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4 Download: 0

미혼 양육모의 부모 역할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미혼 양육모의 부모 역할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unmarried mothers
Authors
이성원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stress from parenting, social supports, and parenting motivation influence the parental-role satisfaction of unmarried mot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1) the degree of the parental-rol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s, and parenting willingness among unmarried mothers, 2) the possible effe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mber of pregnancy, and number of birth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ose variables, and 3)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stress from parenting and parental-role satisfaction due to th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motiv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98 unmarried mothers who are residing in 17 residential facilities and 47 unmarried mothers living in community in Korea. From 145 questionnaires, only 11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111 were applicable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used Parent Satisfaction Scale(PSS), Parenting Stress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Parenting Willingness Scal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parental-role satisfaction among unmarried mothers was very high(mean=5.9855, SD=.9930), parenting stress was mid-level(mean=2.8903, SD=.7336). Also level of social Supports was mid-level(mean=2.8628, SD=.6977, and parenting motivation was very high(mean=4.1822, SD=.6977). 2. The degree of parental-role satisfac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residence groups and the number of birth. Parenting stress had different result depending on residence groups, and the degree of social suppor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 and number of pregnancy. The degree of parenting willingness, however, indicated no noticeable difference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mber of pregnancy and number of birth. 3. Parenting stress of unmarried mother had some influence over parental-role satisfaction directly, and social supports revealed existence of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of the two variables. Especially, professional, emotional, informational, material supports had relatively strong mediating effects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outcome 4. Parenting motivation also supported existence of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rol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social work practice, policy, and later study were discussed.;본 연구는 미혼 양육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양육 의지가 어떻게 부모 역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미혼 양육모의 부모 역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이끌어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혼 양육모의 부모 역할 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 의지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신 관련 특성에 따라 이들 변인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양육 스트레스가 부모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양육 의지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국 27개의 미혼모자 보호시설과 19개의 공동생활가정 중 총 17개소에 입소한 미혼양육모 98명과 시설 보호를 받지 아니하는 지역사회 거주 미혼 양육모 4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우편을 통해 총 145부 배포하여 114부를 수거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에 해당되지 않거나 응답이 부실한 3부를 제외한 111부를 본 연구를 위한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다음과 같다. 1) 부모 역할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Duke 등(1997)이 개발한 'Parent Satisfaction Scale(PSS)'을 서혜영과 이숙현(2002)이 번안한 척도, 2)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개발한 양육 스트레스 척도 중 취업모에 해당되는 문항을 제외한 척도, 3)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김인숙(1994)이 수정한 사회적 지지 척도, 4) 양육 의지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새롭게 척도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의 수준으로 부모 역할 만족도는 평균 5.9855(SD=.9930)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양육 스트레스는 평균 2.8903(SD=.7336)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사회적 지지 총합은 2.8628(SD=.6977)로 중간 정도 수준이었고, 양육 의지는 평균 4.1822(SD=.6991)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미혼 양육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임신 관련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 역할 만족도는 거주지 형태와 출산 횟수에 따라서, 그리고 양육 스트레스는 거주지 형태에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자녀 월령과 임신 횟수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양육 의지는 모든 인구사회학적, 임신 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부모 역할 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총합, 양육 의지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른 세 변인과 사회적 지지의 제공원 및 지지 형태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미혼부 지지를 제외한 모든 제공원과 지지 형태 변인이 부모 역할 만족도, 양육 스트레스, 양육 의지와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미혼 양육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부모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 총합이, 그리고 지지 제공원 중 전문가 지지, 지지 형태로 정서적, 정보적, 도구적 지지 모두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각각의 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미혼 양육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부모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의지도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며, 이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도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개입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0대 미혼 양육모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가 개발, 제공되어야 한다. 10대 미혼모들이 ‘부모’가 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청소년이며 청소년기 발달과업의 완수가 필요하므로, 이들의 청소년기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하다. 특히 이들이 자녀를 양육하면서도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들이 어머니로서 자녀를 책임질 수 있게 되기까지 정부와 사회, 사회복지 시설 및 단체의 장기간에 걸친 지원이 매우 필요하다. 둘째, 미혼 양육모의 기본적인 생계 보장과 안정적인 자립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가 정비되어야 한다. 본 연구 대상자의 소득 수준과 학력을 살펴보았을 때, 향후 이들의 기본적인 생계 유지와 자립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최근 미혼 양육모에 대한 정부 및 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미혼모 관련 시설을 중심으로 한 지원이 대부분으로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미혼 양육모들은 여러 복지 서비스로부터 소외되어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미혼 양육모들이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각종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제공과 상담 및 교육 지원, 위기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담당할 수 있는 지역사회 거점 기관들이 설치, 운영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 양육모 및 그 자녀에 대한 관심과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지역사회 거주 미혼 양육모들이 시설에 보호 중인 이들에 비해 양육 스트레스가 높고 부모 역할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보호를 받는 미혼 양육모의 수가 전체 미혼 양육모 중 극히 일부이고 대부분이 지역사회에 머물고 있음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미혼 양육모와 그 자녀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보건복지가족부에서 2009년도부터 선정하여 지원하기 시작한 ‘미혼모(부) 지원 거점기관’은 기존에 미혼 양육모를 지원하고 있던 기관과 긴밀히 협력하여 미혼 양육모의 현황과 특성, 어려움, 욕구 등을 충분히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미혼 양육모의 현실과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미혼모자 보호시설과 공동생활가정 등에서는 퇴소한 미혼 양육모에 대한 적극적인 사후관리서비스를 통해 퇴소한 미혼 양육모들이 실제로 지역사회에 나가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개입하여야 한다. 넷째, 미혼 양육모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임상적 개입이 필요하다. 기존의 미혼 양육모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은 기본적인 주거와 생계문제 해결, 취업준비와 자립을 위한 교육 훈련, 부모역할 교육 등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미혼 양육모들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 및 구체적인 내용을 사정할 필요가 있으며,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미혼 양육모의 부모 역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이들의 양육 스트레스를 낮추는 개입이 필요하며, 이 때 사회적 지지의 효과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특히 본 연구 결과를 비추어볼 때, 시설이나 지역사회 기관에서 전문가에 의한 개입이 보다 미혼 양육모의 욕구에 부합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모든 형태가 양육 스트레스를 낮추어 부모 역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 과정에서 중요하므로 기존의 경제적 자립에 초점을 맞춘 지원 뿐 아니라, 정서적 지지와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지지 형태임을 고려하여 이와 관련된 임상적 개입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미혼 양육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낮추어 부모 역할 만족도를 높이는 개입을 하고자 할 때, 양육 의지를 고취시키는 노력을 통해 그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미혼 양육모들에 대해 개입하는 사회복지 기관에서는 미혼모들이 아기장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양육 의사 및 의지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 뿐 아니라 출산 후 양육하는 과정 중에도 지속적으로 양육 의지를 사정하고 양육 의지를 높이기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