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김혜인-
dc.creator김혜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0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82-
dc.description.abstract읽기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교육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어휘는 외국어 읽기의 근간이 되는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제 2언어를 공부하는 많은 학습자들이 어휘력 부족으로 읽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어휘력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읽기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휘의 도움을 어떻게 제공하는 것이 읽기 이해에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읽기 이해를 위한 어휘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읽기 전 어휘 학습, 어휘 주석의 제공, 사전의 사용이 있다. 이들은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방법이나 그 효용성에 관한 의견들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읽기 전 어휘 학습은 학습자들의 언어적 스키마를 활성화 시켜 읽기 이해를 도울 수 있으나 어휘 학습만으로는 읽기 이해를 증진시키기에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또한 어휘 주석은 지문에 대상 단어와 그 의미를 함께 제공해 주어 학습자들이 문맥에 맞는 어휘의 의미를 빨리 파악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읽기 이해를 도울 수 있으나 주석이 읽기를 방해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읽기 중 사전 사용의 효율성 역시 논쟁적인 부분이 많다. 독해 과정에서 사전을 찾는 행위가 읽기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주장들이 있으나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사전, 전자 사전, 컴퓨터로 구현된 사전 등의 사용이 활성화되면서 그 효율성에 관한 연구 결과도 많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읽기 전 어휘 활동 집단, 어휘 주석 제공 집단, 읽기 전 어휘 활동을 한 후 어휘 주석을 제공한 집단, 사전 사용 집단을 설정하여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율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어휘 제시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는 주로 ESL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국내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이를 본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어서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휘 제시 방법을 달리 하는 것이 학습자의 읽기 이해에 주는 영향은 어떠하며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네 집단을 설정하여 각 집단에 네 가지의 다른 어휘 제시 방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다시 학습자 영어 능숙도 별로 상, 중, 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집단 1은 읽기 전 주요 어휘의 목록을 제공받고 어휘 활동을 한 집단이며 실험 집단 2는 어휘 주석이 있는 지문을 제공받아 읽기를 한 집단이다. 실험 집단 3은 읽기 전 어휘 활동을 한 후 어휘 주석이 있는 지문을 제공받은 집단이다. 실험 집단 4는 전자 사전을 사용하며 지문을 읽은 집단이다. 학습자들은 지문을 읽은 후 같은 읽기 이해도 평가 문제를 풀었으며 본 연구자는 이 결과를 분석하여 어휘 제시 방법에 따른 읽기 이해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어휘 제시 방법에 대한 활용도, 기여도, 향후 활용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제시 방법을 달리하는 것이 읽기 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중위권 학습자의 경우에는 어휘 제시 방법에 따라 읽기 이해도에 차이를 보였는데 읽기 전 어휘 활동을 한 집단과 전자 사전을 사용한 집단의 이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위권 학습자의 경우 어휘 활동을 통하여 활성화된 스키마가 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자 사전 역시 이들의 읽기 이해도를 향상시켰는데 이것은 전자 사전이 읽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도구가 아닌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임을 나타낸다. 둘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어휘 제시 방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은 대체로 읽기 전 어휘 활동을 가장 선호하였고 앞으로도 사용하고 싶어 하였다. 실제 수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읽기 전 어휘 학습은 교사에 의한 짧은 설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학습자들의 읽기 전 어휘 활동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읽기 전 어휘 활동의 개발과 활용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또한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어휘 제시 방법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상위권, 중위권 학습자들은 읽기 전 어휘 활동을 선호하였다. 반면 하위권 학습자들은 읽기 전 어휘 활동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이들이 읽기 전에 학습한 어휘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을 느껴 지문 읽기에 적용시키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에 비하여, 어휘 주석의 경우에는 하위권 학습자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으나 상위권 학습자들은 이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이들은 어휘 주석이 집중을 흐리게 하여 독해를 방해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학습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읽기 전 어휘 활동에 대하여 연구하고 수업 시간에도 이 활동에 더욱 비중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어휘 주석의 경우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히 제공해야 하며 특히 상위권 학습자의 경우 그들에게 알맞은 형태의 주석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자 사전은 수업 시간에 활용 가능한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어휘 제시 방법은 읽기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각 어휘 제시 방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선호도에는 차이가 있었고 특히 학습자 능숙도에 따라 활용도와 기여도, 향후 활용에 대한 태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어휘 제시 방법이 고려되어 수업시간에 적절히 활용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Reading is important in Korean high school class as EF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vocabulary competence takes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because it is based on lexical knowledge. Most second language learners, however, think that their main obstacle to reading is their lack of vocabulary. Therefore we need to research effective way to provide vocabulary assistance and facilitate reading comprehension in classrooms. Conventional methods of providing vocabulary assistance for reading include practicing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ies, providing marginal glosses and using dictionaries.