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신속처리절차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신속처리절차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peedy Procedure: Based on the Arraignment of the United States
Authors
윤지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재상
Abstract
대다수의 선진 국가들은 대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경미한 사건이나 다툼이 없는 사건에 대하여 별도의 절차를 마련하거나 통상의 절차를 완화시켜 대처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경미한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약식절차와 즉결심판절차라는 특별절차를 두고 있고, 피고인의 공판정 자백으로 인하여 다툼이 없는 사건에 대하여는 통상의 절차를 완화시킨 간이공판절차로 대응해 오고 있지만, 각 제도들이 가진 문제점들로 인해 많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행 제도들이 개선된다고 하더라도 폭주하는 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는 어려운데, 경미한 사건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방안은 형사사법 인력을 획기적으로 확충하고 물적 시설을 확보하는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한정된 예산으로 인해 전문적인 인적․물적 자원을 늘리는 것에는 제한이 따르고, 특히 2008년 1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국민참여재판제도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그에 따른 사법자원 또한 확보되어야 하므로, 이 문제에 대해서는 형사사법 절차로 유입되는 사건의 총량을 통제하거나 한정된 사법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방향으로 논의의 중심이 옮겨졌다. 요컨대 기존의 신속처리절차로는 형사소송에서의 선택과 집중의 원리를 실현하는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공판절차에 투입되는 사건에 대한 효과적인 여과장치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신속처리절차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경미한 사건을 처리하는 외국의 입법례를 검토하고, 도입가능한 제도가 무엇인지 비교 평가한 후 새로운 국내 입법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신속처리절차를 모색함에 있어서는 이에 대한 입법례를 살펴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경미한 사건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각국이 취하고 있는 제도들 중 우리의 제도로 도입 또는 참고할 수 있는 제도가 무엇인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특정 시스템뿐만 아니라 그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는 사법적 토대에 대한 고려도 병행되어야 한다. 당사자주의 요소가 대폭 도입된 결과, 오늘날 우리 형사소송의 기본구조는 직권주의와 당사자주의가 혼재해 있는 양상을 보이지만, 근대적인 입법 과정에서 대륙법계 국가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탓에 형사사법의 기본 골격이 영미보다는 독일이나 일본과 닮아있으므로 대륙법계 국가들로부터 도입할 수 있는 제도들을 먼저 고찰한다. 특히 우리와 가장 유사한 사법적 토대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제도들로부터 우리의 기존 제도들을 수정․발전시키거나 새로운 제도를 구상하는데 참고할만한 점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 새로운 신속처리절차를 필요로 하는 우리의 상황과 거의 흡사한 배경 하에 창설된 즉결재판절차를 비중 있게 다룬다. 그러나 일본은 미국의 기소인부절차를 지향 모델로 삼아 신속처리절차를 구상하였고, 대륙법계 국가인 독일과 프랑스 등에서도 사법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영미의 제도를 모델로 한 입법을 하였던 바, 본 논문은 현행 법체계에 맞는 변형을 전제로 하면서 미국의 기소인부절차를 새로운 신속처리절차의 기본 구조로 택한다. 중죄와 경죄를 구분하지 않고 동 절차를 거치도록 운영하고 있는 미국과 달리, 본고에서 구상하고 있는 기소인부절차는 경미한 사건에 한정하여 운영된다는 점에서 한국형 기소인부절차라고 칭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입법안을 상정함에 있어서는 절차의 청구와 관련된 규정을 따로 마련하고, 통상의 절차 중 사실심리절차를 제외한 모두절차와 판결선고절차를 거치도록 규정한다. 즉 피고인이 모두진술에서 기소사실에 대하여 인부하고 유죄답변이 수용되면 곧바로 판결선고절차가 진행되는데, 기소인부절차의 개시 요건과 기소인부절차의 진행 및 유죄인정답변 수용 후의 형선고 단계로 나누어 세부적인 입법방향을 제시한다. 한편 2005년 1월 16일 검찰이 유죄협상제도의 도입 방침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이후 한국형 유죄협상제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사법의 실체적 진실규명 의무가 강조되는 대륙법계 국가에서 당사자주의가 지배하는 영미법계의 형사소송절차를 도입하는 것이 쉬운 작업은 아니지만,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형사사법기관의 업무과중을 해결하고자 실무상 행하여져 왔던 유죄협상제도를 변형된 형태로 수용하였다. 동 국가들이 도입한 제도들은 미국의 유죄협상제도를 지향하지만, 그 적용범위와 구체적인 실현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우리의 경우 실무상 유죄협상이 행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요건과 절차가 명문으로 규정되지 않아서 협상의 과정이 통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입법례들을 참고하여 기존의 형사사법 시스템과의 충돌을 최소화하는 한국형 유죄협상제도를 모색하도록 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경미한 사건을 대상으로 한 기소인부절차의 도입과 함께 형사사건의 신속한 처리를 위한 종합적인 개선방안에 대하여도 검토한다. 우선 즉결심판절차를 폐지하고, 약식절차와 간이공판절차를 개선하는 등 현행 신속처리절차를 변모시킬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양형 기준을 마련하고, 경찰훈방제도를 개선하며, 법조 인력을 확보하여 새로이 도입될 기소인부절차 뿐만 아니라 형사절차 전반에서 사건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요컨대 경미한 사건을 대상으로 한 기소인부절차가 도입되고, 형사사건의 신속한 처리를 위한 종합적인 개선방안이 실현될 때 신속한 재판을 받을 국민의 권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보장될 것이다.;Most advanced countries treat petty crimes and cases beyond controversy, which could occur in large numbers by setting up separate procedures or easing ordinary ones. To cope with petty crimes, Korea also has special procedures: informal proceedings by written reviews, summary conviction, and simplicity trial for cases without argument due to a confession at the court. However, these procedures have been criticized because of their respective problems. Even if the current procedures were improved, a congestion of criminal cases would not be effectively handled. The most fundamental way to expediting the processing of petty crimes would be to increase manpower for criminal judiciary and obtain enough