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9 Download: 0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

Title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process and criteria
Authors
강수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국가수준에서 실시된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을 조사하고 실제 평가과정과 지표의 적용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알아봄으로 앞으로 실시될 유치원 평가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변인(지역, 학급수,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평가위원의 인식은 어떠하며 변인(소속기관, 교직경력,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위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2-3.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평가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실제 적용과정은 어떠한가? 3-1. 유치원 평가의 과정에서 경험한 평가의 의미, 평가과정의 어려움,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3-2. 유치원 평가지표 적용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번과 2번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3번을 위해 면담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번과 2번의 설문조사를 위해 2008년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16개 시도의 국공립 유치원 교사 635명, 평가위원 21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2009년 1월부터 4월까지 우편조사와 이메일조사,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한 조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3번 면담 연구를 위해 2009년 1월부터 4월 사이에 유치원 교사 15명, 평가위원 15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과정 중 자체평가보고서, 서면평가자료, 평가위원 연수 자료 등 평가 관련 자료를 함께 보면서 면담을 진행하였고 모든 내용은 음성녹음 한 후 전사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자료정리, 자료 해석을 위한 내용 이해 및 범주화, 자료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동료 확인을 받았으며 참여자의 재확인(member-check)을 받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연수 방법과 시간에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평가과정 중 교사는 자체평가과정에서 객관적인 평가기준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고, 평가위원은 서면평가의 근거와 평가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평가과정 중 가장 큰 문제점으로 교사와 평가위원 모두 평가로 인해 유아들의 수업준비가 소홀한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였으며, 가장 보완되어야 할 점으로 구체적인 평가메뉴얼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지역과 학급수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었고, 평가결과 공개에 대해 학급수와 교직경력, 평가위원의 소속기관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의 질적 수준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고, 교사와 평가위원 모두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에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유치원 평가결과 공개에 대해서는 교사와 평가위원 모두 해당 유치원에게만 공개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영역에 대해 교사 평가위원 모두 교육과정 영역을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에게 가장 준비하기 어려운 영역은 교육과정 영역으로 나타났고 평가위원에게 가장 평가하기 어려운 영역은 운영관리 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영역 및 지표에서 가장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 평가지표에 따른 구체적 준거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나타났고, 교사는 학급수에 따라, 평가위원은 공사립에 따라 지표가 달라져야 한다고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실제 평가적용과정에 대한 면담을 통해 평가의 의미와 평가과정의 어려움, 성공적인 평가준비를 위한 개선점이 제안되었다. 교사는 자신을 돌아보는 반성의 기회 갖기,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고 전문성을 높이기, 유치원의 전반적인 체제를 정비하기, 전체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평가위원은 학교평가의 일환으로 국가수준 평가의 시도, 유치원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 초등학교 겸임원장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이해,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를 평가의 의미 있는 긍정적인 일로 보았다. 교사가 평가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서류를 통한 결과물 위주의 평가, 현장평가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 유치원의 업무와 평가업무의 이중적 부담, 지역별 학급규모별 평가지원 체계 부족, 평가의 목적 및 방법의 이해 부족, 평가자체에 대한 부담감을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다. 평가위원이 인식하는 평가과정중의 어려움으로는 평가관점의 차이에 따른 어려움, 지역별, 학급규모별 다양성에 따른 병설유치원 평가의 어려움, 현장방문평가와 서면평가의 차이에 따른 평가의 정확성 부족, 현장평가시행 시기와 시간조정의 어려움, 평가보고서 작성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평가의 성공적인 준비를 위하여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지원 체제 마련, 현장의 실정을 감안한 평가 실시, 구체적인 사례중심의 연수 시행, 평가 결과의 효율적인 활용, 평가 후 지속적인 관리 필요를 제안하였다. 평가위원은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 체제 구축, 지역별 학급규모별 상황을 감안한 융통성 있는 평가 시행, 서류중심 평가가 아닌 현장 중심 평가로 평가체제 전환, 국가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평가 연구가 필요,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적 정책적 차원에서 유치원 평가를 실시한 후 1주기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평가 1주기 동안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유치원에서의 강점과 약점, 개선 점, 지원이 필요한 점을 정확하게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평가지표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평가자에 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교육청 차원에서는 체계적인 평가 연수준비를 위해 평가의 목적에 대한 이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례중심의 연수, 평가전에 유치원의 부족한 부분의 장학과 지원을 유치원에 제공해야한다. 전문적인 인력지원을 위해 평가 받았던 유치원의 원감이나 교사를 활용하고, 교사의 수업개선과 평가준비를 위한 비디오 자료 제작, 경력 교사와 초임교사와의 멘토링을 활성화하고 도와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준다. 셋째, 유치원 차원에서는 국가수준의 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외부에서의 관리감독을 넘어서서 자체 내에서 일종의 자발적인 자율장학이 되도록 시스템을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유치원의 규모나 지역, 유치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는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위해 평가위원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평가위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교육청에서는 유아교육 전문가를 확보하여 평가실시 준비 단계에서부터 노력하며, 현장평가방법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perceived the process and criteria of Kindergarten evaluation, which was conducted at national level in 2008,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adopting the evaluation process and the criteria in the actual condition and eventually to find a desirable method for Kindergarten evaluation to be conducted in the years to come. Specific questions of this research for attaining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1-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and is ther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variable(region, the number of classes and the length of career)? 1-2. How do assesso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variable(region, institution and the length of career)? 