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3 Download: 0

1970~1990년대 북한 대회 연구

Title
1970~1990년대 북한 대회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n North Korean Mass Meeting from year 1970 to 1999
Authors
김미연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훈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Kim Il Sung and Kim Jung Il regime practically use mass meeting to firmly maintain structure and confront domestic and foreign emergency. This study analyzes mass meeting, which is the means of North Korea’s propaganda, classified into subject, period and field, based on the cases that utilize propaganda as a powerful method in the stage communism and totalitarianism countries establish and complete their structure. Throughou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earch first focuses on what kinds of mass meeting North Korea holds and what the effect of mass meeting composition is. Second, this study resolves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mass meeting and also functional link among each mass meeting. Third, this research reviews main agenda of specific times which has a meaning of conversion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s social development and relation of types and contents of mass meetings in every period.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s how North Korea applies mass meeting to cope with domestic and foreign emergency in the process of securing justification of structure. First, North Korea holds mass meeting that is managed by central units of the party, cabinet and military and sub units of region, and depending on importance and feature of agenda, times and places of call differs. North Korea gets political effectiveness by organizing and continuing mass meeting in this order. : Introduction of the heads and participants, a report about the meeting, quotation and declamation of letter from Kim Il Sung and Kim Jung Il, an address and debate and resolution of participants. Second, North Korea holds 644 mass meetings in total from year 1970 to 1999. The frequency of the average annual holding gradually increases throughout 17 times in the first period(from 1970 to 1980 before the sixth mass meeting of the party), 23 times in the second period(after the sixth mass meeting of the party until 1994 before the death of Kim Il Sung) and 30 times in the third period(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until 1999). Lik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he average annual holdings, mass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of the party, cabinet and military show moderate increase from 35.8% to 40.7% and to 42.9%. Mass meetings sponsored by social group and sub units of region, however, decrease gradually from 64.2% to 59.3% and to 57.1%. This results from increase in agenda from central units which to emphasize and deliver opinions to public as time goes by. On the other side, mass meetings sponsored by sub units of region(299 times total) shows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the average annual holdings than mass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of the party, cabinet and military(265 times total). This is considered as North Korea’s mass meetings sponsored by sub units of region, who set up direction of inner countermove based on directions of generalization from central units, plays a role in announcing plans that requires active practice. Mass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of the party that presents positively necessary targets of each field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s social development was held 115 times total and it increased during the third period when political bond was urgent due to the death of Kim Il Sung and departure of Kim Jung Il regime.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of the cabinet which consists of urging revitalization in economy and production part and also improvement of the people lives was held 68 times total. It drastically increased in the second period when there was a big public movement to promote revitalization in economy. However, mass meeting was held only 4 times in the third period because at this moment, political union was imminent. Mass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of the military that whose purpose is to claim positive modification of USA’s military strategy against North Korea, protection of the nation and the leader and extension of revolution capacity through military strengthening was held 82 times total. Mass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of