum size of the reference collection, criteria for including or excluding publications within each of the major categories of reference materials, responsibility for selection, as well as procedures followed, priorities followed in selection, procedures for updating and weeding the reference collection. 2. Reference book selection work should be made ay the reference librarians who can identify the client needs. 3. For the prompt and comprehensive reference service, using on-line databases and CD-ROM for reference service would be very helpful. And it subsitutes information for expensive reference books, so that it can also help to reduce the budget for purchasing reference books. The use of CD-ROM reference tools and On-line databases was expected to have an increasingly significant impact on reference collection development in the future. 4. To promote the quality of reference collection, insufficient reference books should be weed from the reference collection and also this weeding process should be formalize by establishing written policy or guidelin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참고장서개발 현황 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인 참고장서개발을 이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찾고 도서관 실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제적인 정책이나 지침을 수립하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참고장서개발 정책에 의하여 장서를 구성하였을 때 이용자에게 만족을 주는 것은 물론 업무의 계속성 유지와 예산의 효율적인 사용 그리고 자료의 폐기에 따른 공간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체계적인 참고장서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질문지 및 면담을 통해서 현황조사에 응해준 총 23개 종합대학교 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고도서를 지정하는데 있어서 성문화된 세부적인 지침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참고사서는 별 의구심을 갖지 않고 관습적으로 참고도서로 지정되어 왔던 것 혹은 도서의 형태에 따라 참고도서를 결정하고 있어 무엇이 참고도서인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견이 개입될 여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고장서개발을 위한 별도의 정책이나 지침이 없는 도서관이 13개관(56.5%)이며, 선정정책만 존재한다는 도서관이 4개관(17.4%)이고 참고도서를 위한 별도의 성문화된 선정 및 폐기정책이나 지침이 수립되어 있는 도서관이 6개관(26.1%)이었다. 기존의 정책이나 지침이 존재한다고 밝힌 도서관들도 정기적으로 정책 및 지침을 개정하는 곳은 없었으며 정책이나 지침이 수립된 이후 한번도 개정한 적이 없다고 대답한 도서관도 4개의 도서관에 달해 기존의 참고장서개발 정책이 항상 참고해야 할 작업도구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째, 참고도서의 선정과 폐기결정에 체계적인 이용데이타의 수집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이용연구는 수행되지 않고 있었다. 실제로 참고도서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연구를 수행해 보았다는 도서관은 4개관(17.4%)에 불과하였고 대부분의 참고사서들은 저조한 이용을 상식적인 판단과 비공식적인 관찰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고 답하였다. 네째, 참고봉사를 위한 CD-ROM이나 온라인 데이타베이스의 이용은 저조하며 아직 초보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D-ROM과 온라인 데이타베이스가 인쇄자료와 함께 새로운 참고정보원으로 이용될 것이라는 데에는 일치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효율적인 이용관리를 위해서 참고도서를 별치 혹은 폐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살펴본 결과, 별치만 수행하고 있다는 도서관이 12개관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별치와 폐기를 모두 행하고 있다고 대답한 도서관이 8개관이었고 별치와 폐기 양쪽 모두 수행하지 않는다고 답한 도서관도 3개관에 이르렀다. 폐기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폐기기준의 미비 때문이었는데 선정과정에서와는 달리 사서들은 어떠한 근거없이 폐기를 수행하기를 꺼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였다. 첫째, 참고도서의 특성을 고려한 별도의 참고도서의 선정, 유지와 관리 그리고 폐기 등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성문화된 참고장서개발 정책 및 지침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은 정기적인 개정을 통하여 도서관에서 행해지는 참고업무절차를 재대로 반영함으로써 실제 참고업무에 도움이 되는 작업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또한, 효과적인 참고장서개발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각 도서관에 따라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정책의 목적, 장서의 주제범위, 적절한 장서의 규모, 포함되거나 제외되어야 할 참고자료의 범주, 선정의 우선순위, 선정의 책임과 수행절차, 자료의 폐기 및 장서점검에 관한 기술 등의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참고도서의 선정은 참고사서에 의해 혹은 참고사서와의 긴밀한 협조아래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참고봉사에서 CD-ROM 및 온라인 데이타베이스의 활용은 신속하고 광범위한 정보봉사는 물론 값이 비싼 참고도서의 대체기능으로서 도서구입비의 절감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실제 이용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저조한 이용을 보이고 있는 참고도서를 식별해내고 이러한 이용데이타를 근거로 한번도 이용되지 않은 혹은 저조한 이용을 보이는 참고도서의 별치 및 폐기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가 있습니다. 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C. 선행연구 = 4 Ⅱ. 참고장서개발 정책의 의의 = 8 A. 참고장서개발의 원리 = 8 B. 참고장서개발 정책의 필요성 = 20 C. 참고장서개발 정책의 사례 = 25 Ⅲ. 참고장서개발 현황 분석 = 34 A. 참고장서의 구성 = 34 B. 참고장서개발 정책의 성문화 = 41 C. 참고자료의 선정 = 46 D. 참고도서의 이용연구 = 52 E. 참고도서의 폐기 = 55 Ⅳ.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7 부록 = 72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202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
dc.title대학도서관의 참고장서개발 정책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