1-3. I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evalu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2.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perceive the evaluation criteria? 2-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evaluation criteria? 2-2. How do assessors perceive the evaluation criteria? 2-3. I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criteria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3. What are the opin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about adopting the evaluation process and criteria in the actual condition? 3-1. What are the opinions about the meaning and difficulties and advanc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process? 3-2. What are the opinions about the difficulties and advanc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Criteria? Question 1 and 2 were asked through questionnaire and answered by 635 Kindergarten teachers(Whose kindergartens are located in 16 cities nation wide) 210 assessor, who took part in Kindergarten evaluation conducted in 2008. Besides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postal mail, by e-mail, and on internet site as well from January to April in 2009. Question 3 was asked through interviews and answered by 15 Kindergarten teachers, and 15 assessors from January to April in 2009.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For the survey data, frequencies, percentiles, independent samples, t-tests, Chi-Squares, one-way ANOVAs, and post hoc Scheffé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interview data were identified by 2 professio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ember-checked by participants in order to make the data understood, categorized and objec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t perception of evaluation process was found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And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showed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problems, advancements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But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reported that the evaluation had been help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of child care process and that there need to be advancements in training time and methods. They both pointed that the biggest difficulty was to be deprived of time for preparing class by the evaluation and the advancement for the assesment was to provide more specific evaluation manuals. As for revelation of results, both of them wanted the results to be revealed only to the kindergarten involved. Second, curriculum domain of evaluation criteria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t by both teachers and assessor, but curriculum domain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difficult part to prepare by teachers. Management domain of evaluation criteria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difficult part to assess by assessor. Both parties agreed that the most required advancement was specific standards referred to evaluation criteria. But they showed different opinions in that teachers perceived the standards ne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and assesor perceived depending on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Third, teachers replied in interview that the evaluation provided a chance to reflect them, develop their professionality, review the system of kindergartens and have a whole view of their kindergartens. And assessors reported that the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kindergartens in terms of the attempt to assess kindergartens at national level, the expectation of advanced quality of kindergartens, aid for principals serving consistently as elementary principals and a chance to advance an understanding of the field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Kindergarten teacher had difficulties in result-targeted evaluation by documents, improperly, conducted evaluation of the filed., doubled burden by kindergarten's task and evaluation task, insufficiently evaluation system supported depending on various areas and classes, burden caused by evaluation itself, and limited understanding of evaluation purpose and methods. On the other hand, assessor experienced difficulties like different points of view about evaluation, evaluation considering variety of classes, kindergartens established as an annex, deficient reliability of evalu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filed visit evaluation and document(self evaluation report) evaluation, time and period arrangement of evaluation performance in the field and preparation of the narrative evaluation reports. In conclusion, we can find i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kindergarten evaluations can be activated through constant research on adoption of evaluation criteria in the filed and effective organization of assessor and effective one-period evaluation.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and aseessors have to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evaluation. The training program including principals and managers are expected to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evaluation process through participating training which provides more various cases and methods, more than once during winter vacation. Third, effective evaluation can be performed by supporting professional personnel and environments to kindergartens. To be more specific, producing and providing video materials, taking advantage of superior principals and manages, mentoring of experienced teachers and differentiating training methods depending on the years of career are suggested. Fourth, fair evaluation can be conducted by raising reliability professional through pre- and post- conference among professional personnel. Fifth and last, more flexible evaluation is required considering various backgrounds of private or public kindergartens, the number of classes and located areas and so 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