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혜진-
dc.contributor.author유리현-
dc.creator유리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50-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focuses on impact assessment of events hosted by foreign embassies and cultural centers in Korea. The paper covers the status of events and impact assessment of the events, with an emphasis on methods of event impact evaluation, application methods, categories of evaluation criteria and relevance of each criter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assessing the impact of events, or as a theoretical basis for event impact assessment. Literature review and a pilot study were performed before conducting the main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The literature reviews and pilot studies identified the following as the main evaluation categories Numbers (i.e., number of participants, revenue, counts of media exposure, purchase and contract ratios, and amounts of budget saved), Feedback(i.e., from participants, mass media, the general public, superiors and VIPs, and people in charge of the events) and Others (i.e., protocol details, attendance of celebrities, event recognition, phone calls asking questions, and various form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entities). The main survey identified the annual numbers of events hosted by foreign embassies and cultural centers in Korea, type of events most often hosted, purpose of the events and methods of event promotion, along with the evaluation status, including the timing and methods of impact assessment and people who conduct the assessment. The relevance of each assessment criterion and event organizers’ thoughts on impact assessment are also themes covered in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while many of the surveyed institutions perform evaluations of their events, some still do not see the necessity or understand how to conduct an assessment. As the paper contains research conducted on event managers at actual embassies and cultural centers, it should serve as guidance for staff at other institutions where evaluation is not yet taking place. The paper should also contribute to expertise in the event-planning profession. However,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sizes and purposes of the institutions surveyed, it would be unwise to prematurely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 more comprehensive study is required for the full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vent impact valuation model.;이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주한 외국대사관 및 문화원 이벤트의 효과평가를 중심으로, 시행된 이벤트의 주요 현황 및 특징과 이벤트 효과평가의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특히 이벤트 효과평가 방법 및 방법별 활용도와 평가항목 및 항목별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이벤트 효과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또한 이벤트 효과평가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문헌연구와 예비조사를 실행하였으며, 다음으로 설문 조사법으로 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여 이벤트 현황, 효과평가의 실태 및 평가 항목의 중요도 등을 파악하였다. 문헌조사와 예비조사 결과 이벤트 효과평가의 항목은 수치(참가자 수, 수입, 미디어 노출회수, 구매율 및 계약률, 예산절감), 피드백(참가자, 매스컴, 대중, 상사 및 VIP, 담당자), 기타(의전, 유명인 참석, 인지도, 문의전화, 각종교류/협력) 로 파악되었다. 본조사는 주한외국대사관 및 문화원의 연간 이벤트 개최 횟수와 자주 개최하는 이벤트의 유형, 이벤트의 목적, 이벤트 홍보 방법을 밝혔으며, 이벤트 효과평가의 시기와 방법, 평가 담당자 등 평가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벤트 효과평가 항목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이벤트 담당자들의 효과평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상당수의 기관에서 효과평가를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도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실제 주한 외국대사관 및 문화원에서 이벤트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임으로, 아직 효과평가를 시행하고 있지 않는 다른 기관의 담당자들에 대하여 간접적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벤트효과평가 분야에 적용할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이벤트 사업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대상인 주한 외국대사관 및 문화원의 규모와 성격 등에서 다양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있고, 향후 연구는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이벤트 효과평가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이벤트 = 6 B. 이벤트의 효과 = 16 C. 이벤트 효과 측정 = 23 Ⅲ. 연구 방법 = 30 A. 연구절차 = 30 B. 연구방법 = 31 Ⅳ. 연구결과 = 34 A. 신뢰도 및 타당성 = 34 B. 인구통계학 특성 = 37 C. 이벤트 현황 = 39 D. 이벤트 효과평가 실태 = 43 E. 이벤트 효과평가 항목 및 인식 = 49 F. 이벤트 개최 현황에 따른 평가 현황 검증 = 56 Ⅴ. 결론 = 60 A. 연구결과의 요약 및 의의 = 60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4 부록: 설문지 = 67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90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주한 외국대사관 및 문화원의 이벤트 현황 및 효과평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Events Status and Evaluation of Foreign Embassies and Cultural Offices in Korea-
dc.creator.othernameYoo, Ri Hyun-
dc.format.pageⅸ,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