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ies can activate learner’s linguistic schema and help in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re are studies that studying vocabulary alone is not sufficient to enhance the reading comprehension. Some studies claim that whereas providing marginal glosses that explain the meaning of the words used in the reading material facilitates reading comprehension by allowing learners to quickly understand the words according to the context,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issue as glosses disturb the reading activity. There are many disputes regarding the efficiency of using a dictionary for reading. While there are claims that using a dictionary interrupts the flow of reading, many recent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multimedia or electronic dictionarie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compare the efficiencies of vocabulary assistance techniques on reading comprehension by dividing subjects into groups who practiced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ies, were given marginal glosses, practiced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ies and were given marginal glosses, and used dictionaries. Most of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methods of providing vocabulary assistance mainly involved university learners in ESL environment. However, there was a need to conduct a study based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ypes of vocabulary assistance and learners' reading proficiency would affect languag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The subjects used for this study consist of two hundred ninety two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four groups, Group 1, 2, 3, 4, and then divided each group into three sub group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Group 1 studied definition of the target words and practiced vocabulary activities prior to reading. Group 2 read the passage with target words glossed. Group 3 studied the target words and practiced vocabulary activities prior to reading with the target words glossed in the passage. Group 4 read the passage with an assistance of electronic dictionaries. After subjects read the passage, they were tested their read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hich asked the degree of utilization, contribution and willingness to use each vocabulary assistance was giv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t types of vocabulary assistance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intermediate learners displayed different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how vocabulary was presented. Those who practiced vocabulary activities prior to reading and those who used electronic dictionaries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s of understanding. Apparently, the linguistic schema activated through vocabulary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intermediate learners. Electronic dictionaries also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for intermediate learners, suggesting that electronic dictionaries do not interrupt the flow of reading but serves as a helpful tool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econd,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n the reactions of the learners, most learners preferred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ies and said that they would like to use the method in the future. Although most vocabulary learning prior to reading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involves short explanations provided by the teacher,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signifi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utilize the vocabulary activities prior to reading. Examining learners’ attitudes on the methods of providing vocabulary assistance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preferred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ies. Beginners displayed negative attitudes toward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ies, apparently because they experienced difficulty remembering words and applying them in their read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beginners highly preferred providing marginal glosses whereas advanced learners displayed a very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method. There was a tendency among advanced learners that marginal glosses undermined their concentration and interrupted read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emphasize and develop pre-reading vocabulary activities that increas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Second, marginal glosses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learners’ level of proficiency. In particular, advanced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adequate glosses based on their needs. Finally, it was learned that electronic dictionaries can be useful tools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articular method of providing vocabulary assistanc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learners displayed varying levels of preference for different methods. More specifically,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 degree of utilization, contribution and willingness to use in the future according to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 Accordingly, methods of presenting vocabulary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learner levels and adequately utilized in classroo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인지 부하 이론 = 5 B. 스키마 이론 = 8 C. 어휘 학습의 중요성과 방법 = 12 D. 어휘 선행 학습 = 15 E. 어휘 주석 = 16 F. 사전 사용하기 = 18 G. 선행연구 = 20 Ⅲ. 연구 방법 = 28 A. 연구 질문 = 28 B. 연구 대상 = 29 C. 실험 자료 = 32 D. 실험 절차 = 38 E. 연구의 제한점 = 4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2 A. 어휘 제시 방법에 따른 읽기 이해도 차이 = 42 B. 능숙도에 따른 어휘 제시 방법별 읽기 이해도의 차이 = 43 C. 어휘 제시 방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 = 46 D. 능숙도에 따른 어휘 제시 방법별 학습자 반응의 차이 = 49 Ⅴ. 결론 = 58 참고문헌 = 62 부록 = 69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98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휘 제시 방법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vocabulary assistance on reading comprehension-
dc.creator.othernameKim, Hye In-
dc.format.pagex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