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1 Download: 0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경험을 통해 본 돌봄노동의 의미구성과 변화

Title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경험을 통해 본 돌봄노동의 의미구성과 변화
Other Titles
The Meaning of Care Work and Migrant Domestic Labor Experiences
Authors
박홍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재경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the gendered care work is changed and reconstructed in the age of the transnational migration by analyzing the labor experiences of the migrant domestic workers emerging as new care givers in the 1990s. Migrant women's domestic service labor is a representative case showing that the patriarchal gender division of labor in which women take a full burden of care is restructured into division of labor among women on the basis of race, nationality and age in the era of transnational migrant labor. Feminist research on migrant domestic workers' labor experiences conducted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where Korean women and men, and production labor and reproduction labor are gendered globally and within the boundary of Korea as a national state enables us to examine critically how gender and sexuality are monopolized in the international labor market.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how migrant domestic workers' care works are experienced and hav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labor experiences of the migrant women who enter into the global chain of care in which the biological gender difference surrounding specific emotions such as ‘care, consideration, sacrifice, affection and intimacy’ become the major cause of oppression and the key labor resource.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global division of care work is institutionalized in Korean society and how this affects the gender relationship by explaining the influence of migrant domestic workers’ care work increasing owing to globalization on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the care system in Korean socie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grant domestic workers who are carrying out, changing and restrengthening care works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intimacy are an important care worker group in Korean society. They are flowing into Korean society in the socio-economic context characterized by the Korean government’s dual policy on migrant labor, the work permit system and working visit, and the domestic service labor market changing rapidly due to the deficit of care. The gendered migration policy that reshuffles middle and old‐age migrant women who have entered Korea through different migration routes into care works such as housemaids, private nurses, and nursemaids is dividing the women into two groups, ‘victims’ and ‘offenders.’ The main cause of the division is that in the current unstable and vulnerable situation of domestic workers without right to work and even without official statistics, the workers’ various bargaining strategies for survival, on the one hand, make them ‘submissive’ and ‘motherly’ women suitable for domestic works, and, on the other hand, make them ‘offenders’ who bring tears to Korean households or Korean women suffering at both workplace and home. As a result, migrant women’s care work is unfairly undervalued or called ‘the 2nd mother’ or ‘the 3rd kin,’ strengthen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deology surrounding care works. Second, live-in domestic service labor expected from migrant women workers is performing both housework and care works such as consideration, kindness, rearing and nursing, which have been regarded as women’s responsibilities. The labor process of migrant women as service providers is established through contest and negotiation with demand for care work by Korean women employers as service buyers. For them, care works are carried out in inseparable connection with emotional works. Their works are explained by ‘bearing in silence,’ ‘doing works in an attitude of a seller,’ ‘service and sacrifice of doing dirty works avoided by Koreas,’ etc.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that care works of the same type are valu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argaining power of intimacy is a process that migrant women identifies themselves with care workers but, at the same time, it is a process that internalizes or restrengthens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deology forced upon women. In this process, men’s change or active participation is not looked for, and therefore, care work is reduced or minimized into an issue among women and causes the change to hierarchical and segmental care work among women. Lastly, the influence of ‘the globalization of care’ resulting from the inflow of migrant women on the relation between care and gender in Korean society cannot be explained in a word. However, migrant domestic workers’ actions performing, transforming or strengthening care works are leading to the racialization and nationalization of care works, namely, the purchase of domestic service workers’ care works according to race, age and nationality in order to fill the deficit of care. As a result, despite mutually understandable common experiences in care work in the same labor market of ‘working moms,’ women are forcing and restrengthen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deology as ‘natural’ upon one another. This results in the contradictory situation that migrant women’s care works are undervalued and Korean women continue to face the crisis of care due to the irrational working conditions and peculiar labor process of the domestic service labor market. It is because the reality of care work faced by them brings unstable employment, low wage, and ‘temporary and floating’ identity to most migrant women except a small number of women who can establish an equal relation like ‘patron’ or ‘friend’ through exercising their bargaining power. In particular, identification as a ‘temporary and floating’ care worker originates from the discriminative and subordinate labor process, and poses a