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희-
dc.contributor.author이민정-
dc.creator이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8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0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802-
dc.description.abstract관상동맥질환은 심각한 건강문제로 우리나라에서 급증하고 있으며, 2006년 신생물 사망률에 이어 순환기계 사망률이 2위를 차지하고 있고, 관상동맥질환의 외과적 중재술인 관상동맥우회술의 증례는 증가하고 있다.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대상자는, 질병의 진단에서 치료과정까지 여러 가지 친숙하지 못한 사건들을 경험하게 되고, 증상이나 수술 후의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질병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은 질병과 관련하여 무력한 반응을 나타나게 하고,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가 회복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확실성과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소재 1개 종합병원의 흉부외과 외래 대상자 102명이며, 자료수집은 2008년 10월 6일에서 11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7문항,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4문항, 불확실성 23문항,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15문항과 건강 관련 삶의 질 36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서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평균 60.85±8.62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에서 위험평가는 평균 15.87±6.36점, 기회평가는 평균 16.14±5.88점으로 낮았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평균 39.09±6.36점, 정신적 건강은 평균 42.42±7.8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2. 불확실성은 성별(t=-.3.235, p=.002), 연령(F=2.957, p=.036), 교육 정도(F=6.921, p=.000), 경제 상태(F=4.175, p=.0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중 위험 평가는 교육 정도(F=2.606, p=.040), 기회 평가는 성별(t=2.193, p=.03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성별, 연령, 교육 정도, 배우자 유무, 경제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적 건강 또한 성별, 연령, 교육정도, 배우자 유무, 경제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불확실성은 수술 후 경과기간(F=3.528, p=.018), 재원일수(F=3.768, p=.02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중 기회 평가는 수술 후 경과기간(F=2.933, p=.037), 기저질환(F=2.809, p=.04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수술 후 경과기간, 기저질환, 재원일수, 합병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적 건강 또한 수술 후 경과기간, 기저질환, 재원일수, 합병증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불확실성은 불확실성의 위험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r=.297, p=.002),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위험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회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r=-.293, p=.003),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기회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높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낮게 나타났다. 불확실성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불확실성은 만성 질환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평가되어 졌기 때문에,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고, 반복연구를 시행하여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후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02 CABG clients from 1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Appraisal of Uncertainty Scale and SF-36 version 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program. The actual number,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tak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uncertainty was 60.85±8.62. Danger appraisal and opportunity appraisal were 15.87±6.36 and 16.14±5.88. The mean score of physical component score and mental component score were 39.09±6.36 and 42.42±7.89.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uncertainty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al status, financial status; in danger appraisal according to educational status; in opportunity appraisal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uncertainty according to postoperative periods, length of stay; in opportunity appraisal according to postoperative periods, comorbidit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isease and treatment related characteristics. 4.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danger,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opportunity. The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uncertainty of CABG clients was hig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higher uncertainty was, however, the higher danger appraisal was, while opportunity appraisal was lower. Thus, nurses need to identify, monitor and assist clients undergone CABG at risk for uncertainty and an appraisal of danger. Efficient and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Ⅱ. 문헌고찰 = 6 A. 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대상자의 간호 = 6 B. 불확실성 = 8 C.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 11 D. 건강 관련 삶의 질 = 13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 설계 = 15 B. 연구 대상 = 15 C. 연구 도구 = 15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 18 E. 자료 분석 = 18 F. 연구의 제한점 = 19 G. 윤리적 고려 = 1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0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0 B. 연구 대상자의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 22 C.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 24 D. 일반적 특성과 치료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 27 E.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와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 = 38 Ⅴ. 결론 및 제언 = 41 A. 결론 = 41 B. 제언 = 44 참고문헌 = 45 부록 = 53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64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퇴원 후 회복기 관상동맥우회술 대상자의 불확실성, 불확실성에 관한 평가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dc.creator.othernameLee, Min Jung-
dc.format.pageⅵ,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