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필화-
dc.contributor.author이동옥-
dc.creator이동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0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13-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y women in senescence feel uncomfortable receiving care in spite of having done care work for their parents-in-law, husbands or children. In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in Korea, women in senescence have had responsibility for care work and making a living and still play a gender role as care-givers. However, change in culture of family and elderly care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expect care from any family members. In traditional family based on the culture of filial piety of Confucianism, elderly care had been done on intra-generational line of continuity. However, under capitalism exchange economy, care work was limited to individual family responsibility. Specifically, women’s responsibility for care work was emphasized. Moreover, the independence discourse of old person prevents women in senescence from asking their children for care work. Whereas women should care for their adult children who are busy with wage labour, they try to make a plan to solve elderly care by themselves. Women support younger generation of care work till they get to senescence, but do not receive fair compensation for their work. They just provide care, but do not receive care from any family members. Because they, as a generation to expect elderly care from their children, have not prepared for elderly care, they are in economic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women in senescence can support and receive care through their experience, especially in terms of relationship and work. This research had in-depth interviews with 15 women over 65-year-old who have their children. The literature review is used to search for alternatives through the result of women’s experience. Women in senescence have made an effort for their own life and family’s survival in rapidly changing Korean history such as Japanese colonial experience, Korean War, modernization and current economic crisis. As mothers, they have devoted themselves to raising their children to correspond with dominant value of capitalism. In the process, women have realized care as hard and bothersome and have adapted themselves to the dominant system. They have not asked their children for care. In spite of having done care work, women in senescence have reflected the stereotype of the dependence state. They are afraid of the dependence state, and interpret the care-giver as more powerful existence than care-receiver. This interpretation reflects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wage labor, care work, and independence, and interrupts the accomplishment of purpose of care. They think the care work has lower value than wage labour, but care-giver guarantees the social utility than care-receiver. So they do not easily accept the dependence state as they get older. Due to this, women in senescence go through confusion and self-split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care-giver to care-receiv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person’s life expectancy and the expansion of the medical selection by the development of medicine, they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health control and medical treatment, but show a negative attitude towards extending their lives with illness for a long time. Because they regard elderly care as inefficient and unproductive investment to death, they don’t want to receive care from their children. They get angry as they are face with the realities that they provided care but cannot expect care from anybody, but they do not want to give burdens to their children. This situation relates to the social structure, which devalues care as it is and assigns the role of care only to women in family.