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7 Download: 0

영어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과 수행 분석

Title
영어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과 수행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Corrective Feedback and Learners' uptake
Authors
김나연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English speaking classes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Korean English education nowadays. Naturally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for learners' errors takes an important role as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creases. Teacher's feedback is important since students correct their errors responding to the feedback.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teacher's feedback, many Korean teachers do not know well about the types, effectiveness, properties of feedback. They basically depend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beliefs when they provide feedback.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the effects of feedback types on foreign language speaking ability, but the results are controversial. Also, it is not clear that if teacher‘s feedback meets the learners' wants and needs. So that the effectiveness and consistency on teacher's feedback are uncertain. The present study explores patterns of corrective feedback and students' uptake according to students' error type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in Korean EFL undergraduate classroom setting. Also the consistencies and discrepancies in preception of corrective feedback by students and teachers. are studied.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perception were further analyzed to examine if those differ from actual practices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classrooms. The study involves six hours of beginning, six hours of intermediate and three hours of advanced classes with an average of 20 students in each class. The classes were observed and video recorded for error correction and corrective feedback classification, and student uptake. Students error were distributed into grammatical error, phonological error, lexical error, and interference of learners' L1. Corrective feedback moves are coded as explicit correction, recast, metalinguistic feedback, repetition, elicitation and clarification request as it was classified in Lyster(1997). 13 teachers including thre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lassroom observation and 340 students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perception and preferences for corrective feedback. According to the gathered data and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type differed from the students' error type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Also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and lack of consistency were found between the teacher’s feedback practices and the learners' error type. Second, learners uptake was shown differently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For phonological errors, learners displayed the most frequent uptake on recast, a rather implicit feedback type. On the other error types, however, the learners' uptake were shown high on the explicit correction feedback whereas most of the studies show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types that promote learners' self repair and negotiation of form.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because of the Korean EFL environment and cultural aspects, learners tend not to react actively to teacher's talk. Therefore practical training for teachers on feedback practices is needed as well as further researches that well reflect Korean educational situation to suggest the effective and consistent norm for teacher's feedback selection.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the teacher's explicit knowledge on corrective feedback was rather low and the beliefs and preferences differed from teacher to teacher. Also the teacher's feedback perception and preferences did not consistently reflect their actual practices. Although the teachers agreed that they should provide corrective feedback differently by learners' error types, proficiency level, and learning style, the results do not show the reflection of these beliefs. Finally, the patterns on the learners' expectation and beliefs on corrective feedback displayed that those differ among learners' proficiency level. Usually beginners are more sensitive in a negative way on corrective feedback than higher proficiency level learners. Teacher's belief and learners' expectation on corrective feedback were also compared and some mismatches were found. Students as a whole were in strong agreement in that they preferred explicit, frequent correction, while teachers tended to be more cautious of error correction, believing that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free speech without interruption. Knowing these actual practice patterns and perception differences on corrective feedback would be important for teachers to select and provide corrective feedback in a more effective way that meets their students' needs and wants which will allow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speaking ability.;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진 영어 말하기 수업이 중시되는 요즘 우리나라의 상황에서는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학습자 오류에 대한 교사의 오류 수정 피드백 관련 지식과 신념 확립, 또한 그것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영어 교육에 있어 지금까지보다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교사의 오류 수정과 제2언어 습득과의 관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교사들은 신뢰할 만한 이론적 근거를 찾지 못한 채 교사 개인의 경험적 근거에 바탕을 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고 그나마 피드백에 대한 지식과 신념, 경험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로 인해 교사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일관성이나 효율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필요나 요구에 잘 부합되지 못하여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자의 언어 습득을 촉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교사 피드백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오류 수정 피드백에 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과 신념,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의 오류 수정 피드백 수행이 실제 교실 환경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관찰하여 그것이 교사의 피드백에 대한 신념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대학의 3명의 원어민 교사가 담당하는 초, 중, 고급 수준의 영어 말하기 위주 수업을 총 15개 학급, 25시간 동안 관찰함으로써 학습자의 오류 유형(문법, 발음, 어휘, L1 오류)과 그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유형(명시적 수정, 오류 고쳐 되말하기, 명확화 요구, 상위 언어적 피드백, 유도, 반복, 복합 피드백) 그리고 학습자의 반응(uptake) 유형(교정 완료 반응, 재교정 필요 반응, 반응 없음)을 학습자의 수준과 교사 별로 분석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의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명시적 지식과 인식 및 신념을 조사하고 그것이 교사의 실제 피드백 수행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학습자의 오류 피드백에 대한 인식과 선호는 교사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류 수정 피드백 유형의 특징은 각 교사와 학습자의 수준, 오류의 유형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분포를 나타냈다. 특별히 교사에 따라 오류 유형별로 일관된 경향성 없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즉각적인 반응(uptake)을 살펴보면 발음 오류에 대해서 암시적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는 오류 고쳐 되말하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학습자의 반응 비율도 높아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른 오류 유형에서는 명시적 수정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비율이 높아 명시적 수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학습자의 언어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형태 협상 기술 피드백에 대하여 학습자의 반응이 높게 나타나 학습자의 자가 수정을 유도 할 수 있는 형태 협상 기술 피드백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는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수정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인 한국 대학생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과 수업에 대한 인식 그리고 EFL상황 등을 고려해 봤을 때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종합해 보면 오류 피드백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맞는 효과적인 오류 피드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도 필요 하다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수준별, 오류 유형별, 학습자 유형별 오류 수정 피드백 선정 기준의 경향을 알려주고 그것의 실제적인 사용을 위한 교사 훈련 교육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교사들의 명시적 이해가 부족하고 각 교사 마다 피드백에 대한 신념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제 피드백 수행과 비교 하였을 때도 교사들의 피드백에 대한 신념과 인식이 실제 수행에 그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 많은 교사가 피드백을 주는 자신만의 기준이 있다고 답하였고 오류 유형, 학습자의 수준,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 등에 따라 제공하는 피드백의 유형이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높았는데 실제로는 그것이 크게 달라지지 않거나 명확한 기준을 살펴보기 어려웠다. 넷째, 학습자의 교사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인식과 인지를 설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 몇 개의 문항에서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인식이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급 수준의 학습자들이 다른 수준에 비해 교사 피드백에 대해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의 인식을 교사의 것과 비교해 보았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문항들이 많이 있었다. 대부분의 문항에 있어 학습자가 교사보다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사는 학습자의 피드백에 관련한 이해를 돕는 동시에 교사와 학습자 간에 피드백에 대한 신념과 선호에 차이가 있음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학습자의 제2언어 습득을 최대한 도울 수 있는 방향으로 이견을 좁혀가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교사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과 그 실제 수행의 현 주소가 앞으로 교사 오류 수정 피드백에 관한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영어 교육 현장에서 오류 수정 피드백의 효과적인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