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서울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접근방법과 자치구 프로모션 캐릭터 연구

Title
서울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접근방법과 자치구 프로모션 캐릭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omotional Wards Character of Seoul as an approach to Seoul City Brand Identity Strategy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정
Abstract
This study starts from problem of Seoul Brand Identity. On the moment, 'Hi Seoul', formal brand identity of Seoul is known to thousands of people, however it is hard to find visual relationship with brand policies. Moreover, various brand policies are not tied with one powerful marketing strategy, government efforts to brand its city do not go public. What is worse, 25 wards which actually perform the policies use their own symbol and identity system applying to variety of communication sources, that disperses Seoul's brand image. Throughout research from overseas, foreign cities sometimes uses short term city promotional character instead of recreate their city brand identities for strengthen their city image. Doing that, the cities expect to announce their effort about city brand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a way to cover up Seoul City Brand Identity by building short term promotion character. In order to supply existing brand identities problem of not reflecting specialties of Seoul, the short term identity mainly tried to show its Seoul's originality. Between several Seoul's personalities, I paid attention to 25 boroughs with different name of origins which made up Seoul, Symbolizing each meaning of borough's name. I design communication identity system consist of 25 boroughs cultural aspects giving identical Seoul image. It would be effectively applied several visual system such as Seoul festival, construction site sign, building skin, stationary, etc., that can provide economic and esthetic effect.;도시 간 교류가 활발해지고 지역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던 브랜드의 개념이 지역으로, 도시로, 국가로 확장되었다. 도시가 마케팅의 대상으로 인식되면서 복합적인 도시 문화와 콘텐츠를 하나의 이미지로 묶으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서울도 ‘디자인 서울’을 표방하며 서울의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고자 다양한 도시브랜드 관련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현재 서울은 디자인 서울총괄본부와 서울관광마케팅주식회사를 통해 서울시를 브랜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브랜드 관리를 위한 서울시의 노력에 비해 효과성은 의문시되고 있다. 도시를 브랜딩하기 위한 노력은 다방면에서 일관성있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문화자원, 개발정책, 인적자원활용, 이벤트, 인프라 구축 등의 브랜드 실천 전략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서 하나의 이미지로 그려져야 한다. 시각 아이덴티티는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을 기호화 하여 쉽게 식별하게 만드는 표식일 뿐 아니라, 현대 감성 마케팅 시대에는 대상이 실제로 갖고 있지 않은 연상과 감성까지도 불어넣을 수 있는 차별화, 개성화 전략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의 도시와 같이 유사한 성격과 형태를 가진 대상일 경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강력하게 펼치는 마케팅을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전략적으로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오늘날 서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인지도, 친밀도는 높으나 현재 진행 중인 브랜드정책을 포괄하기에는 시각적 연관성이 떨어진다. 또한 도시브랜딩에서는 도시를 나타내는 아이덴티티를 관용 목적의 심벌과 커뮤니케이션 목적의 브랜드아이덴티티로 나누어 사용하는데, 서울의 경우 명확한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서울시의 도시브랜드를 보완할 수 있는 단기의 홍보성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시가 가진 특성 중 개별 자치구가 개성과 권력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운영된다는 점을 들어 자치구 프로모션 캐릭터를 활용한 서울 브랜드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오늘날 캐릭터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의미로 많이 쓰이고 있지만 본래 시각기호나 상징을 뜻한다. 본 논문에서는 장기적·공식적 의미를 가진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구분하여, 단기적으로 쓰이며 행사나 축제 등에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용도의 아이덴티티를 프로모션 캐릭터라 정의한다. 자치구의 권력이 비대해 각 자치구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따로 사용한다는 서울의 특수성 때문에 정확히 동일한 사례는 없었지만 도시브랜드개선을 위한 아이덴티티나 캐릭터 중심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을 명시하였고, 2장에서는 도시브랜드아이덴티티와 프로모션 캐릭터의 개념과 변천을 조망하였다. 3장에서는 서울시 도시브랜드 정책과 도시브랜드아이덴티티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외에서의 프로모션 캐릭터 활용사례를 분석하며 현재 서울시 도시브랜드아이덴티티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현황 분석을 토대로 문제 해결을 위한 25개 자치구의 프로모션 캐릭터 디자인시스템을 제안하였고, 5장에서는 이를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