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elderly care are socially in progress, but the responsibility are still restricted to their family. They do not share care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do not receive care from other family members even when they are sick. They want to receive care at home, where they are accustomed and feel comfortable. However, they plan to leave home when they become dependence state, because they think there is nobody care for them. Even though they have children, the senescent women in dependence state consider the nursing home because they do not give some burden to their children. They are not free from regrading nursing home as old person’s place to be left from children. But they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buying care because of considering their children. Especially, middle class women interpret as their privilege ability of solving care independently without asking for money, time, and work from their children. Nonetheless, this selection doesn’t aim for being cared in good quality, but for caring for their children. And if they were in dependence state, they wouldn’t care. Meanwhile what women in senescence select nursing home care releases conflict between women versus women in family, or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over elderly care. Theses decisions derive from exclusive love that does not want their children to care them and maintain mother’s pride. Even though this solves conflict between women versus women in family, this makes the conflict between women labourer versus women in senesence. They think that trade money for service is fair, but they exploit lower status women and contributes to creating hierarchy among women. Women who makes this decision express gratitude and respect to women care laborer, but they consider elderly care as hard and bothersome work and turn over the bucket to the marginalized women. In women’s attitude value of care is still devalued. In Korean society, women in senescence have devoted themselves to care work and society have exploited their care work and achieved the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of economy. And their hidden sacrifice and devotion is underestimated and not visualized. ‘Productive’ exchange economy is kept relying on women’s in senescence care work. We cannot predict the institution and system based on women’s sacrifice in the future. The reality of senescence to devalue care work could lead women not to care. Even though women in senescence technically can solve elderly care in market, care work are recognized as women’s role and marginalized women’s role. Women’s experience in senescence shows the contradiction of the care system and culture in the current society. Women’s conflict in having cared for their family members but worrying about care shows contradiction of capitalism which has developed through exploitation of ed women’s work. This institution shows the limit of unfair social structure which assigns responsibility for care to women but do not ensure the reciprocity of care. This is not the special experience of women in senescence, but we should ask for the revaluation of care with women’s solidarity in a line of continuity of life.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ce discourse of Old person, elderly care is dealt with personal subject, and we prospect the accelera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Even though this alternative releases the burden of family, we are faced with the limitation. This shows that good facilities and services do not solve the subject of care. If there weren’t men’s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community, elderly care would not provide care-giver and care-receiver with a pleasant experience and the reality that women experienced would be repeated. Elderly care don’t set limits to care for old sick person. The children who are cared by mother all the time can’t be suddenly a good