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혜선-
dc.contributor.author류현숙-
dc.creator류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0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골퍼들과의 직접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해 골프 바람막이(Wind breaker)에 대한 착용실태 및 불편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디자인, 소재, 패턴을 개선하여 운동 시 보다 동작적응성이 우수하며, 쾌적하고 기능적인 골프 바람막이를 개발하는 것이다. 여성 골퍼들의 바람막이에 대한 착의실태 및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총 31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실험복의 디자인 및 소재선정, 패턴제도에 반영하였다. 또한 국내 골프 바람막이 시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가장 많이 전개되는 골프 바람막이의 디자인 요소들을 조합하여 기존복을 설계하였다. 1차 실험복에서는 Trend color를 반영하여 Dark톤의 Plum color로 선정하였고, 디자인은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후드는 탈․부착 스타일로 제작하였고, 손목은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2단 스냅을 부착하였으며, 허리 노출을 막기위해 밑단에 앞처짐과 뒤처짐 분량을 주었다 골프 스윙 시 불편하다고 응답한 진동둘레 부위의 동작적응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뒤 진동둘레에 Elastic band를 사용한 셔링디자인을 4cm, 8cm, 12cm의 3단계로 변화를 주어 각각 1차 실험복 A, B, C로 하고, 소재는 시레(Cire)가공이 된 폴리에스터 100%를 사용하였다. 1차 실험복의 동작적응성 평가 결과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1차 실험복C를 선정하여 디자인은 동일하되, 소재(c-changeTM)의 차이를 두어 2차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기존복, 1차 실험복C, 2차 실험복을 대상으로 외관, 동작적응성, 보온성, 쾌적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 착의평가 결과 외관평가에서 1차 실험복C와 2차 실험복은 기존복에 비해 대부분의 항복에서 더 좋은 평가를 받아 외관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작적응성 평가에서 1차 실험복C와 2차 실험복은 기존복에 비해 대부분의 항목에서 더 좋은 평가를 받아 골프 동작 시 더 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1차 실험복C와 2차 실험복의 경우는 동작적응성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않아 소재의 신축성 차이보다 셔링 디테일이 골프 동작 시 충분한 활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온성 평가를 위해 발한 온열 마네킹을 이용하여 인공기후실의 온도를 12.6℃로 설정하여 안정화를 취한 다음 실험복을 4시간 동안 착용하여 실험하였다. 시험결과 2차 실험복 Heat flux 평균은 69.59w/m²이며, 1차 실험복C는 74.75w/m², 기존복은 76.61w/m²의 결과로서 2차 실험복이 보온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기후실에서 피험자의 쾌적성평가에서는 가슴․등의 피부온도는 1차 실험복C보다 2차 실험복이 더 높게 나타나 보온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발한량에 있어서는 가슴부위, 등 부위 모두 1차 실험복C가 2차 실험복보다 발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감각 평가에서는 2차 실험복이 습윤감을 제외한 온열감, 쾌적감에서 1차 실험복C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wearing conditions and inconvenience of golf windbreakers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 with female golfers, improve them in terms of movement adaptability, design, material, and pattern, and to develop a more pleasant and functional golf windbreaker of better adaptability during exercise. A total 316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female golfer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answers regarding design, material, and pattern were reflected upon to make an experimental garment. Based on the market research result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the most popular design elements among the golf windbreakers in the market and combined them to design a conventional golf windbreaker to compare with the experimental one. Both of them were then evaluated in terms of external appearance and movement adaptability. Furthermore a chamber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m in terms of thermal insulation and comfort. The female golfers responded that they placed the biggest importance on the functionality of design when purchasing a windbreaker. They turned out to prefer designs with a stand collar, long sleeves, a detachable hood, and hems with strings. But they didn't like a design of knit around the armholes. The problem with the existing golf windbreakers is that knit is applied to the armholes for more adaptability during swings.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s were made in a dark-tone plum color to reflect the trend colors. Following the survey answers, the hood was made to be detachable, the wrists had two-stage snaps to adjust the size, and the allowance was given to both front part and back part of the hems to prevent the waist from being exposed. In addition, a shirring design with an elastic band was applied to the back armhole for easier movement.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s were made of 100% polyester that's Cire processed to prevent wind and light rain.