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준-
dc.contributor.author문지현-
dc.creator문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7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에서는 일제하 전시체제기(1937~1945)에 국내에서 활동했던 다양한 군소 신종교단체들 중 검거된 단체의 주요 활동사례를 살펴보고 그 성격을 파악해보았다. 더불어 일제가 이러한 신종교단체에 대해 갖고 있던 인식을 짚어보고 점차 그 단속을 강화해나갔음을 지적했다. 일제강점기에 한반도에는 天道敎, 大倧敎, 圓佛敎 등 외에도 다양한 군소 신종교단체들이 존재했다. 이러한 신종교단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그러나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가 이러한 신종교단체들에 주목하여 단속과 감시를 강화해나갔던 이유는 신종교단체들이 일제의 정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신종교단체의 활동 사례와 검거된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전시체제기 조선사회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자 했다. 다양한 신종교가 등장하게 된 것은 사회적 모순이 중첩되어간 것에 일차적 원인이 있다. 특히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일제의 대륙침략 정책에 의해 경제적 수탈이 가중되고 인력 강제동원 때문에 조선민중의 삶이 더 어려워지게 되었다. 민심이 동요하자 이를 이용해서 신종교들은 암암리에 포교를 진행했다. 조선총독부는 신종교에 대한 단속을 점차 강화했다. 조선총독부는 1915년 공포한 ‘布敎規則’(조선총독부령 83호)에 의해 神道, 佛敎, 基督敎만을 ‘공인종교’로 규정하고 그 외의 종교단체는 ‘類似宗敎’로 규정지었다. 일제는 ‘유사종교’로 규정한 단체들을 순수한 종교단체가 아니라 민족운동과 관련이 있는, 일종의 정치운동이나 사회운동으로 인식했다. 특히 민족의식이 짙은 것이 많고, 유언비어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유사종교’를 단속의 대상으로 삼았다. 전시체제기에 신종교에 대한 단속이 강화된 데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로 인한 사상통제의 강화, 2) 일본 본국의 신종교 단속 강화, 3) &#985172;朝鮮の類似宗敎&#985173;간행, 그리고 4)白白敎 사건이 그것이다. 특히 1937년 白白敎사건으로 신종교단체가 끼칠 수 있는 폐해에 대해 경각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총독부는 치안을 강화한다는 이유로 신종교단체들에 대한 취체를 강화해 나갔다. 白白敎 검거 이후 해방 전까지 검거된 신종교단체들은 약 40여 개에 이른다. 이들 중에는 <保安法>이나 <治安維持法>에 의해 검거된 단체들이 있어 주목된다. 즉 민족주의적인 사상운동을 억압하는 근거로 이용된 <保安法>과 <治安維持法>이 신종교단체 검거에 이용되었다는 것은 신종교단체가 가진 민족주의적 특성을 반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신종교단체에 대한 탄압이 강화되자 조선에서 신종교는 그 활동이 위축되고 세력도 점차 약해졌다. 해산되거나 자연소멸하는 단체들도 속출했으나, 오히려 이 시기에 地下化하거나 비밀결사 조직으로 활동하려는 시도도 이어졌다. 1937년 이후 검거된 신종교단체를 살펴보면 反社會的 邪敎 유형, 그리고 조선독립 강조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후자에는 皇極敎, 太極敎, 仙道敎, 一心敎, 天地中央名流道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민족주의 의식을 지니고 일제패망과 조선독립을 주장했다. 독립기원제를 거행하거나 독립자금 조성 계획을 세우고 교도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일제에 저항하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이들은 ‘일제패망’과 ‘조선독립’이라는 ‘유언비어’를 유포하는 주체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일제에게는 단속해야할 주요 대상이었다. 이런 민족주의적인 신종교단체에 조선민중들이 참여한 것은 독립에 대한 염원과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을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戰勢와 국제정세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없던 조선민중들은 그들의 반일저항의식과 신종교단체의 ‘주장’을 일치시켜 나갔던 것이다. 또한 민중들의 반일저항의식과 독립에 대한 염원은 종교조직과 결합하여 비밀결사를 조직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이와 같이 전시체제기 신종교단체는 단순한 사회현상이 아니라 조선민중들의 염원과 반일저항의식에 의해 등장한 것이었다. 신종교단체를 통해 민중들은 역사적 주체로서 저항의 의지를 드러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신종교단체들은 민족주의적 면모를 보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This thesis conducts case studies on the major activities and roundups of various, new small religious organizations which were active domestically during the war basis under Japanese imperialism (1937-45), and captures the character of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it looks into the recognition by imperialist Japan toward those new religious organizations, and it points out that Japan gradually enforced more rigid regulations.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 were numerous, other small new religious organizations than Chondogyo, Daejonggyo, and Won Buddhism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has been scarce research on these new religious organizations thus far in the literature.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during the war footing, kept close watch on the new religious organizations, for fear that they should have any negative effects on the Japanese policies. The investigation into these new religious bodies’ activities and their arrests is believed to render a clue to an aspect of the Joseon society during the war basis. The first and foremost reason for having various religious bodies can be ascribed to the accumulation of social contradictions. After the outbreak of Sino-Japanese War in 1937 in particular, the people of Joseon got to suffer from more hardships of life due to the heavier economic plundering and compulsory mobilization of labor force, which were required by the Japanese policies of continent aggression. With the backdrop of restless public sentiment, the new religions tacitly proceeded with propagation.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gradually clamped control over the new religions.