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거문고 산조 자진모리 비교연구

Title
거문고 산조 자진모리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Geomungo Sanjo Jajinmori : Focus on Hangapdeuk Style and Kimyunduk Style
Authors
유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Nowadays it is Shinkwedong style, Hangapdeuk style, and Kimyunduk style that Geomungo Sanjo has been descended from. Shinkwedong and Hangapdeuk style have been played largely and handed down, while Kimyunduk style is little coming down because his style is very similar to his teacher's, Han Gap-deuk. However, as one of the styles by the Geomungo Sanjo classification, Kimyunduk style is also needed to be regarded importantly for its history. To address its worthy and importance, it will be identified the distinguished features from Hangapdeuk's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similar to hi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melody of Geomungo Sanjo between them. In this study, it is compared Jajinmori 384 rhythm of Kimyunduk style to 492 rhythm of Hangapdeuk's, and the results are as be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hythm and playing sequence in each Jajinmori composition(specially, section 39 of Hangapdeuk style, and section 28 of Kimyunduk style) of the note, 『Geomungo Sanjo 3 Batangs』, which was taken a transcription by Cheong Dae-seok(1990, Eunha publishment), it can be found Kimyunduk didn't just follow his teacher's composition styl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goe(a prop of string), scale, and chung, Kim Yun-duk divided sections and re-organized the playing sequence as his own standard, which results in accomplishing his own Geomungo Sanjo Jajinmori style with bright and vigorous melodies centered on 5 goe and 8 goe. Second, in a comparison of the melody, it is found completely same melody 33%, similar 26%, variation 31%, and unique 10%, which means 90% of Kimyunduk style is influenced by Hangapdeuk's. However, despite the melody influenced by Hangapdeuk style, Kimyunduk style is stronger and more masculine because there are relatively more daejoem frequency, jeonseong, chuseong, and stacato, than Hangapdeuk's, while Hangapdeuk style is softer and more sensitive with a more sojeom frequency. And More dividing beats in Kimyunduk style make play richer and tighter. The unique melody of Kimyunduk's consists of 9% variation and 1% his own style, and its Jajinmori composition is not emphasis on one point but arranged evenly. And also Hangapdeuk style is consisted of Kyemyun melody with 5 goe and 8 goe, and Ujo melody with 4 goe and 7 goe, while his unique melody is only comprised of Kyemyun melody. In conclusion, the Goemungo Sanjo of Hangapdeuk style is soft and sensitive but that of Kimyunduk's is stronger and vigorous with the exact and detailed beat division. And also, as the above mentioned, Kim Yunduk made his own style with dividing section and arranging playing sequence based on his own standard. Despite similar melodies and composition, they can be played differently by each player and depending on the way of playing, which sometimes creates a new style. With this conclusion, we can find the Sanjo, originally based on each player's personality and musicality, is a music to make players play on the way what they want. As a different style, and for more diverse and abundant styles in Goemungo Sanjo, I wish Kimyunduk style also be played more and handed down.;현재 전해지고 있는 거문고 산조는 신쾌동류, 한갑득류, 김윤덕류이다. 신쾌동류와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가 활발하게 연주되며 전승되고 있는 반면,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는 그의 거문고 산조 스승이었던 한갑득의 선율과 많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거의 전승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가 현재 전하고 있는 거문고 산조의 한 유파로서 그 중요성과 의미를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바,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와 가장 유사하다는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와의 구성과 선율비교연구를 통해 두 유파간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김윤덕만의 독창적인 구성과 선율을 밝혀 독특한 특징을 찾아냄으로써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의 중요성과 의미를 찾고 한다. 연구범위는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 자진모리 492장단과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 자진모리 384장단이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에 사용된 악보인 정대석채보,『거문고 산조 세바탕』,(은하출판사.1990)에 의해 구분되어있는 단락을 기준으로 (한갑득류 39부분, 김윤덕류 28부분) 한갑득류와 김윤덕류의 거문고 산조 자진모리 구성을 비교하여 장단순서와 연주순서의 차이를 밝힌 결과 김윤덕은 한갑득의 구성 그대로를 답습하지 않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괘법의 변화, 조와 청의 변화에 따라 김윤덕 본인만의 기준으로 단락을 구분하고 연주순서를 재구성하였고, 5괘, 8괘법 위주의 선율로 구성된 씩씩하고 밝은 느낌의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 자진모리를 완성시켰다. 둘째, 한갑득류와 김윤덕류의 거문고 산조 자진모리 선율을 비교한 결과 완전동일선율33%, 동일선율26%, 변화선율31%, 독창선율10% 김윤덕이 한갑득에게 영향을 받은 선율은 90%를 차지했다. 그러나 한갑득에게 영향을 받은 선율일지라도 연주법상에 있어서 한갑득류는 자출과 소점의 빈도수가 많아 섬세하고 부드러운 연주가 가능한 반면 김윤덕류는 한갑득류보다 대점의 빈도수가 많고 전성, 추성, 스타카토식의 끊는 기법 등 강한 음색을 내는 시김새의 빈도수가 많아 강하고 남성적인 힘찬 연주가 가능하다. 또, 박의 분할에 있어서 김윤덕류가 박을 분할하는 횟수가 많아 한갑득류보다 풍부하고 꽉찬 느낌의 연주가 가능하다. 김윤덕류의 독창선율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변화 독창선율 9%와 김윤덕만의 순수 독창선율 1%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자진모리 구성에 있어 어느 한곳에 치중되어 있지 않고 골고루 분포 되어있다. 한갑득류의 독창선율은 5괘, 8괘법의 계면선율과 4괘, 7괘법의 우조선율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반면, 김윤덕류의 독창선율은 계면선율로만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한갑득은 섬세한 시김새와 부드러운 연주법으로 거문고 산조를 연주하였으며, 김윤덕은 한갑득과는 구분되는 강하고 박력있는 연주법과 정확하고 세밀한 박의 분할로 거문고 산조를 연주하였다. 또, 김윤덕은 한갑득의 구성을 그대로 답습하지않고 본인만의 기준으로 단락을 구분하고 연주순서를 구성하여 현재의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 자진모리가 완성되었음을 밝혔다. 유사한 선율과 구성을 가진 음악이라 해도 연주자마다 연주법상의 차이와 특성에 따라 음악의 분위기가 달라지고, 새로운 유파가 형성된다는 결론은, 산조의 전형적 성격인 연주가들의 독창성과 음악성이 마음껏 발휘되는 음악이란 점을 잘 증명해준다. 이로써 본 연구를 마치며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와는 또 다른, 독특한 예술성을 가진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가 널리 전승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