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이재은-
dc.creator이재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0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53-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has sought to propose a basis for a plan to strengthen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which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s per category of social support. This was achieved by understanding the level of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that operates as an important factor for economic independence and escape from poverty on the part of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The places that were surveyed include a prioritized random sampling of 5 centers from among 51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which gave consent to provide cooperation for the study, and of 4 centers located in the greater Seoul and Gyeonggi area from among 19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which are affiliated to the Child Find Korea. 20 copies each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9 centers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180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social support and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in respect to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grows stronger as emotional support, which forms one of the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for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becomes greater. As such, a program for emotional independence needs to be developed to instill a will to become independent on the part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Emotional independence denotes running one's own life based on self initiative by taking on an attitude that refuses to depend on others but is willing to come up with solutions autonomously when faced with a problem. To ensure such an emotional independenc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systematic and sustained counseling program for emotional factors that impede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such as psychological pain caused by problems of childcare, divorce, or bereavement, despair derived from personal relationship, and anxiety over the possible hereditary nature of poverty. And based on this, there is a need for motivation to maintai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o acquire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on the part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grows stronger when information based support, which forms one of the components of social support for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becomes greater. Thus, provision of diverse information on job training to assist with the problems of childcare or economic poverty as well as for independence and on social welfare service for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s are necessary. There is a need to convert from a one sided, temporary form of support to a sustained and an integrated service that supports independence via a welfare teamwork among related systems. Third, social support does not seem to exert any meaningful influence upon aspiration for work, which constitutes one of the lower components of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on the part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This can be interpreted by recognizing that while the influence in respect to self confidence or self control via social support remains an issue confined to the level of personal psychology, the social skills related to whether one has the necessary work skills or language acquisition capability for actual employment as a householder of a single parent family precedes other factors. This implies that social support does not impact work aspiration. Hence, if a support that can inspire practical aspiration for work in regard to work training appropriate for a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is provided along with social support, then it is judged that it can play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work aspiration. If one were to draw up implications and proposals for social support and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for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would be as follows. First, a program for emotional independence to instill a will to become independent on the part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is necessary. Second, there is a need to convert to a sustained and comprehensive service to support independence via a provision of diverse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service for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Third, while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on the part of the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is important to move out of poverty, what needs to precede is a variety of research on the method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for independence and on the creation of favorable environment. The role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each specialized fields is important for ensuring wide utilization of the program of independence for low 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Also, social welfare specialists from each field should introduce a plan for individual persons and cases in order to ensure complete independence rather than making possible only temporary self support. They should also develop a yet more effective program of independence by furnishing training and service for self support appropriate for each individual.;본 연구는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들의 경제적 자립과 빈곤탈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자립의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지지 유형별 특성에 맞는 지지 자립의지 강화방안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했다.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지지 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하여 정서적 자립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정서적 자립은 어떠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해결해나가려는 태도를 가짐으로써 자신감 있는 자기 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서적 자립을 위해서는 저소득 한보무 여성가구주가 경험하는 자립의지를 저해하는 정서적인 요소, 즉 자녀 양육 문제나 이혼 및 사별로 인한 심리적 상처, 사람에 대한 절망감, 빈곤의 세습화에 대한 불안감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상담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심리적인 안정과 자립의지에 대한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둘째,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지지 요인 중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가 직면하고 있는 자녀양육이나 경제적 빈곤 문제를 비롯해 자립을 위한 취업교육 및 한부모 여성가구를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단면적, 일시적인 지원보다는 관련 체계들 간의 복지적 팀웍을 통해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자립지원 서비스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지지는 자립의지의 하위요인 중 근로의욕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자신감이나 자기통제에 대한 영향은 개인의 심리적 차원의 문제이나, 근로의욕의 경우는 개인의 심리적 차원이라기보다는, 한부모 가정의 가구주로서 실제 일을 할 수 있기 위한 기술습득 상태 또는 언어습득 능력 등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와 관련된 사회적 기술이 선행된다는 점에서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와 더불어 한부모 여성가구주에게 맞는 직업훈련 등에 대한 실질적인 근로의욕을 일으킬 수 있는 지지가 제공되면 근로의욕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에 대한 함의 및 제언을 도출하자면 첫째,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하여 정서적 자립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을 통해 지속적이고 통합적인 자립지원 서비스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빈곤탈피를 위해서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의지가 중요하지만 자립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 및 환경적 여건 마련에 있어서도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프로그램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전문분야별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각 분야의 사회복지 전문가들이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의 일시적인 자활이 아닌 전반적인 자립을 위한 개별 사례별 계획을 수입하고, 대상에 맞춘 교육 및 자립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인 자립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의의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의 빈곤 = 4 1.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의 빈곤현황 = 4 2.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의 자립의지 = 7 B.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1 1. 인구사회학적 변인 = 11 2. 사회적 지지 변인 = 13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 21 1. 연구모형 = 21 2. 연구문제 = 22 B.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23 1. 조사대상 = 23 2. 자료수집방법 = 23 C. 연구변수 및 측정도구 = 25 1. 종속변수 (자립의지 척도) = 25 2. 독립변수 (사회적 지지 척도) = 26 3. 통제변수(인구학적 특성) = 27 4. 설문지 구성내용 = 28 D. 분석방법 = 29 Ⅳ. 조사결과 = 30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0 1. 인구학적 통계에 따른 분석 = 30 2.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및 자립의지 정도 = 33 B.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립의지 수준 차이 = 35 C.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와의 관계 = 40 1.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와 상관관계 = 40 2. 사회적 지지 하위변수와 자립의지 하위변수의 상관관계 = 41 D.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 41 Ⅴ. 결론 및 제언 = 47 A. 연구결과의 요약 = 47 B. 연구결과 함의 및 제언 = 50 C. 연구의 한계 = 52 참고문헌 = 53 부록 -설문지 = 60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42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적지지가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Independent Will of Low-income Single parent female householder-
dc.creator.othernameLee, Jea Eun-
dc.format.pageⅴ,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