the military have an increase from the first period until the third period, from 7.8% to 12.7% and to 16.6%. This is judged as North Korea kept stressing the subject of the military part and as time goes by it increased the intensity, so reaching the third period it used mass meeting positively to utilize and propagate “The military-first strategy” which was made to fit character of regime Kim Jung Il will create. These Mass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of the party, cabinet and military open more practical mass meetings to realize nation policies that the party agreed and these mass meetings, eventually accomplish goals which the party indicated, maximizing effects of mass meetings as they are mutually connected. Mass meetings sponsored by social group and sub units of region were held 181 times and 218 times each and their aim is to support the party’s policies and deliver the will of the heads to the public. Therefore mass meetings sponsored by social group and sub units of region uphold mass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of the party, cabinet and military with the part of labor corps and have organic relationship with mass meetings sponsored by central units as they take part in spreading agenda that the heads wish to convey throughout the whole region. Functional link of Mass meetings sponsored by each subject is also observed in the sub units. Mass meetings sponsored by region support mass meetings sponsored by social group and Korean resident in Japan functionally take charge of similar role. Third, in the order of political ideology, foreign, economy, military and socio culture, agendas of each field is emphasized from year 1970 to 1994 before the death of Kim Il Sung. However, in the third period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the priority order of agenda changes to political ideology, military, foreign relation, economy and socio culture. This is the result of stressing “The military-first strategy” and promoting dissemination to every part as North Korea faced general crisis in the third period rather than putting bond of political ideology in the highest order without separating periods to secure justification of structure. From 1970 to 1980 before the sixth mass meeting of the party, the first period, North Korea was in a situation that has to form establishment of Kim Il Sung’s single authority and incoming system of Kim Jung Il internally and also has to be aware of South Korea externally. North Korea, hence, emphasizes the “autonomy” and “subject” in the mass meeting to settle Kim Il Sung’s single authority and to plan internal union and meanwhile form the image of Kim Il Sung as a leader of the people. At the same time, an authority base of Kim Jung Il in the military start to form. The second period, after the sixth mass meeting of the party until 1994 before the death of Kim Il Sung, is the period that succession system of Kim Jung Il was announced and also economic crisis began. Thus mass meeting expands political ideology bond units to build up a base of legitimacy structure of Kim Jung Il and back up policies and strategies from each part that Kim Jung Il suggested.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until 1999, the third period, while system of Kim Jung Il departures, North Korea is relaxed politically and is confronted with the whole crisis economically. Therefore, North Korea presents regeneration of its own strength, science-technology solution of production problems and “The military-first strategy” in mass meetings. Also they show goals of completion of achievement in independent revolution to proclaim a base of Kim Jung Il’ authority and stress succession of revolutionary contributions, “Baekdu lineage” and consciousness of blood in mass meetings. It is observed that to attain targets in each period the heads try to deliver agenda which to present and emphasize the public through every mass meeting. Mass meetings that each subject holds create not only effects coincided with the mass meetings purposed but also effects of repetition and accentuation about goals in organic connection. This helps the heads to recognize the agenda which is presented to achieve aims of each political ideology, economy, military, socio culture and foreign relation more clearly and as a result, it accepts the intention of the heads collectively and obtains union and mobilization effect for same target from the public.;본 연구는 북한 김일성․김정일 정권이 체제를 공고히 유지하고 대내외적인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대회를 어떻게 활용해 왔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사회주의 