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미-
dc.contributor.author오현아-
dc.creator오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창작능력(독창성, 다양성, 표현력, 구성력, 연속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 예술 고등학교와 I 예술 고등학교의 무용 전공자 중 2학년 외국 무용 전공자 16명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2008년 4월부터 5월에 걸친 4주 동안 주 2회, 총 8차시의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회당 90분씩 I 예술 고등학교 무용실에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이와 같이 실험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실험을 적용하지 않은 다음, 두 집단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ㆍ사후 검사치를 바탕으로 실험적용의 효과를 분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예술 고등학교 무용 전공자들의 창작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평가 도구는 무용 창작능력 평가지(criteria of Evaluation for Creative Ability in dances: 김화숙, 1989)를 활용하였으며, 예술계 고등학교와 대학 무용과에 재직 중인 무용교사로 구성된 3명의 평가단에 의해 평가되었다. 이 평가지의 구성은 창작 능력을 독창성, 다양성, 표현력, 구성력, 연속성의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되며, 각 하위요인은 각각 4가지로 평가관점이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척도에 의한 점수가 높을수록 창작 능력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자료분석 방법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의 차이검증(t-test)을 통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사전-사후 창작 능력의 차이를 보기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Nova)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창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다양성, 표현력에 유의미한 차이(p>0.5)가 없었다. 둘째.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독창성, 구성력, 연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p>0.5)이 있었다. 셋째. 통제집단의 사전ㆍ사후 검사치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는 보이지 않았지만, 창작능력 평균점수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모티프 움직임 창작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통제집단도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창작 능력이 향상되었지만,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프로그램을 적용한 현장 교육을 통해서 무용 전공자의 창작능력 향상에 더 큰 효과가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는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단계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움직임 기호를 이용하여 움직임의 요소를 이해하고 창작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창작 능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신장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되었다. 결국 전문 무용교육을 위한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교육의 지속적인 연구는 무용 전공자들이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하고 경험하여 움직임을 창작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전문적인 창작교육으로서 창작 능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더불어 잠재된 예술적 재능을 신장 개발하여 창의적인 예술인으로 나아 갈 수 있는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program on, by applying it on the, creative abilities (originality, diversity, expressiveness, composition and continu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In order to accomplish above goal, this Study selected 16 2nd year students at the K Art High School and I Arts High School who are majoring in foreign dancing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Research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chosen students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with 8 students.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program was execu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8 occasions, 2 times a week over 4 week period from April to May, 2008. Each execution lasted 90 minutes and was carried out at the dance studio of the I Arts High School. After having applied such experiment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 experiment on the control group, ex post facto examina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preliminary examination, was carried out on both groups.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deduced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 on the basis of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preliminary/ex post facto examinations. Criteria of Evaluation for Creative Ability in dances (Kim, Hwa Sook, 1989) was used as evaluation tool to verify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Arts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and evaluation was carried out be evaluation group compose of 3 dancing teachers working at arts high school and department of dance at university. The criteria for evaluation is composed of 5 subcategories including originality, diversity, expressiveness, composition and continuity, with each subcategory compose of 4 evaluation perspectives. Higher scor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 signifies greater creative ability in dancing. Similarity examination of the 2 groups was carried out through verification of differences (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rough data analysis method, and Two-way ANOVA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reliminary -ex post facto creative ability between the groups. Results of research that analyzed the effect of the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program on the creative ability of arts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through aforementioned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versity and expressiveness (p>0.5)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program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originality, composition and continuity (p>0.5)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program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ues between preliminary and ex post facto examination of the control group, the average score of creative ability increased. According to above results, although the creative ability i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program also illustrated improvement in the ex post facto examination in comparison to the preliminary examin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greater effect can be achieve in improvement of creative ability of those majoring in dancing through on-site education to which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program is applied. It is deemed that the positive effect has been imparted on more effectively increasing creative ability by enabl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movement and experiencing the process of creation by using diverse range of movement symbols in the stage of applying the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program. In conclusion, continuous research on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education for specialized dancing education not only play affirmative role on creative ability as specialized creation education that values the process of creating movement by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by those majoring in dancing but also will play important role in enabling the students to become more creative artists by enhancing and developing potential artistic tal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5 C.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창작교육의 개념 및 교육현황 = 7 1. 창작 무용교육의 개념 및 가치 = 7 2. 예술 고등학교 창작 무용교육 현황 = 10 1) 창작 무용교육 현황 = 10 2) 창작 무용교육 프로그램 = 15 B.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 18 1.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교육의 개념 = 18 2.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 교육의 특성 = 21 Ⅲ. 연구 방법 = 34 A. 연구의 참여자 = 34 B. 연구의 절차 = 35 C. 연구 도구 = 37 1.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프로그램 = 37 2. 무용 창작능력 평가지 및 평가 방법 = 41 D. 자료분석 = 4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6 Ⅴ. 결론 = 57 참고문헌 = 60 부록 1.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 프로그램 지도안 = 64 부록 2. 자기 평가지 = 80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36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창작교육이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창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motif writing movement creation education on creative ability of arts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dc.creator.othernameOh, Hyon Ah-
dc.format.pageⅷ,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