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정혜윤-
dc.creator정혜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1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153-
dc.description.abstractToday, we became able to describe various colors, and also able to describe hundreds thousands of colors which overcame the fields of basic visible colors thanks to appearance of various video image media, computers based on innovative developing of science technologies. The children and teenagers in present who learnt sense of color from babyhood thanks to improvement value of education, they not only have lots of interesting for colors but also their consciousness of colors shown in various ways, so the importance of color researching and education became more importance gradually. However, preconception that children prefer high chromatic colors which are define as primary colors shown generally because of the frequency cases that there are lack of national researchers so apply just data from foreign researches. Therefore, to research preference emotion of children and teenagers which are change variously, the necessity for plan specific research is rising now before the research for level of preferences based on basic colors. For this research, researcher selected basic names of colors, focused on analyze prefer colors and color tones inside each name of colors and representation fields of basic name of colors which children and teenagers between 4-17 years old recognize. Also, this researcher analyzed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shown in course of growth through observe the changes depend on age of children and teenagers. The results are shown as; Firstly, the color ranges of color names recognized by children and teenagers were mostly disagreed with ruled color ranges in preexisted KS Korean standard color collection. Even though the similar results showed in each ages, there was characteristic showed that elder ones’ recognition ranges were wider than younger ones. Secondly, researcher could gain result that standard representations for blue colors and brown colors are unclear through the analysis that recognition of standard representations for name of blue colors and brown colors were lower than recognition of standard representations for other name of colors. Also, researcher could recognize that color tones act more affects to recognize standard representation of basic color names than brightness or chroma. Thirdly, the level of preference in range of basic color names showed clear differences between genders. There was a trend that female children and teenagers more prefer bright tones than ma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differences on brightness were clear than chroma, but there was similar trend on preference for colors. The level of preference depends on ages have less unclear difference than genders so similar. Lastly, suggested the palette of preference colors based on information the colors and color tones which children and teenagers most prefer. As a result of this, female children and teenagers’ preference palette composed with more various nuances than males, so decided that females are more sensitive with colors than males. This research could re proof the reaction of preference on high chroma, high brightness of children and teenagers which showed as previous research. Researcher could realize that the consciousness of unclear and turbid colors have been changed because, there was preference reaction with Low-chroma colors, low-brightness colors which were decided as hated color by previous research as well. It considered as all of people were in research had same sense with yellow color because all of people preferred yellow colors and color tones even in different genders and ages. This research had purpose of confirm the standard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fields on basic color names and to be basic data for various cultural industries through research level of preference in range of basic color names. The level of preference of children and teenagers affected by not only genders or ages but also other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ving are, live value and etc, so various research is need to get more accurate results. Besides, present researches for preference colors of children and teenagers are insufficient, and because the level of preference is keep changing, this kind of more scientific and organized research should be procedure continuously.;오늘날,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컴퓨터, 영상매체의 출현으로, 우리는 기존의 가시적인 색채영역을 넘어서 수십만 가지의 색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색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교육 수준의 증대로 유아기부터 색채에 대한 감각을 익힌 현대의 아동 및 청소년은 색채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그에 대한 지각 및 의식도 다양하게 나타나 색채 교육이나 연구 분야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관련된 연구 사례가 적고 대부분 외국의 조사에 의해 이루어진 자료를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 아동은 주로 원색으로 정의되는 고채도의 색을 선호하며, 여자 아동은 분홍색을 남자 아동은 파랑색을 선호한다는 선입견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변화되는 아동 및 청소년의 선호 감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기존 색상위주의 선호도 연구에 앞서, 보다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기본 색이름을 설정하고, 4~17세의 아동 및 청소년이 인지하는 기본 색이름의 표상영역과 각 색이름 범위 안에서의 선호색상 및 선호색조를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아동 및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및 청소년이 인지하는 기본 색이름의 색상범위는 기존의 KS 한국표준색표집에 규정되어있는 색상범위와 대부분 불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기본 색이름의 인지범위가 넓어지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기본 색이름에 대한 표준표상의 결과는 다른 색이름에 비해 파랑과 갈색에 대한 표준표상이 가장 낮은 인식도를 보여, 아동 및 청소년이 인지하는 파랑과 갈색에 대한 표준표상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본 색이름에 대한 표준표상을 인지하는데 명도와 채도의 영향보다는 색상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본 색이름 범위 안에서의 선호도는 성별에 따른 색상선호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선호색조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고, 채도에 대한 차이보다는 명도에 대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 여자 아동 및 청소년이 남자에 비해 고명도의 톤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선호도는 성별에 비해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유사한 결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동 및 청소년이 가장 선호하는 색상과 색조를 바탕으로 선호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여자 아동 및 청소년의 선호 팔레트가 남자에 비해 다양한 뉘앙스로 구성되어, 색채에 대한 감성이 보다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선행 연구에서 나타났던 아동 및 청소년의 고명도, 고채도 색상에 대한 선호반응을 재 입증 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전 연구들에서 주로 비선호색으로 꼽혔던 중명도, 중채도 그리고 저채도에 대한 선호반응이 나타나, 흐리고 탁한 톤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랑에 대한 선호 반응은 성별, 연령을 막론하고 동일한 색상과 색조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동일한 감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 색이름에 대한 표준표상 및 표상영역을 확인하고, 기본 색이름 범위 안에서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색채 값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산업에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하였다. 아동 및 청소년의 선호도 조사는 연령과 성별의 차이뿐만 아니라 지역, 생활수준 등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방면에서의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아동 및 청소년의 선호 색채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고, 선호도는 계속 변화한다는 변수가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한 연구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3 Ⅱ. 기본 색이름과 색이름 체계 = 6 A. 색채의 개념 = 6 B. 기본 색이름에 관한 고찰 = 7 C. 색이름 체계 = 9 Ⅲ. 아동 및 청소년의 색채인지 발달과정 = 20 A. 인지발달 이론에 따른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과정 특성 = 20 B. 아동 및 청소년이 인지하는 기본 색이름 = 28 Ⅳ. 색채선호 경향 및 선호요인에 관한 분석 = 30 A. 색채선호 경향 = 30 B. 색채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34 C. 색채선호 경향의 변화 요인 = 37 D. 아동 및 청소년의 정서에 미치는 색채의 영향 = 40 Ⅴ. 아동 및 청소년의 기본 색이름 표상영역 및 선호도 조사 분석 = 44 A. 조사대상 및 방법 = 44 1. 조사대상 = 44 2. 조사방법 및 범위 = 45 B. 기본 색이름 영역 분석을 통한 아동 및 청소년의 색이름 개념 분석 = 52 1. 기본 색이름의 색상범위 분석 = 52 2. 기본 색이름에 따른 표준표상 및 표상영역 분석 = 56 C. 아동 및 청소년 의식에 나타나는 선호 색채 특성 = 67 1. 아동 및 청소년의 색채 선호도 특성 = 67 2. 성별에 따른 색채 선호도 특성 = 70 3. 연령에 따른 색채 선호도 특성 = 77 4. 아동 및 청소년의 선호색채 팔레트 = 89 Ⅵ. 결론 및 한계점 = 95 참고문헌 = 99 <부록-1> 설문조사에 사용된 KS 한국표준색표집 컬러차트 = 102 <부록-2> 개인별 설문지 = 103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602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아동 및 청소년의 의식 속에 나타나는 기본 색이름의 표상영역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for level of preference and representation fields for basic color names which shown in korea children and teenagers’ consciousness-
dc.creator.othernameChung, Hae Yun-
dc.format.pagex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