또는 전체주의 국가들이 체제를 수립하고 완성해 나가는 단계에서 선전선동을 정치의 강력한 수단으로 활용한 사례를 바탕으로 북한의 정치선전선동 수단인 대회를 주체별, 시기별, 분야별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북한 대회의 양적 분석, 질적 분석을 통해 먼저 북한에서 개최된 대회의 종류와 대회 구성에 따른 효과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북한의 각급기관, 사회단체가 주관한 대회의 특징과 변화 및 각 대회 간의 기능적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북한 사회발전 과정에서 전환적 의미를 지니는 특정 시기의 주요 의제와 시기별로 개최된 대회의 종류 및 내용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북한이 대내외적 위기에 대응하여 체제 정당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대회를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의 대회는 크게 당, 정, 군의 중앙단위와 외곽사회단체 및 지역의 하위단위 주관으로 개최되며 대회에서 다루는 의제의 중요도와 특성에 따라 소집 기간 및 장소의 차이를 보인다. 북한은 주석단 및 대회 참가자 소개, 대회 보고, 김일성․김정일 서한 인용 및 낭독, 대회 연설, 대회 참가자들의 토론과 결의의 순서로 대회를 구성․진행함으로써 정치적 효과를 거둔다. 둘째, 북한은 1970년부터 1999년까지 총664회의 대회를 개최한다. 연평균 대회 개최 빈도수는 제1시기(1970년~1980년 제6차 당대회 이전)에 17회, 제2시기(제6차 당대회 이후~1994년 김일성 사망 이전)에 23회, 제3시기(김일성 사망 이후~1999년)에 30회로 점차 증가한다. 연평균 대회 개최 빈도수 증가 추이와 마찬가지로 당, 정, 군의 중앙단위 주최 대회 비율도 35.8%→40.7%→42.9%로 점진적인 증가 추이를 보인다. 반면에 외곽사회단체 및 지역의 하위단위 주최 대회는 64.2%→59.3%→57.1%의 비율로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것은 북한이 시기를 거듭할수록 중앙 단위에서 의견을 집약, 총괄적인 방향을 설정하여 대중에게 강조·전달하고자 하는 의제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결과이다. 한편 하위단위 주최 대회(총299회)는 중앙단위 주최 대회(총265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대회 개최 빈도수를 보여준다. 이는 북한의 하위단위 주최 대회가 중앙 단위에서 설정한 총괄적인 방향에 따라 내부적 대응방향을 설정, 적극적 실천이 요구되는 사안들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북한 사회발전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각 분야별 목표를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당 주최 대회는 총115회가 개최되었으며, 김일성 사망과 김정일 정권 출범에 따른 정치사상적 결속이 시급했던 제3시기에 대회 개최 빈도수의 증가를 보인다. 주로 경제와 생산 부문의 활성화, 인민생활의 향상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정 주최 대회는 총68회가 개최되었다. 정 주최 대회 빈도수는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대중적 운동을 대대적으로 추진했던 제2시기에 거의 두 배로 증가하고, 정치사상적 대내 결속이 시급했던 제3시기에는 단 4차례의 대회 개최에 그친다. 군사력 강화를 통한 혁명역량 신장, 조국과 수령 보위, 남한 정부와 미국의 대북 군사 전략의 적극적 수정을 요구하기 위한 목적의 군 주최 대회는 총82회가 개최되었다. 군 주최 대회는 제1시기부터 제3시기까지 7.8%→12.7%→16.6%로 대회 개최 비율 증가 추이를 보인다. 이는 군사 분야에서의 주체를 계속해서 강조하면서 시기를 거듭할수록 그 강도를 높여 제3시기에 이르러서는 김정일 자신이 창출할 정권의 성격에 맞게 만들어낸 ‘선군사상’을 선전하고 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당, 정, 군 중앙단위 주최 대회는 당에서 결정한 국가정책을 실현시키기 위해 보다 실천적인 부문별 대회를 개최하며, 이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대회 효과를 극대화 시켜 궁극적으로는 당이 제시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외곽사회단체 및 지역 주최 대회는 각각 181회, 218회가 개최되었으며, 공통적으로 당 정책을 지지하고 지도부의 의지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것이 대회의 목적이다. 따라서 외곽사회단체 및 지역의 하위단위 주최 대회는 근로단체 부문별로 당, 정, 군의 중앙단위 주최 대회를 뒷받침하고, 지도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제를 전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중앙단위 주최 대회와 유기적인 연결 관계를 갖는다. 각 주체별 대회의 기능적 연관성은 하위부문에서도 관찰된다. 지역 주최 대회는 외곽사회단체 주최 대회를 뒷받침하고, 지역과 총련 단위 대회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 1970년부터 1994년 김일성 사망 이전까지 정치사상>대외>경제>군사>사회문화 순서로 분야별 의제가 강조되었다. 그러나 김일성 사망 이후 제3시기에 이르러 정치사상>군사>대외>경제>사회문화 순서로 북한 당국이 대중에게 전달하는 의제의 우선순위가 달라진다. 이는 북한이 체제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기의 구분 없이 정치사상적 결속을 최우선 순위로 삼았던 반면, 제3시기 총체적 위기에 직면하여 ‘선군’을 강조하고 전 부문으로의 확산을 도모했던 것을 반영하는 결과이다. 1970년부터 1980년 조선노동당 제6차 대회 이전까지의 제1시기 북한은 내부적으로 김일성 유일권력 확립과 김정일 후계체제를 형성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남한 정부를 의식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김일성 유일지배체제 확립을 위해 대회에서 ‘자주’와 ‘주체’를 강조하며 대내적 결속을 도모하는 한편 인민의 지도자 김일성 이미지를 형성한다. 동시에 군부에서의 김정일 권력 기반이 조기 형성되기 시작한다. 1980년 조선노동당 제6차 대회 이후부터 1994년 김일성 사망 이전까지의 제2시기는 김정일 후계체제를 공고화하는 시기임과 동시에 경제적 위기가 시작되던 시기이다. 따라서 북한 대회는 김정일의 체제 정당성 기반을 형성하기 위해 정치사상적 결속 단위를 확대하고 김정일이 제시한 각 부문별 정책과 전략을 지지한다.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부터 1999년까지의 제3시기는 북한이 정치사상적으로 이완되고, 경제적으로는 총체적 위기에 직면하는 한편 김정일 체제 출범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이에 북한은 대회에서 자력갱생, 생산 문제의 과학기술적 해결, 선군을 제시한다. 또한 대회에서는 김정일 권력 기반의 공고화를 위해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이라는 목표가 제시되고 역사적 혁명업적의 계승, 백두혈통과 핏줄의식이 강조된다. 이처럼 정치지도부가 각 시기별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대중에게 제시, 강조하고자 하는 의제를 각종 대회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행태가 관찰된다. 또한 각 주체가 개최하는 대회들은 목적한 바에 따라 그에 부합된 효과를 겨냥함과 동시에 유기적인 연결 속에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강조, 반복 효과를 창출해 낸다. 이는 지도부가 정치사상, 경제, 군사, 사회문화, 대외 각 부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시하는 의제를 대중들이 더욱더 분명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 대중들이 집체적으로 지도부의 의사를 수용하고 공동의 목표를 위해 결속·동원하는 효과를 거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