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소극장춤에 관한 연구

Title
소극장춤에 관한 연구
Authors
김현주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의 다양해진 문화권내에서 소극장이라는 공간은 볼가피하게 마련된 문화현상의 한 단면으로 이해되고 있다. 정형적이고 규격화된 대극장 공간이 보수적이며 권위주의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지는 반면, 소극장은 생생하게 살아움직이는 실험의 장이고 삶에 근접된 새로운 문화 창출의 공간으로 평가 받아왔다. 획일화된 사회구조내에 자율성을 가진 작은 문화공간으로서의 소극장은 그자체로도 의미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반복된 실험이 정형화되고, 자유로운 교섭을 통한 관객과의 만남이 부담감으로 증폭되면서 소극장춤에서 얻었던 소극장춤 나름대로의 특성이 정착을 지나 정체의 시기로 도래했다. 1992년 '춤의 해'를 깃점으로 문화시민의 시선은 춤의 회복에 다가섰으며, 또다시 젊은이들의 숨결로 새로운 문화의 태동이 기대되는 싯점에 놓여있다고 판단된다. 그 동안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진지한 예술성 추구에 개별 작가들의 응집력이 모아진다면 소극장춤의 시대는 단순한 형식적 구호을 띤 단기적운동으로 그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소극장춤의 확산은 결국 보이지 않는 구속으로부터 예술적 자율성을 확보하려는 잠재의식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논고는 소극장춤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함에 있다. 춤의 바람직한 미래상 모색에 있어 춤이 나아갈 방향 제시에 있어 소극장춤의 기여도는 현저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pace which is the little theatre is being understood as once section of culture phenomenon prepared inevitably, in the modern diversified culture bloc. While the fixed and standardized space of big theatre is accepted as the conservative and authoritarian concept, little theatre has been evaluated as the vividly living and moving experiment place and as the space of new culture creation close to life. In the unified society structure, the little theatre as the little culture space which has autonomy has the meaning itself. But, while the repeated experiment is being fixed and the meeting with spectators through free discussion is amplified as the burdensome feeling, the feature in the own way of little theatre dance which was obtained from the little theatre dance presented itself as the period of stagnation by passing through fixation. The eyes of culture citizens were attracted to the restoration of dance with the year 1991, the year of dance as the starting point, and it is judged that it is the point of time that the quickening of new culture is expected with the breathing of youths again. If the cohesion of the individual artists is gathered to the genuine pursuit of artistic nature which came to the fore as the point at issue in the meantime, there will be not the matter that the period of little theatre dance stops with the short-term campaign to take on the simple formal slogan. Because it can be said that the spread of little theatre dance is the product of subconsciousness to try to secure the artistic autonomy from the invisible restraint after all. Thus, this study is to try to freshen the recgonition abou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little theatre dance. It is judged that the contribution degree of little theatre dance will appear remarkably, in the groping of desirable image of future of dance, and in the presentation of direction that the dance will adv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