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혜영-
dc.contributor.author조은영-
dc.creator조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인지적 관점에서 현대국어의 어휘적 연어(lexical collocation)가 형성되는 원리를 탐구하고, 이러한 형성 기제가 어휘적 연어의 의미 현상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어휘소가 아닌 문법소를 포함하는 문법적 연어(grammatical collocation)를 논의에서 제외하여 어휘적 연어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정한 후, 기존의 연어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 Ⅱ장에서는 어휘적 연어의 개념을 ‘의미 계열이 다른 둘 이상의 어휘소가 상호 간에 어휘적으로 제약된 구 구성을 이루는 의미적으로 반투명한 언어 단위’로 규정하고, ‘결합의 제약성’, ‘공기성’, ‘의미의 반투명성’, ‘연어핵과 연어변의 선택성’과 같은 특성으로 어휘적 연어를 설명하였다. 또한 어휘적 연어가 자유결합이나 관용어와 같은 다른 결합관계 구성들과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지 검토하여 어휘적 연어의 범위를 정했다. Ⅲ장에서는 어휘제약과 유추로 어휘적 연어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어휘적 연어 형성의 기본원리로 ‘어휘제약’을 제시하였다. 어휘제약은 많은 기존의 연구에서 연어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것으로, 어휘적 연어를 구체적인 어휘들의 선택적인 결합으로 나타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휘제약은 각 연어의 형성을 개별적으로 설명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휘적 연어를 고립적인 개체들의 집합으로 간주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어휘적 연어는 특정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의미 단위로서 어휘부 내에서 다른 연어와 관계를 이루며 존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어휘적 연어들의 관련성, 그중에서도 유사성이 어휘적 연어의 또 다른 형성 기제로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 후, ‘유추’를 어휘적 연어 형성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유추는 유사성에 기반한 추론으로, 새로운 연어가 기존의 연어와의 유사성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는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유추의 기반이 되는 연어표현이 개별적인 것이냐 여러 연어표현을 아우르는 계열체로부터 추상된 유추의 틀이냐에 따라 유추의 유형을 개별 연어에 기초한 유추와 유추의 틀에 기초한 유추로 나누고, 또한 유추에 작용하는 유사성을 형태·의미적인 것과 의미적인 것으로 구분하여 형태·의미적 유사성에 기초한 유추와 의미적 유사성에 기초한 유추로 나누어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어휘적 연어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기술한 어휘적 연어의 형성 이론을 토대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어휘적 연어의 의미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먼저 동의관계나 반의관계를 이루는 어휘적 연어에서 구성요소의 동의어·반의어 대치가 성립하지 않는 현상과 어휘적 연어 간의 관계에서 구성요소들이 새로운 동의성·반의성을 획득하는 현상을 살폈다. 동의관계의 경우, 계열관계에서 고립관계였던 어휘들이 연어를 형성함에 따라 새로운 동의성을 획득하거나, 인과관계나 반의관계처럼 특정한 관계를 이루던 어휘가 연어를 이루면서 새롭게 동의관계를 이루는 현상이 있었다. 반의관계의 경우, 어휘적 연어를 구성하는 어휘가 연어간의 반의관계에서 기존의 반의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새로운 반의관계를 형성하거나, 기존의 반의관계를 그대로 지닌 채 새로운 반의성을 획득하여 복잡한 반의관계를 이루는 현상이 보였다. 또한 어휘적 연어에서, 한 어휘가 긍정적 가치의 어휘나 부정적 가치의 어휘와 주로 공기하며 특정한 가치판단을 현저하게 보이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의 연어목록 9,027개를 대상으로 상위 16개의 용언을 조사해 본 결과, 그 중 6개의 어휘는 부정적 가치와 주로 결합하고 1개의 어휘만이 긍정적 가치와 주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적 연어의 전체 목록에서 부정적 가치로 판단할 수 있는 연어가 더 많을 것을 짐작하게 하며, 언중들이 부정적 가치를 표현할 때, 어휘적 연어를 더 활발히 사용하고 있음을 추측하게 하였다. Ⅴ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어휘적 연어에 그것의 본질적인 특성인 형성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원리를 파악하려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어휘적 연어가 어휘부 내에서 다른 연어와 관련되어 존재한다는 본고의 관점은 개별적인 어휘결합을 통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어휘적 연어를 연결시켜, 개개의 어휘적 연어에서 나타나는 여러 의미 현상을 보다 통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inciple of lexical collocation formation in modern Korean and to examine how this formation mechanisms reflect in semantic phenomena of lexical collocation. In chapter 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esented and the preceding works concerning this study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lexical collocations, therefore the grammatical collocations which includes taxeme but not lexeme was excluded.