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Regulation’ (Article 83,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ordinances) which was promulgated in 1915,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defined only Shinto, Buddhism, and Christianity as ‘authorized religions’ and classified other religious bodies as ‘analogous religions.’ Imperialist Japan associated the organizations which were named ‘analogous religions’ with a kind of political or social movement which is relevant to the racial movement; that is, they did not regard them as pure religious bodies. These other religions, called ‘analogous religions,’ were mostly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and were accompanied by false rumors in many cases, which led them under crackdown. The tightened control over the new religions during the war footing in particular appears to have several motives at the back: they are (1) strengthening of thought control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2) clamping of new religions in Japan’s homeland , (3) publication of Analogous Religions of Joseon, and (4) the Baekbaekgyo case. The case of Baekbaekgyo, in 1937, particularly aroused attention to possible evils that could be brought by the new religious organizations.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came to exercise more rigorous supervision of the new religions, by reason of intensifying the public peace. Since the roundup of Baekbaekgyo, there have been more than 40 new religious bodies that were arrested until before the Libera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re are some organizations which were arrested under the Security Law or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Act. The fact that these laws, the Security Law and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Act, which existed to suppress ideological movements of nationalists, were also used for arresting the new religious bodies proves the new religions’ character of nationalism. With the tightening of suppression on the new religions, new religions in Joseon withered in their activity and influence, by degrees. There were many of them which either dismissed themselves, or vanished over time. However, there were also attempts to go underground or act as a secret society. Among the new religious organizations that were rounded up after 1937, there are different types, i.e. the type of antisocial heresy, and the type of aiming at independance. The latter includes Hwanggeukgyo, Taegeukgyo, Seondogyo, Ilsimgyo, and Cheonjijoongangmyeonglyudo. They argued for the defeat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independence of Joseon under the flag of nationalism. They carried out a ceremony wishing for independence, planned for raising funds for independence, instilled nationalism into the believers, and resisted imperialist Japan. Furthermore, they were in the center of circulating the rumors of ‘collapse of Japan’ and ‘independence of Joseon,’ which therefore made them the chief targets to clamp down on by the ruling Japan. The Joseon public participated in this type of new religious organizations with nationalism, and it shows that they had aspiration for independence and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The Joseon people, who could not acquire information on the foreign influence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ccorded their anti-Japanese imperialism with the ‘claim’ of new religious organizations. The public’s anti-Japanese sentiment and desire for independence, in tandem with religious groups, even influenced on forming of secret societies. Therefore, the new religious organizations during the war footing were not merely a social phenomenon, but appeared owing to the Joseon public’s desire and resistance to imperialist Japan. It is significant that the public, as a historical mainstay, showed their will to resist through new religious bodies, which in turn put on national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전시체제기 국내 신종교단체의 현황 = 7 Ⅲ. 조선총독부의 신종교단체 인식과 단속 = 17 1. 신종교에 대한 인식 : ‘類似宗敎’ 규정 = 17 2. 전시체제기 신종교단체 단속의 강화 = 20 Ⅳ. 전시체제기 신종교단체 검거사건의 유형과 성격 = 31 1. 신종교단체 검거사건의 유형과 주요 사례 = 31 1) 反社會的 邪敎 유형 = 32 2) 朝鮮獨立 강조 유형 = 34 2. 신종교단체 검거사건의 성격 = 41 1) 民族主義的 성격 = 41 2) 民衆結社的 성격 = 45 Ⅴ. 결론 = 49 참고문헌 = 52 [부록] 1937년 이후 검거된 신종교단체 (검거년도 순) = 58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07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戰時體制期(1937~45) 日帝의 新宗敎 政策과 新宗敎團體 검거사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Japanese Policy for New Religions and Incidents of Roundups during the War Basis for Imperialist Japan (1937-45)-
dc.creator.othernameMoon, Ji Hyun-
dc.format.pageⅵ,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