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철-
dc.contributor.author최지윤-
dc.creator최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0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03-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인에 대한 의료행위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없는 환자들은 스스로 자기의 이익에 부합하는 치료결정을 실행시킬 수 없는 자이고, 따라서 타인의 악의적인 행위로 인한 위험에 무력하게 노출될 수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각별한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그들을 향하여 직접적인 효력을 가지는 대리의사결정의 본질을 성찰하여 그 근거와 한계를 분명히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리의사결정의 정당화 근거와, 환자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대리결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의료행위, 특히 회생불가능 환자에 대한 말기의료(terminal care)에 내재하는 특수한 일신전속적 성질에도 불구하고, 개개의 사실적 의사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채, 환자를 획일적인 표지로써 이분법적으로 규율하는 기존의 ‘무능력자’ 제도의 한계를 논한다. 그 다음으로 ‘대리의사결정’이 타인에 의해 수행되는 결정임에도 불구하고 환자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야기할 수 있는 유효한 의사결정으로 승인되는 그 정당화 근거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Beauchamp & Childress(1978), Buchanan & Brock(1990)의 연구―와 판례들을 고찰하였으며, 기존의 견해가 가지는 문제점을 비판함과 동시에 이를 토대로 대리의사결정의 정당화 근거에 대한 재규명을 시도하였다. 또한 어떻게 결정하는 것이 환자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결정인가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최선의 이익 판단에 대한 Dworkin의 견해를 고찰함으로써 현답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율성’(autonomy)과 ‘생명의 신성성’(the sanctity of life), ‘인간존엄’(dignity)이라는 세 가지 가치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소고를 피력하였다.;Incompetent patients who are dying of incurable disease are not able to make valid decision about their own treatment for themselves. When no futile treatments are available their surrogate decides whether health providers should carry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asis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surrogate decision making for incompetent patients and to examine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find the patient's best interests. Beauchamp・Childress(1978) and Buchanan・Brock(1990) claim that the surrogate decision making is justified by 'autonomy' or 'patient's best interests'. According to them, on the one hand the surrogate decision making based on 'advanced directives' or patient's presumptive intention about what the patient would choose if the patient were competent and aware of the medical options is justified by patient's 'autonomy'. On the other hand the surrogate decision making based on patient's well-being is justified by 'patient's best interests'. Recently the Supreme Court in Korea permitted withdrawal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of an old dying patient in the PVS. The decision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 Supreme Court inferr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rom the patient's presumptive intention. But there is a leap in both former studies and the decision of court. Dworkin has argued that “we should notice that these familiar appeals to patient's autonomy can be understood differently: as arguments about what would be in the patient's best interests.” Inferring the basis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surrogate decision making from patient's presumptive intention is a logical leap. The basis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surrogate decision making is made clear by close examination of material difference regarding the surrogate's action. According to Dworkin, we should understand that terminally ill patients without recuperation possibility are better off dead in a certain context. He has insisted that “it is important both that we find a life good and that we find it good.” He also has emphasized patient's ‘critical interest’ for the integrity of his or her whole life. The surrogate should attempt to understand extended autonomy of the individual in order to find the patient's best intere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논의의 구성 및 개요 = 2 제3절 연구의 한계 = 5 제2장 ‘불완전의사능력자’ 개념과 의의 = 6 제1절 ‘행위무능력자’ 제도의 고찰 = 6 제2절 ‘불완전의사능력자’ 개념의 도입 = 11 제3절 ‘불완전의사능력자’에 대한 논의 = 14 1. ‘불완전’의 의미 = 15 2. ‘완전함’에 대한 판단 = 18 (1) 의사능력의 요소 = 18 (2) 판단의 기준 및 도구 = 19 (3) Competence Balance Scale = 22 제3장 대리의사결정의 본질에 대한 선행연구 : 자율성 對최선의 이익 = 24 제1절 Beauchamp과 Childress(1978)의 연구 = 25 제2절 Buchanan과 Brock(1990)의 연구 = 27 제3절 요약 및 검토 = 30 제4장 대리의사결정의 정당화 근거 = 32 제1절 ‘자율성’ 논변에 대한 비판 = 32 1. 선행연구 비판 = 32 2. 2008-2009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원의 판결 비판 = 39 제2절 ‘최선의 이익’ 논변 = 45 제3절 쟁점의 검토 : 확인(confirmation)과 결정(decision-making)의 구분 = 48 제5장 대리의사결정에서의 ‘자율성’과 ‘최선의 이익’ = 51 제1절 확인(confirmation)과 자율성 = 53 제2절 결정(decision-making)과 최선의 이익 = 60 1. 연장된 자율성(extended autonomy) = 60 2. Dworkin의 ‘최선의 이익’ = 65 (1) 향유적 이익과 비판적 이익 = 65 (2) 최선의 이익 = 70 (3) 이론 비판 = 73 3. 가치의 상충 : 자율성, 생명의 신성성, 그리고 인간존엄 = 77 4. ‘최선의 이익’ 판단 = 82 제3절 교묘한 가장(假裝)의 위험 = 85 제6장 결론 = 92 참고문헌 = 96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59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회생불가능한 환자를 위한 대리의사결정의 정당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justification of the surrogate decision mak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without recuperation possibility-
dc.creator.othernameChoe, Ji Yoon-
dc.format.pageⅲ,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