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lexical collocation was set as ‘phrasal construction of more than two lexemes of a different lexical groups which are lexically restricted mutually’, The lexical collocation can be illustr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bination constraint’, ‘co-occurrence’, ‘semantic translucency’ and ‘the selection of base and collocate’. The range of lexical collocation in this study was establish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xical collocation and other syntagmatic relations such as free combinations and idioms. In chapter Ⅲ, the principle of lexical collocation formation was investigated by the lexical restriction and analogy. The lexical restriction has presented to explain the principle of lexical collocation formation in many preceding works. Those works described the lexical collocation as alternative combinations of the concrete lexemes. However, since lexical restriction could only explain the formations of collocation individually, the lexical collocation has been regarded as a set of the isolated individuals. The lexical collocation is a kind of a semantic unit which can be exist as being related to other collocations in the lexicon. This study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a similarity, which is one of the relevancies of lexical collocations, can function as another formational mechanism and presented a ‘analogy’ as another principle of lexical collocation formation. The analogy is a deduction based on similarity, which is a way of explanation claiming that a new collocation forms out of a similarity between the existing collocation and new one. This study classified a analogy into two types ―one is the analogy founded on the individual collocation and the other is the analogy founded on the analogical schema― by a criterion of whether the collocational expression is individual or the analogical schema inferred from a paradigm comprising various collocational expressions. Also the similarity which operates on analogy was classified into semantic·morphological similarity and semantic similarity, and the formation procedures of lexical collocations in each type are contemplated in this study. In chapter Ⅳ, on the basis of the lexical collocation formation theory described in chapter Ⅲ, diversified semantic aspects of the lexical collocation were observed. This chapter has investigated two phenomena concerning the lexical collocation. First, there are some components of the lexical collocations in synonimous relations or antonimous relations that have no synonym·antonym confrontation. Another phenomenon is that the components of the lexical collocations acquire new synonymy or antonym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xical collocations. Also, the aspects that a lexeme of the lexical collocations showing specific evaluation were investigated. Some lexemes mainly co-occur with the ameliorative values, and other lexemes mainly co-occur with pejorative value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9,027 collocation lists from “21C Sejong Corpus”, 6 lexemes among 16 declinable words in the high ranks mainly combine with pejorative values and only one lexeme mainly combine with ameliorative values. This result makes possible to suppose that the collocations of pejorative value occupy majority in the entire lists of lexical collocations and to estimate that the people use the lexical collocations more actively when they express pejorative value. In chapter Ⅴ,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made by summarizing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respect of approaching the lexical collocation from the aspect of the formation which is its essential characteristic. Moreover, a standpoint of this study ―that the lexical collocations exists as being related to other collocations in the lexicon― provided the device to consider the various semantic phenomena of individual lexical collocation more integra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대상 및 방법 = 7 Ⅱ. 어휘적 연어의 개념과 특성 및 범위 = 10 A. 어휘적 연어의 개념과 특성 = 10 1. 어휘적 연어의 개념 = 10 2. 어휘적 연어의 특성 = 15 B. 어휘적 연어의 범위 = 32 1. 고정표현과 자유결합 = 32 2. 어휘적 연어와 관용어 = 35 Ⅲ. 어휘적 연어의 형성 원리 = 39 A. 어휘제약 = 39 B. 유추 = 46 1. 유추의 개념 = 49 2. 유추의 과정 = 50 3. 유추의 유형 = 53 Ⅳ. 어휘적 연어의 의미 양상 = 85 A. 어휘적 연어의 의미관계 = 85 1. 동의관계 = 86 2. 반의관계 = 100 B. 어휘적 연어와 의미 가치평가 = 105 1. 부정적 가치 = 107 2. 긍정적 가치 = 113 Ⅴ. 결론 = 115 참고문헌 = 119 ABSTRACT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46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대국어 어휘적 연어의 형성과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ormation Principles and Semantic Aspects of The Lexical Collocations in Modern Korean-
dc.creator.othernameCho, Eunyoung-
dc.format.pageⅶ, 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