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은정-
dc.creator곽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3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0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28-
dc.description.abstract본 論文은 三國 가운데 造形的으로도 우수하고 그 遺存例도 많은 古墳出土 新羅의 冠帽를 중심으로 그 起源 및 展開過程, 性格등에 관하여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그 起源에 있어서는 高句麗, 百濟의 官帽가 중국문화 즉 불교문화의 영향을 많이 보이고 있는데 비해서 新羅의 경우는 北方 遊牧民과 시베리아 일대의 샤만관과의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삼국 가운데 신라사회의 불교수용과정 및 초기 신라 사회의 보수성의 一面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新羅官帽의 展開過程은 확실한 古墳 編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계에서 명확한 발전과정을 논하기는 어렵지만 伽耶가 다양한 입식 형태의 관을 보이고 있는 것과 비교해 보면 신라의 경우는 도식화된 山字 및 鹿角形의 입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官帽의 재질면에 있어서도 많은 金冠의 出土가 당시 신라의 金 生産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金銅冠은 물론 銀冠까지도 出土되고 있다. 金屬工藝面에 있어서 冠의 경우는 裝飾技法으로 毛彫가, 冠帽의 경우는 透彫技法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冠帽의 性格에 대해 살펴보면, 古墳出土 冠帽類는 文獻 및 壁畵 古墳에서 보이는 실용관과는 다른 용도, 즉 死者의 靈魂을 위로하는 呪術的인 목적에서 副葬한 葬送 儀禮用 관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그 크기 및 견고성에 있어 활동하는 실용관으로서 부적합할 뿐 아니라 小兒用 소형관의 出土, 관이 古墳에서만 出土되는 점 및 古墳 出土의 다른 장신구의 儀禮的인 성격에 의거하여 살펴 볼 수 있다. 또 이러한 葬冠은 북방 유라시아 기마민족에서도 보이고 있으며, 天上他界觀과 관련되어 있고 鳥羽形 冠飾, 鳥羽形 立飾의 冠등에서 보이는 새의 모티브 및 나무와 鹿角의 입식에서도 관의 장송 의례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bout the character, development and origin of crowns unearthed from the tombs of Shilla, which was superior in quality and has many remains. In origin, when the crowns of Koguryo and Baekje show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in order words the Buddhism culture, Skills's show the similarity of Shamanism found among northern nomads and in Siberia. One could say this shows the accommodation process of Buddhism and conservation of Shilla society. Though it's difficult to discuss the process of development accurately since the accurate tombs of the chronicles is not set yet, when compared to Kaya's various standing forms of crowns, the standing forms of crowns of Shilla are mostly in grammaticized mountain forms(山字) and antler(鹿角). As for the quality of crowns, the unearthing of many gold crowns indicates the production of gold in Shilla and even copper and silver crowns are found. If one looks at the character of crowns, one could see that the crowns unearthed from tombs are different in use from the practical crowns appeared in literatures and wall-paintings. The crowns unearthed from the tombs are for funeral ceremonies to soothe the soul of the dead. Not only these crowns are inadequate for practical use in it's size and solidity, but also in their being of unearthed from only tombs and the ceremonial character of the other ornaments in the unearthed tombs. This kind of funeral crowns can be found in the horse-riding tribes of Northern Urasia and are related to the view of passing away to heaven. The funeral character of the crowns could be confirmed by the bird motif in the bird-shaped ornaments of crowns and the bird-shaped, mountain forms and antler standing forms of crowns. The bird motif was used in the ornaments as the means to convey the souls of the dead to the heav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ⅶ 序言 = 1 Ⅰ. 文獻 및 壁畵古墳에 보이는 冠帽類 = 3 A. 文獻에 보이는 冠帽類 = 3 B. 壁畵古墳에 보이는 冠帽類 = 8 Ⅱ. 新羅 冠帽의 起源과 周邊國의 冠帽 = 12 A. 北方 遊牧民의 冠帽 = 12 B. 高句麗, 百濟의 冠帽 = 15 C. 伽耶冠帽와의 關係 = 19 Ⅲ. 新羅冠帽의 發展過程 및 造形的 特性 = 27 Ⅳ. 新羅冠帽의 性格 = 40 Ⅴ. 新羅冠에 보이는 思想 및 信仰 = 43 結語 = 48 參考文獻 = 52 圖版 = 60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975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dc.title신라 금속관모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