care-giver, even though their mother gets sick in bed. Elderly care is not only to care old person sick in bed, but should be reinterpreted as respect, attention, and concern of others, and over the level of family, responsibility for elderly care should be extended to their neighbors’ communal responsbilities. Women in senescence have practiced other values than the exchange relation of market, doing care work. They have an insight to recognize the problem with capitalism exchange economy based on competence, achievement, and competition by care experience. Women’s life in senescence is vulnerable to social structure because of care work, but they find other values than exchange economy and have an insight of change in social structure. They realize that person is relational and interdependent existence, responding to object of care through mothering and elderly care. They feel happy with the response of children by care, or they think they feel compensated from growth of their children. So they don’t regret care experience, and don’t think they should be compensated. Their eye gazes at the society support care based on belief in relationships. Women in senescence conceiv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band. They perceive elderly care as the course of life and valuable opportunity to prepare death and separation from intimate old person Women who cared for old person should not conceive elderly care as inefficient and unproductive to death but important for a person and intimate people.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care as a pleasant work concerning value of care, while women don’t quit employment or take full charge of care.Women in senescence experienced reconciliation with dying parent-in-law or parents. They realized that the emotional bond on care bring up the change of family and community. While women in senescence conceive value of care, they interpret the dependence state as the loss of autonomy. Under capitalism exchange economy, care has been interpreted as loss. To care empower women in senescence through caring and interpret their life positively, we should uphold change in understanding of care and institutional support.;이 연구는 한평생 보살핌노동을 해온 여성들이 노년에 이르러 보살핌을 받아야 할 단계에서 왜 편안하게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가 하는 질문에서 출발했다. 한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근대화과정을 겪어온 여성들은 보살핌노동과 생계를 책임져 왔고, 노년기에 이른 현재에도 보살핌 제공자로서 성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 여성들은 가족 및 노인보살핌 문화의 변화로 말미암아 자신들이 수행해 왔던 보살핌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 놓여 있다. 유교의 효문화에 기반한 전통가족에서 노인보살핌은 세대간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졌고, 여성들은 모성의 품앗이로서 노인보살핌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자본주의 교환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보살핌이라는 문제는 과거와는 다른 훨씬 더 복잡한 지형을 구성하고 있다. 평균수명의 연장과 의료기술의 확대, 가족의 변화는 여성들에게 한층 더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더욱이 한국 사회의 노인독립담론의 영향은 여성들로 하여금 자녀에게 보살핌을 요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한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노년기까지 임금노동으로 바쁜 자녀들을 보살펴야 하면서도, 최후까지 자신을 스스로 보살펴야 한다고 생각한다. 노년기에 이르러서도 여성들은 여전히 비가시화된 보살핌노동자로서 젊은 세대를 지원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한다. 결국 이들은 보살핌을 주기만 하고 받지는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변화가 급속한 사회변화의 결과이기 때문에 이들은 미처 기대해 왔던 자녀의 보살핌을 대신해 줄 수 있는 다른 경제적, 정서적 대안을 미처 준비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에서는 노년기 여성들을 어떻게 보살펴야 하며,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를 이들의 경험, 특히 이들이 맺는 가족 안팎의 관계와 이들이 수행해 온 노동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65세 이상의 유자녀 노년기 여성 15명과 만남과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들의 경험을 해석하고 보살핌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문헌연구를 병행했다. 노년기 여성들은 일제 식민지 경험, 한국전쟁, 근대화와 경제발전, 경제위기 등 격동의 한국사에서 본인, 가족의 생존을 위해 노력해 왔다. 이들은 어머니로서 자녀들이 자본주의 지배가치에 부합하는 인간으로서 적응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헌신적으로 뒷바라지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모순적 결과를 초래했다. 