fundamental and contradictory limitation to Korean policies on migrant labor in solving the crisis of care by utilizing migrant workers at a low cost. This study, which reviews the labor situation of migrant domestic workers from a feminist viewpoint, is also a starting point for criticizing Korean policies on migrant labor that fails to reflect the realities of ‘Asian migrant women’ as a new phenomenon that removes or expands the boundary of famil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Furthermore, this is a practical work that analyzes the migrant women’s human rights. It is because migrant domestic workers’ entering into the domestic service labor market causes not only restriction on the upper limit of Korean domestic service workers’ wage but also lower wage and worse working condition resulting from the competition with them. Therefore, this study whose aim was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migrant domestic workers’ gendered labor is constructed and evaluated, is also a practical one which focuses on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about how women’s care works can be restructured in an equal and non-exploitative way. Now, we should criticize from a feminist view the limitation of economic approaches that discuss women’s care work only as an issue of ‘cost,’ and actively look for social approval and reevaluation of the value of care work. Therefore, this study argues for the fundamental restructuring of the care system and the finding of gender-equal community as an alternative;본 논문은 1990년대 새로운 돌봄노동자로 등장한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노동경험을 통해 성별화된 돌봄노동이 초국적 이주시대에 어떻게 변화되고 재구성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돌봄의 사회화’에 대한 윤리적이고 추상적인 기존의 논의들은 일상생활에서 이주여성 가사노동자를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되고 있는 돌봄노동의 상품화 현실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성들에게 전가되어 왔던 돌봄노동이 수행되는 한국사회의 다양한 맥락과 그 안에 있는 복잡한 의미들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돌봄, 배려, 희생, 사랑, 친밀성’ 등의 특정한 감정을 둘러싼 생물학적 성차가 전지구적 보살핌 사슬 속으로 편입되는 이주여성의 주된 억압의 원인이자 핵심적인 노동자원이 되는 노동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돌봄노동이 어떻게 경험되고 의미화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구화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돌봄노동이 한국사회의 성별분업과 돌봄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함으로써, 돌봄노동의 전지구적 분업이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제도화되고 있으며 이것이 젠더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결론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밀성의 상품화 과정을 통해 돌봄노동을 수행하고 변화 또는 재강화시키는 이주여성 가사노동자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돌봄노동자 집단이다. 이들은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라는 이원화된 한국의 이주노동정책과 돌봄의 공백으로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는 가사서비스 노동시장의 변화라는 사회경제적 맥락 속에서 한국사회로 유입되고 있다. 각기 다른 이주경로를 통해 한국으로 유입된 중․고령 이주여성을 가정부, 간병인, 보모 등의 돌봄노동으로 재편시키는 성별화된 이주정책은 이들을 ‘피해자’ 또는 ‘가해자’의 여성범주로 이분화시키고 있다. 그 주된 원인은 공식통계조차 존재하지 않은 불안정하고 취약한 노동권 부재의 현실 속에서 생존을 위한 가사노동자의 다양한 협상전략이 한편으로는 이들을 가사노동자로 일하기에 적합한 ‘유순한 여성’, ‘모성적인 여성’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가구 또는 일가족 양립의 이중고에 시달리는 한국여성들을 울리는 ‘가해자’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이주여성의 돌봄노동은 부당하게 저평가되거나 또는 ‘제2의 어머니’ 또는 ‘제3의 혈족’으로 호명되면서 기존의 돌봄노동을 둘러싼 성별분업 이데올로기를 강화시키고 있다. 둘째, 이주여성 노동자에게 기대되는 입주 가사서비스 노동은 본질적으로 여성이 지니고 있다고 간주되는 배려, 친절, 양육, 간병 등의 돌봄노동과 가사노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일이다. 서비스 판매자인 이주여성의 노동과정은 서비스 구매자인 한국인 여성고용주의 돌봄노동에 대한 요구와의 경합 또는 협상을 통해 구성된다. 이들에게 돌봄노동은 감정노동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면서 수행되는데, 이들 스스로는 ‘그냥 묵묵히 참는 거’, ‘파는 마음으로 하는 일’, ‘한국인이 기피하는 더러운 일을 하는 봉사와 희생’ 등의 언어로 설명하고 있다. 특히 친밀성의 협상력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동일한 유형의 돌봄노동의 가치 평가가 달라지는 경험은 이주여성들 스스로를 돌봄노동자로 정체화하게 만드는 과정이기도 하지만, 여성에게 강제되어 왔던 성별분업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거나 재강화시키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남성의 변화나 적극적인 참여를 모색하지 않고 있어, 돌봄노동의 문제는 여성들 사이의 문제로 축소되거나 사소화되면서 여성들 사이의 위계적이고 분절적인 돌봄노동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주여성의 유입으로 인한 ‘돌봄의 지구화’가 한국사회의 돌봄과 젠더 관계에 끼치는 영향은 단언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돌봄노동을 수행하고 변형, 또는 강화하는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행위성은 돌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인종, 연령, 그리고 국적에 따라 가사서비스 노동자의 돌봄노동을 구매하는 돌봄노동의 인종화와 민족화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로 인해, ‘일하는 모성’, ‘워킹맘’의 동일한 노동시장 경험에 비추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공통의 돌봄노동 경험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이 서로에게 성별분업 이데올로기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강제하고 재강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는 이주여성의 돌봄노동을 평가절하하게 만들 뿐 아니라 가사서비스 노동시장의 불합리한 노동조건과 노동과정의 특수성으로 인해 오히려 여성들을 한국 가족이 직면하고 있는 돌봄의 위기를 지속하고 만드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하게 만들고 있다. 이들이 직면하게 되는 돌봄노동의 현실이 교섭력을 발휘하여 ‘후원자(patron)’ 또는 ‘친구(friend)’와 같은 대등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소수의 여성을 제외한 대다수 이주여성에게 불안정한 고용, 저임금, 그리고 ‘임시적이고 유동적’인 노동자 정체성을 구성하도록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임시적이고 유동적’인 돌봄노동자로서의 정체화 과정은 차별적이고 종속적인 노동과정에서 비롯되는 것으로서, ‘낮은 비용’으로 이주노동자를 활용하고자 하는 한국의 이주노동정책이 돌봄의 위기를 해결함에 있어 근본적이고 모순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노동현실을 여성학적 시각으로 재검토하는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가족의 경계를 해체하거나 확장시키는 새로운 현상으로서의 ‘아시아 이주 여성’의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국의 이주노동정책을 비판하고 재검토하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이뿐 아니라 대안적인 지구화를 주창하는 학자들이 말하는 ‘바닥으로의 무한경쟁’을 극복하고 이주여성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돌봄노동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실천적인 작업이기도 하다. 이주여성 가사노동자의 가사서비스 노동시장 진입은 실제 한국 가사서비스 노동자의 임금 상한선을 제한하는 효과를 초래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들과의 경쟁을 통해 더 낮은 임금과 강도 높은 노동조건을 감수하도록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돌봄제도의 근본적인 재구성과 성평등한 공동체적 대안을 함께 모색해야 나가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제는 여성의 돌봄노동을 ‘비용’의 문제로만 논의하는 경제적인 접근법의 한계를 여성주의 시각으로 비판하고, 돌봄노동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사회적 승인과 재평가 작업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