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구약성서의 자연관과 성전은유

Title
구약성서의 자연관과 성전은유
Other Titles
The Natural View and the Temple Metaphors of the Old Testament : Based 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2 and 3
Authors
신지니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숙
Abstract
This dissertation, in light of the Old Testament’s creation theories and natural views, began as an attempted answer to the ecological disasters that occur everywhere in the world. In fact, people began to acknowledge the seriousness of the destroyed nature during the late 1960s; therefore, many people criticized the anthropocentrism and salvation history focused, Old Testament. Many thought, at the time, that the Old Testament taught humans to selfishly manipulate their surroundings to fit one’s their needs. This dissertation seeks to provide an answer to whether the Old Testament truly exists to provide human with the ethical absolutes to manipulate the environment, or whether the Old Testament holds an answer for the world’s ecological disasters. Genesis chapters 2 and 3 show hints of a new viewpoint toward the Old Testament solution to current ecological problems. For example, 3,000 years ago, despite the fact that humans wrote History with human language, Genesis chapters 2 and 3 record that human lived in unity with nature. Thus, mankind exists as a part of nature, and exists to live for it. Moreover, Genesis chapters 2 and 3, containing the overall layout for a human’s proper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provide a possible solution for human’s correct attitude towards nature. When observing Genesis chapters 2 and 3, this segment of scripture has been interpreted with human as the centerpiece for a long time. Two reasons exist for such a misunderstanding. First, the two chapters were interpreted to fit Genesis chapter 1, which is human-centered. Second, many people read the scripture with a human-centered view. Therefore, in chapter II of this thesis, observations were conducted concerning whether the viewpoint in understanding human relationships with nature would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Genesis chapters 2 and 3. On the chapter III, the detailed view of nature according to Genesis chapters 2 and 3 was outlined. The author of Genesis sees humans as part of nature that lives within the nature. He realized that both nature and humans live in unity either alive or by death. Moreover, the autho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od’s hierarchical order by mentioning human’s responsibility of working the ground. He focused on two parts of the scripture. First, he emphasized that humans should be understood as part of nature itself, and that human survival depends on nature. This interpretation enforces humans to give up superiority over nature and to come down to live as a part of nature. Second, one must live with an attitude towards keeping the creational order by working the ground. The author of the scripture, by pointing out the proud and selfish motives of human-kind, explains the necessity of humility in keeping human’s responsibility. Chapter IV suggests a metaphor that considers nature as a temple. It was expected that the temple metaphor, being a biblical metaphor, would provide a more clear explanation for ecological disasters. The temple metaphor not only clarifies Genesis chapters 2 and 3, but also provides clearer solutions to current day interpretations of the scripture. Using other scriptures from the tabernacle and the temple as a basis, nature can be understood as God’s way of providing epiphany, salvation, and lordship. If one looks at nature as a temple, that person cannot manipulate it as a tool or reign over it. One can only seek to complete the responsibility to keep and maintain the temple. There still lies hope even for this overall devastated and catastrophic world. With the creational order reestablished, all of nature can still be renewed. However, humans need to fully understand and change their attitude towards nature. Humans need to stop pretending to hover over nature and realize the inevitable identity of oneself within nature. Moreover, one must acknowledge nature as a temple, and seek to live in harmony with all creation. Only when humans serve and depend on the given responsibility, will there then be a true renewal of the beautiful order in praising God.;이 논문은 총체적 생태위기에 직면한 오늘날의 현실 앞에서 구약성서의 창조신학과 자연관이 어떠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사실상 60년대 후반부터 많은 사람들이 자연 파괴의 심각성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오랫동안 인간중심적이고 구원사중심적으로 해석되어 온 구약성서는 비판을 받기에 이르렀다. 구약성서가 자연을 인간 마음대로 지배하고 착취해도 좋다는 인간중심주의에 당위성을 제공했다고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구약성서는 진정 인간중심적인 자연관을 갖고 있는가, 구약성서의 창조신학은 생태 위기 앞에서 여전히 무력할 수밖에 없는가라는 의문이 이 논문을 있게 했다. 구약성서가 오늘날의 생태 문제를 해결해 줄 새로운 자연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은 창세기 2-3장의 창조본문을 통해 발견되었다. 창 2-3장이 대략 주전 1000년 - 500년 경, 인간을 주인공으로 하여, 인간의 언어로 기록된 책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자연과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자연에 포함된 존재로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즉, 인간을 자연의 일부분으로 자연에 의존하여 그것을 섬기며 사는 존재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J기자의 창 2-3장은 신과 자연, 인간의 바람직한 관계와 함께 인간의 의무를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있기에 생태계가 열병을 앓고 있는 지금, 자연을 대하는 인간의 바람직한 태도를 제시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창세기 2-3장의 해석사를 살펴보면, 이 본문 역시 오랫동안 인간중심적으로 해석되었다. 그 이유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인간중심주의가 강한 창세기 1장과 통합시키려는 시도 속에서 본문이 이해되었기 때문이고, 둘째는 인간중심적인 해석의 틀로 본문을 읽었기 때문이다. 이에 Ⅱ장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관점에 따라 창 2-3장의 해석이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J기자의 자연관을 알아볼 수 있는 창 2-3장을 세밀하게 주석하였다. J기자는 인간을 자연 안에서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파악하고 있었다. 그리고 하나님의 피조물인 자연세계가 함께 살고 함께 죽을 수밖에 없는 공동운명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다. 나아가 J기자는 땅을 섬기며 하나님의 질서를 유지하는 인간의 의무를 강력하게 제시하고 있었다. 본문을 통해 필자는 특히 두 가지 측면에 집중하였다. 첫째는 인간 역시 자연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인간의 생명은 자연 전체의 생명과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이다. 이러한 이해는 인간이 자연 위에 군림하려는 근거 없는 우월성을 포기하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와 자연의 일부로 살아야 함을 알려주었다. 둘째는 자연세계 속에서 겸손하게 땅을 일구고 창조질서의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인간의 태도이다. 본문의 저자는 자연과의 연대성을 잃은 채 교만함으로 권리만을 누리려는 인간의 태도를 지적하고 겸손함으로 의무를 다하는 자세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전하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자연을 성전으로 보는 성전은유를 제안해 보았다. 창 2-3장의 자연을 설명하는 은유이기도 한 성전은유는 성서의 여러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은유로서,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은유였다. 성막과 성전에 관련된 본문들을 주석함을 통해서 자연은 하나님의 현현과 구원, 통치가 이루어지는 성전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연을 성전으로 이해한다면 인간은 자연을 도구화할 수도, 자연 위에 군림할 수도 없다. 그 안에서 성전을 섬기고 지키는 의무만을 실행할 뿐인 것이다. 총체적 파국을 맞은 지금, 여기에도 희망은 있다. 자연이 회복되고 그 안에서 모든 생명체들이 다시금 창조질서에 기대 생명을 노래할 날은 올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인간의 완벽한 인식의 전환과 태도의 수정이 필수적이다. 인간은 자신을 자연과 분리하여 그 위에 놓으려는 어리석은 시도를 중단하고 자연 안에서 살 수밖에 없는 자신을 발견해야 한다. 그리고 자연을 성전으로 인식하고 그 안에서 함께 창조된 여러 피조물들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 성전 안에서 인간이 의존과 섬김으로 자신의 의무를 다 할 때에야 비로소 모든 생명체들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창조질서의 아름다움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