이들은 보살핌이 힘들고 귀찮은 일이며 지배질서에 순응하는 데에 방해가 되는 일이므로, 자녀들에게 보살핌을 요구하거나 권장하지 않는 것이 자녀를 위하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한편, 대부분 여성들은 시부모를 보살핀 경험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확산되고 있는 노인독립담론의 영향을 받아 노년기 의존상태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내면화하고 있다. 이들은 보살핌 제공자가 보살핌을 받는 대상보다 권력을 가진 존재로 해석함으로써 의존적 상태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해석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임금노동, 보살핌, 의존의 위계적 관계를 반영하고 있고 보살핌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방해가 된다. 그래서 이들은 나이듦에 따르는 의존상태를 편안하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이상의 이유로 여성들은 노년기에 들어서면서 보살피는 존재가 아니라 보살핌을 받는 대상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혼란, 그리고 자기분열적인 것으로 경험한다.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의료적 선택지가 확대되면서, 이들은 건강관리와 치료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몸이 아픈 상태에서 오랫동안 생명을 연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불편해 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인보살핌이 죽음으로 이르는 비효율적이고 비생산적인 투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녀에게 보살핌을 받고 싶어하지 않는다. 물론 한평생 보살핌 노동을 해왔으나, 자신이 필요할 때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현실을 대면하면서 분노를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결국 자녀에게 폐를 끼치는 존재가 되고 싶어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은 보살핌을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평가하지 않으면서 가족 내에서 여성에게만 보살핌을 전담하게 하는 현 사회구조와 관련된다. 노인보살핌을 수발의 제도화, 혹은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로 상품화하는 과정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 책임과 부담은 일차적으로 개별 가족에게 주어져 있다. 노년기 여성들은 남편이나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 보살핌을 분담하지 못했고, 본인이 아픈 경우에도 충분히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역할 변화가 가족 내에서 일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 처해 있다. 대부분 여성들은 익숙하고 편안한 공간인 자신의 집에서 노년기를 보내면서 필요한 보살핌을 받고 싶어한다. 그러나 누군가에게 의존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에 이를 때, 자신을 보살펴 줄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므로 집을 떠날 계획을 세운다. 자녀가 있다 하더라도, 의존적인 상태가 되면 자녀에게 폐가 되기 때문에 요양시설에 가는 것을 고려한다. 이들은 요양시설이 자녀에게 버림받은 노인들의 공간이라는 통념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자녀에 대한 배려 때문에 보살핌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대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특히, 중산층의 여성들은 자녀들의 돈, 시간, 노동을 요구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보살핌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계층적인 특권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러한 선택이 양질의 보살핌을 받기 위한 목적 때문에 라기보다는 일차적으로 자녀들을 배려하기 위한 동기에서 비롯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의존적인 상태가 되면 질적인 선택을 하기보다는 어떻게든 보살핌을 받는 것만으로 다행이라고 생각하거나 자녀에게 짐을 덜어줘야 한다는 체념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편, 노년기에 들어 요양시설을 선택하는 것은 가족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여갈등, 보살핌을 둘러싼 며느리와 딸간의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내 자녀에게 보살핌을 시키지 않으려는 배타적 사랑에서 비롯하고 어머니의 자존심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보살핌을 구매함으로써 가족 내의 여여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 하더라도, 여성유급노동자와의 관계는 갈등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돈을 주고 서비스를 받는 것을 공정한 거래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회적으로 낮은 지위에 있는 여성들의 저임금 노동을 전유함으로써 여성간의 위계적 관계가 형성되므로 여전히 문제로 남을 수 있다. 이들은 힘든 일을 도맡아하는 유급노동자에게 개인적으로 감사와 존경을 표현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노인보살핌을 귀찮고 힘든 일로 인식하는 것, 그래서 보살핌 노동을 주변화된 여성들에게 전가하는 것 자체가 변화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성들의 태도에서 보살핌의 가치는 여전히 폄하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노년기 여성들은 보살핌을 통해 헌신해 왔고, 사회는 이들의 보살핌노동을 전유하면서 근대화와 경제성장을 이룩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숨은 희생과 헌신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고 비가시화되어 왔다. ‘생산적인’ 교환경제는 노년기 여성들의 보살핌노동에 의존하면서 유지되고 있다. 여성들의 희생을 담보로 한 제도와 질서가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지는 예측하기 힘들다. 