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s were made of the c-change™ stretchable material by Schoeller. The patterns of the experimental garments were supplemented by reflecting the survey answers including "The armholes are pulling," "The hems are small" and "The ends of sleeves are uncomfort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that suggested increasing the body surface area around the armholes, I designed the back shirring and gave an allowance of 12cm to it. The shirring amount was 4cm, 8cm, and 12cm for Experimental Garment A, B, and C, respectively. The first weating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best of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s and consisted of an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In the objective evaluation, photographs were analyzed to see the creases on the experimental garments during movement, and the numbers indicate that Experimental Garment C showed the best results. And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the subjects assessed the garments for movement adaptability after swings, and Experimental Garment C had the best results. The second wearing test was assessed to the existing garment,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and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for external appearance and movement adaptability. The assessment results of external appearance indicate that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and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received better evaluations in most of the items and had superior external appearance than the existing garment.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xternal appearance between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and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since they were the same in design and pattern with only differences in material.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movement adaptability,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and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received better evaluations in most of the items and thus felt more comfortable than the existing garment.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vement adaptability between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and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No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material elasticity as the shirring detail provided enough adaptability for a swing movement. The next step was thermal comfort test. The chamber was 12.6°C in temperature and 3m/sec in air velocity. As a result,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received better evaluation than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in terms of chest and back temperature.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recorded more perspiration both on the chest and back than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Also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received better results than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in all the items except for water vapor. As a result,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the primary Experimental Garment C, and the existing garment recorded average heat flux of 69.59w/m², 74.75,w/m² and 76.61w/m², respectively. It's thus clear that the secondary experimental garment showed the greatest thermal insu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골프의 역사 및 현황 = 4 1. 골프의 역사 = 5 2. 골프시장의 현황 = 8 B. 의복의 운동 기능성 = 10 1. 운동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의복의 요인 = 11 2. 의복의 운동 기능성 평가방법 = 12 C. 의복의 온열 쾌적성 = 15 1. 온열 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5 2. 온열 쾌적성 평가 = 20 D. 골프웨어 = 29 1. 골프웨어의 현황 = 29 2. 골프웨어의 구성 = 32 3. 골프웨어의 기능성 = 3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52 A. Trendcolor분석 = 52 B. 골프 바람막이 시장조사 = 54 1. 2008Spring골프 바람막이 시장조사 = 54 2. 2008F/W 골프 바람막이 시장조사 = 54 C. 골프 바람막이 착용 실태조사 = 55 D. 기존복 설계 = 56 E. 실험복 설계를 위한 물성시험 = 57 1. 소재 물성시험 = 58 2. 소재조합 및 구성방법에 따른 공기투과도 시험 = 59 F. 1차 실험복 개발 및 평가 = 62 1. 1차 실험복 개발 = 62 2. 1차 실험복의 동작적응성 평가 = 62 G. 2차 실험복의 개발 및 평가 = 64 1. 2차 실험복 개발 = 64 2. 2차 실험복 착의평가 = 65 가. 외관평가 = 65 나. 동작적응성 평가 = 65 다. 보온성 평가 = 67 라. 온열 쾌적성 평가 = 69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73 A. Trendcolor분석 결과 = 73 B. 골프 바람막이 시장조사 결과 = 80 1. 2008Spring골프 바람막이 시장조사 결과 = 80 2. 2008F/W 골프 바람막이 시장조사 결과 = 86 C. 착용실태 조사 결과 = 9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 94 2. 골프 바람막이 착용실태 = 96 3. 골프 바람막이 구매 실태 = 97 4. 골프 바람막이 착용 시 불편사항 = 104 D. 기존복 설계 결과 = 106 E. 실험복 설계를 위한 물성시험 결과 = 112 1. 소재 물성시험 = 112 2. 소재조합 및 구성방법에 따른 공기투과도 시험 = 113 F. 1차 실험복 개발 및 평가 = 118 1. 1차 실험복 개발 = 118 2. 1차 실험복 동작적응성 평가 = 124 G. 2차 실험복 개발 및 평가 결과 = 133 1. 2차 실험복 개발 = 133 2. 2차 실험복 착의평가 = 134 가. 외관평가 결과 = 134 나. 동작적응성 평가 결과 = 136 다. 보온성 평가 = 138 라. 온열 쾌적성 평가 = 140 Ⅴ. 결론 및 제언 = 151 A. 결론 = 151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154 참고문헌 = 155 부록 = 164 ABSTRACT = 1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681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능성 골프 바람막이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unctional Golf Windbreaker-
dc.creator.othernameRyou, Heun Sook-
dc.format.pageⅹii, 18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