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현정-
dc.contributor.author이한나-
dc.creator이한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30-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 문화는 영상 문화의 시대라고 불리울 만큼 영상매체의 영향이 매우 광범위해졌다. 관객들은 영상의 홍수 속에서 수 많은 이미지를 보고 그에 적응해가며 자신도 모르게 영상을 보는 안목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영상을 이루는 사회적 측면과 함께 미학적 측면들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요구되는 때라고 할 수 있다. 영상의 기본적인 요소인 시간과 함께 공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공간의 표현에 따라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미지의 완성도가 좌우 될 수도 있다. 본 연구자는 다시점을 이용한 공간감 표현 방법을 연구하고 이를 작품에 적용시켜 영상의 이미지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공간 표현에 대한 연구는 영상 분야에서뿐 아니라 그 이전 회화와 사진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입체파의 피카소와 브라크는 다양한 시점에서 관찰한 사물을 다시 하나의 평면에 재조합 함으로써 독특한 공간 표현을 제시하였으며 영국 화가 데이비드 호크니는 피카소의 이러한 시도를 본받아 사진에서 포토콜라주라는 방법을 통해 다시점을 이용한 공간 표현을 제시하였다. 회화, 사진, 동영상 작품들을 분석하여 다시점 동영상 표현 방법을 정리하고 선행 작품을 통하여 이를 실험해보았다. 이 실험을 통하여 다시점 동영상을 이용한 공간감 표현의 이론적인 측면을 검증해보고 루이스 캐롤의 작품 ‘이상한 나라 앨리스’를 모티브로 한 작품을 제작해본다. ‘이상한 나라 앨리스’는 앨리스가 공간을 이동하면서 각 공간을 반영하는 상징물을 등장시킨다. 즉 ‘이상한 나라 앨리스’는 앨리스의 모험이라는 테마 아래 서로 연관성이 없는 여러 공간과 상징물을 나열하는데 이는 전체적인 통일성을 중요시 하는 소설에 있어서 기발한 시도로 받아들여진다. 본 논문의 작품에서는 ‘이상한 나라 앨리스’에 순차적으로 등장하는 상징물을 나열하고 각 상징물 특성에 따른 표현 방법을 연구하여 완성도 있는 이미지를 제작해 보고자 한다. 동영상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 이미지의 다양성을 부여하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다시점을 이용한 공간감 표현’이라는 방법으로 접근해 보았다. 향후 다시점 외에도 크기, 색, 조명, 원근감, 삽입물의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 다양한 표현 기법을 이용한 창의성 있는 동영상 작품들이 많이 나오기를 바란다.;Modern culture has been so much influenced by video media that it is called a video culture. Having been exposed to numerous images bombarded by videos, the audience has developed their sense of artistic judgment without their knowledg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more studies on aesthetical aspects as well as social aspects of the videos are required. Space that constitutes fundamental elements of the video together with tim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studying the video. Depending on how space is represented in a video, the content that the author wants to convey through the video varies and the degree of its completeness is determined. In this thesis, a method of representing the sense of space using multiple-points-of-view is studied and it is applied to a video to enhance the degree of its completeness. Studies on spatial representation have been made not only in the field of videos but also in the fields of pictures and photographs. The cubists Picasso and Braque presented unique spatial representations by observing object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and then reconstructing them onto a single plane. Following their attempts, the British artist David Hockney also created spatial representations using multiple-points-of-view in his photographs, through a technique called photo collage. In this thesis, pictures, photographs and video works a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multiple-point-of-view video representation method and an experiment is made by applying this method to an existing work of art.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to verify the theoretical aspects of spatial representation using a multiple-point-of-view video, by producing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by Louis Carol in which the spaces Alice travels are represented with the objects that symbolize those spaces. In the original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various spaces and symbols that are seemingly not related to each other are presented under the theme of adventure of a girl named Alice, which was considered an original attempt in the genre of novel that highly valued the overall unity. In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produced for this thesis, the symbols appearing in the original work are presented in their sequential order and how they are represented is studied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the images. In producing this video work, the technique of “representing the space using multiple-points-of-view” is applied to create a diversity of images and enhance their completeness. It is expected that many creative video works are to be produced using various representation techniques through studies of image sizes, colors, lighting, perspectives, and interpositions in addition to multiple-points-of-vie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작품의 목적 및 의의 = 1 2. 작품의 범위 = 3 Ⅱ. 다시점을 이용한 작품 연구 = 5 1. 회화 작품에서의 다시점 연구 = 5 2. 사진 작품에서의 다시점 연구 = 11 3. 동영상 작품에서의 다시점 연구 = 15 1) 영화에서의 다시점 연구 = 15 2) 상업 영상에서의 다시점 연구 = 20 Ⅲ. 다시점 영상의 이론적 배경 = 35 1. 동영상에 있어 공간 표현의 이론적 배경 = 35 1) 동영상에 있어 공간표현의 의미 = 35 2) 동영상에 있어 공간표현의 구성 요소 = 35 2. 동영상에 있어 시간의 이론적 배경 = 36 1) 동영상에 있어 시간의 기본단위 = 36 3. 카메라 앵글에 대한 이론적 배경 = 37 4. 카메라 이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 = 39 Ⅳ. 다시점 동영상을 이용한 작품연구 = 41 1. 선행 연구 작품 제작 배경 = 41 2. 선행 연구 작품의 표현 및 의미 = 43 1) 피카소의 ‘우는 여인’을 이용한 다시점 표현 = 43 2) 운동감 있는 대상물을 이용한 다시점 표현 = 54 3) 정지 된 대상물을 이용한 다시점 표현 = 59 3. 본 연구 작품 제작 = 67 4. 본 연구 작품의 표현 및 의미 = 67 Ⅴ. 결론 = 80 참고문헌 = 82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160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다시점(多視點)을 이용한 영상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thod of Expressions in Video Art using multiple-point-of-view-
dc.creator.othernameLee, Han Nah-
dc.format.pageⅵ,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