physical resources. However, limited budget restricts possible options especially when jury trial, which has been practiced since January 2008, is supposed to go into full effect in 2013. Thus, the discussion about this issue focuses on controlling the total number of cases flowing into criminal procedures or on allocating limited judicial resources efficiently: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in criminal procedure, there are fundamental restrictions with the existing speedy procedure. Hence it is demanded a new speedy procedure functioning as a filter to cases should be put into trial proceeding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pose a model legislation to deal with petty crimes after examining legislative examples from other countries and examining which of them are relevant to Korea. First,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study the legislative examples abroad in order to seek for a new speedy procedure for Korea. To decide which system can be introduced or referred, we should deliberate on not only each specific system but also its judicial foundation on which it exists. As a result of substantial introduction of elements of the adversary system, basic structure of Korean criminal procedure appears to be a hybrid between the inquisitorial system and the adversary system. However, the basic structure of our criminal judicial system is closer to that of Germany or Japan than that of Britain or America, in that our system was heavily influenced by civil law countries in the process of modern legislatio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first inquires into the system from countries with the Continental law heritage. In particular we could find many references from the Japanese system, so this study gives more concentration on the Japanese summary procedure. But in planning the speedy procedure, the Japanese system was modeled after the arraignment of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new German and French laws were also modeled after the American system with efficiency in mind. Therefore, this dissertation selects the arraignment as the fundamental structure while attempting to transform it for our present legal system. The new speedy procedure that this dissertation proposes could be called the Korean arraignment in that its use is limited to minor offenses while the American arraignment is used for both serious offenses and petty ones. A provision of process request is made separately, and then general proceedings such as the arraignment and the sentencing excepting the trial in calling for concrete bills. In other words if a defendant answers to fact on indictment at the arraignment and the court receives the defendant's plea of guiltiness, the process of sentencing would be conducted. This dissertation proposes directions of legislation in detail, dividing proceedings into the requirements for opening the arraignment, progress of that system, and sentencing after receiving the defendant's plea. Meanwhile, discussions for the Korean plea bargaining have been held since the Prosecutor’s Office made an official announcement about plans for the introduction of plea bargaining on January the 16th, 2005. Although introducing American criminal proceedings based on the adversary system is not easy in civil law countries, Germany and France accepted modified plea bargaining systems in order to lessen heavy workloads in judicial institutions. German and French plea bargaining systems are different from that of America in terms of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methods of actualization. In Korea, plea bargaining is being performed in practice, but the negotiation process cannot be controlled because of the absence of written laws related to its requirements and proceedings. This dissertation thus explores how to pursue the Korean plea bargaining system while minimizing a collision with the existing criminal legal system. This dissertation will also explore a holistic reform measure to expedite the processing of criminal cases togeth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rraignment. It is necessary to update current speedy procedures by various means such as the abolition of summary conviction, and the betterment of informal proceedings and simplicity trial. Moreover, we have to prepare concrete sentencing guidelines, improve the system of dismiss with a caution, and secure judicial worker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handling a criminal case quickly. After all, when the arraignment is introduced for petty crimes and total plans managing a criminal case promptly is realized, the constitutional right to have speedy trial will be guaranteed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