또한 보살핌노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일어나지 않는 노년기의 현실은 여성들이 보살핌을 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노년기 여성들이 노인보살핌을 의료서비스시장에서 기술적으로 해결한다 해도, 보살핌은 여전히 여성의 역할, 주변화된 여성들의 역할로 인식되는 것이다. 노년기 여성의 경험은 현 사회의 보살핌 제도와 문화의 모순적인 상황을 보여 준다. 보살핌노동을 제공했으면서도 자신이 받을 보살핌을 걱정해야 하는 여성들의 갈등은 여성의 노동을 전유하면서 발전해 온 자본주의의 모순을 보여 준다. 이러한 제도는 여성들에게 보살핌의 책임을 부여하면서도 호혜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부당한 사회구조의 한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현실은 현재 노년기를 맞은 여성들만의 특수한 경험이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노년이 될 젊은 여성들과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파악해야 한다. 노인독립담론의 영향하에서 노인보살핌은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서 다뤄지고, 따라서 이 분야의 상품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이 개별가족의 보살핌의 부담을 덜어준다 하더라도, 곧 한계에 부딪히게 될 것이다. 즉 아무리 좋은 시설을 만들고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보살핌에 남성들의 참여와 공동체의 지원이 없다면, 노인보살핌은 제공자나 대상에게 결코 즐거운 경험이 되지 못하고 노년기 여성들이 경험했던 현실은 반복될 것이다. 노인보살핌은 누워 있는 아픈 노인을 보살피는 일에 국한되지 않는다. 평소에 어머니에게 받기만 하고 관심을 갖지 않는 자녀는, 어머니가 누워 있다고 해서 갑자기 보살핌 제공자가 될 수 없다. 노인보살핌은 누워 있는 노인을 간병하는 것뿐 아니라 타자에 대한 존중, 관심, 배려 등으로 재해석되어야 하고, 가족의 차원을 넘어서 이웃, 공동체의 책임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노년기 여성들은 보살핌을 수행하면서 시장의 교환관계와 다른 가치를 실천해 왔다. 이들은 보살핌 경험을 통해 능력, 성취, 경쟁 등의 지배가치에 기반한 자본주의 교환경제의 문제점을 인식한다. 노년기 여성들은 보살핌을 통해 사회구조에 상처받기 쉬운 상황에 처하지만, 자본주의 교환경제와 다른 가치를 발견하고 사회구조의 변화에 대해 통찰력을 갖게 된다. 이들은 자녀양육과 노인보살핌을 통해 대상과 교감하면서, 인간이 관계적이고 상호의존적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이들은 보살핌을 통해 자녀들의 반응에 기쁨을 느꼈고 자녀의 성장만으로도 충분히 보상받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들은 보살핀 경험을 후회하지 않았고 자녀들에게 보상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또한 이들의 시선은 보살핌을 통한 신뢰관계에 기반해서 보살핌을 지원하는 사회를 응시하고 있다. 노년기 여성들은 삶의 전과정에서 보살핌을 통해 얻는 정서적 유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노인보살핌을 삶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관계적 맥락에서 한정된 시간 안에서 죽음을 준비하고 사별을 준비하는 소중한 기회로 해석한다. 노인을 보살핀 여성들은 노인보살핌이 죽음에 이르는 비효율적이고 비생산적인 행위가 아니라, 한 인간과 그를 둘러싼 사람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들은 보살핌을 통한 정서적 유대가 가족, 공동체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노년기 여성들은 보살핌의 가치를 인식하면서도 지배가치의 영향을 받아 의존적인 상태를 자율성의 상실로 해석하기 때문에 그 가치가 침묵 가운데 묻힐 가능성이 크다. 자본주의 교환경제하에서 보살핌은 손해로 해석되어 왔다. 여성들이 취업을 중단하거나 보살핌을 전담하지 않으면서 보살핌을 보다 즐거운 일로 해석하는 것은 보살핌 가치와 관련되어 중요한 일이다. 노년기 여성들이 보살핌의 경험을 통해 힘을 얻을 수 있고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보살핌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사회적, 제도적 지원이 확장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이론적 배경 = 3 1. 보살핌의 개념과 정의 = 4 가. 역할 및 노동으로서 보살핌 = 4 나. 관계로서 보살핌 = 8 2. 한국 사회의 노인보살핌의 현황 = 13 가. 전통가족의 변화와 노인보살핌 = 14 나. 국가, 시장, 노인독립담론 = 18 C. 연구방법 = 21 1. 사례 선정 = 23 2. 연구과정 = 27 D. 본문의 구성 = 34 Ⅱ. 노년기의 노동과 보살핌의 계획 = 35 A. 보살핌의 지원과 어머니의 사랑 = 35 1. 역할 지연과 선물의 효과 = 35 가. 어머니의 헌신과 친밀감 = 35 나. 마지막 선물과 삶의 보람 = 37 2. 보살핌의 자유와 자기방어 = 40 3. 딸과 며느리에 대한 다른 기대와 여여갈등 = 47 B. 세대간 보살핌의 순환 = 61 1. 효의 이중기준: 자녀와 부모에 대한 다른 적용 = 61 2. 모성의 품앗이에서 물질적 보상으로 = 64 C. 소결 = 70 Ⅲ. 삶의 과정으로서 노인보살핌의 재해석 = 72 A. 보살핌의 관계와 ‘부담’ = 72 1. 능력, 업적에 대비되는 보살핌 = 72 2. 거리두기와 책임 회피 = 76 3. 보살핌에 대한 기대와 어머니로서 자존심 = 81 4. 귀찮고 힘든 일의 전가와 분담 = 95 B. 개인적 해결과 상품화의 한계 = 101 1. 나이듦과 의존에 대한 인식 = 101 가. 건강관리의 몰두와 자율성의 신화 = 101 나. 죽음 선택과 은폐된 보살핌의 욕구 = 106 다. 의료적 처치의 중단과 죽음의 수용 = 110 2. 보살핌 제공자의 부재와 편안한 집 = 118 3. 보살핌의 분리와 특수한 공간 = 124 가. 전문화된 공간과 여성간의 위계 = 124 나. 관계의 단절과 차별 = 128 C. 소결 = 137 Ⅳ. 보살핌 가치의 재평가와 책임의 공유 = 139 A. 관계적 맥락에서 노인보살핌의 의미 = 139 1. 나이듦의 대면과 이해 = 140 2. 사별의 준비와 마지막 기회 = 143 3. 보살핌이라는 공동작업 = 151 B. 보살핌의 참여와 실천 = 155 1. 개별 남성의 참여: 능력, 업적보다 소중한 정서적 유대 = 155 2. 가족을 넘어선 보살핌의 실천 = 166 C. 소결 = 183 Ⅴ. 결론 = 185 참고문헌 = 190 부록 1 사례 소개 = 213 부록 2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 223 ABSTRACT = 2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25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년기 여성의 보살핌 경험과 가치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Senescent Women’s Experience in Care and Value of Care-
dc.creator.othernameLee, Dong Ok-
dc.format.pageⅷ, 22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