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혜영-
dc.contributor.author이한민-
dc.creator이한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23-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에서는 직접적으로 화행을 수행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가 담화 상황에서 간접 화행의 방식을 빈번히 사용하는 이유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어와 영어 대화에서의 간접 화행 실현 양상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언급하고, 전체적인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간접 화행과 관련한 국내의 기존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간접 화행의 개념을 규정하고 간접 화행의 범위에 대한 본고의 입장을 정리했다. 본고에서는 대화적 함축 속에 간접 화행이 하위 부류로 포함된다는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고의 입장에 따르면 문자적으로 드러난 화행과 의도된 화행이 일치하지 않는 발화만을 간접 화행으로 다루게 된다. 화자가 의도한 화행이 실제 발화에서는 다른 유형의 화행을 통해 수행된다는 것이 간접 화행의 특징이므로, 명제 내용이 다르더라도 표면적인 화행과 화자가 의도하는 화행의 유형이 일치하는 발화는 간접 화행이 아닌 것으로 보았다. Ⅲ장에서는 분석 대상인 한국과 미국의 드라마 대본을 제시하였고, 분석의 틀로 삼은 문장의 유형, 화행의 적정 조건, 상황의 유형을 바탕으로 진행될 본 연구의 절차를 밝혔다. 문장의 유형은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의 네 가지로 나누었다. 이들은 ‘진술, 질문, 지시, 청유’와 같이 각각의 특정한 화행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므로 언어 행위의 유형도 문장 유형에 따라 [진술] 화행, [질문] 화행, [지시] 화행, [청유] 화행의 네 유형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 영어에서는 청유문이라는 문장 유형이 따로 분류되어 있지 않지만 “Let's 구문”이 고정적으로 청유문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본고에서는 “Let's 구문”을 영어의 청유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화행의 적정 조건은 Searle(1969)에서 정립한 것으로 본고에서는 [진술], [질문], [지시], [청유]의 적정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들 적정 조건을 기준으로 해당 문장 유형이 수행해야 하는 화행의 적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다른 화행의 적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발화를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대화의 상황을 ‘일반 상황’과 ‘갈등 상황’으로 나누었다. 대화 참여자 간의 심리적 갈등이 존재하는 경우나 화자만의 심리적 갈등이 발화에 반영된 경우에는 ‘갈등 상황’으로 분류하고,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일반 상황’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분류는 화자가 간접 화행을 수행하는 의도를 보다 쉽게 밝히기 위함이다. Ⅳ장은 본고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구체적인 예문을 들어 한국어와 영어에서 간접 화행이 수행되는 모습을 살폈다. 또한 간접 화행이 수행되는 대화의 상황, 간접 화행의 목표 화행, 간접 화행을 수행하는 문장 유형 등에 따른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어와 영어의 간접 화행 실현 양상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를 통해 간접 화행 수행의 주된 이유는 ‘부담 완화’와 ‘강조’의 두 가지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영어에서는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간접 화행이 더 많이 수행되고, 한국어에서는 ‘강조’를 목적으로 하는 간접 화행이 더 많이 수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와 비교했을 때, 한국어는 특정 문장 유형이 수행하는 화행의 종류가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나서 문장 유형과 화행 유형과의 관계가 상당히 유연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고, 보다 심도 있는 간접 화행 연구를 위한 남은 과제에 대하여 언급했다. 간접 화행의 수행과 그 이해는 궁극적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맥락에서 성립되기 때문에 간접 화행의 의미를 유추하기 위해서는 발화의 상황과 문맥 등 화용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화가 이루어지는 전후 문맥과 대화 참여자들의 심리 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는 드라마 대본을 분석 자료로 하고, 간접 화행이 수행되는 상황과 화자가 간접 화행을 통해 전달하려는 의도를 함께 생각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In this study, the realization aspects of Indirect Speech Acts(IDSA) in Korean and English were compared to clarify the reason why we use the method of IDSA despite we can perform speech acts directly. Chapter Ⅰ presents the goal of this study and the overall direction of this study. By examining preceding works concerning the IDSA,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confirmed.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the IDSA was provided and the stand point about the range of the IDSA was set up. The argument were proceeded on the point of view that the IDSA is the subordinate category of the conversational implic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only the utterances that show a discordance between expressed speech acts and intended speech acts are treated as IDSA. The characteristic of IDSA is the fact that intended speech act of the speaker is performed in a different type of speech act in the actual utterance. Therefore even if the propositional contents are different, the utterances that the external speech acts are accorded with the intended speech acts were not regarded as IDSA in this study. In chapter Ⅲ, the scripts of Korean and English Tv drama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presented. Also,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and the frames of the analysis which are the sentence types, the felicity conditions and the situation types were referred to. Sentence types can be divided in to four classes ―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and propositive. Generally, each sentence types perform specific speech acts such as ‘statement, question, order, proposal’. In consequence, the types of linguistic acts also can be simplified as [statement], [question], [order] and [proposal]. There is no separate sentence type of ‘propositive’ in English grammar, but if we consider the fact that the “sentence structure Let's” constantly plays a role of ‘propsitive’, the “sentence structure Let's” can be sorted as ‘propositive’. The felicity conditions are established in Searle(1969). This study presented the felicity conditions of [statement], [question], [order] and [proposal], and selected the utterances that does not satisfy the felicity condition of that sentence type but satisfy the felicity condition of other sentence type a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The situations of conversations were divided into ‘normal situation’ and ‘conflict situation’ in this study. The situations in which the mental conflicts between the participants or the speaker's emotional conflict exist are classified as ‘conflict situation’ and the situations in which no conflicts exist are classified as ‘normal situation’. Such classification is to clarify more easily the intentions of the speakers who perform IDSA. The aspects of IDSA in Korean and English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Ⅳ which is the core part of this work. Common features and distinctive featur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IDSA were examined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ituation types, intended speech acts and sentence types which perform IDSA. According to the research material, the major motives to perform IDSA were found to be ‘lessening the burden’ and ‘emphasizing’. The motive of ‘lessening the burden’ was more frequent in English and the motive of ‘emphasizing’ was more frequent in Korean. Compared to English, Korean showed more diversity in speech acts types which a specific sentence type can perform. This result tell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 types and speech acts types is considerably flexible in Korean. Chapter Ⅴ,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summarized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and made reference to more in-depth studies to be made about IDSA. Because of the reason that performances and understandings of IDSA ultimately realize on the context of verbal communications, to infer the meanings of IDSA, the pragmatic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overall contexts of communications and the emotional states of the participants were possible by using the TV drama scripts as a research material. H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respect of considering the speaker's intentions delivered through IDSA in relation to the situations in which IDSA is perform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선행연구 검토 = 3 Ⅱ. 간접 화행의 개념과 범위 = 10 A. 간접 화행의 개념 = 10 B. 간접 화행의 범위 = 13 Ⅲ. 간접 화행 자료와 분석의 틀 = 19 A. 연구 대상 = 19 B. 분석의 틀 = 21 1. 문장의 유형 = 21 2. 화행의 적정 조건 = 26 3. 상황의 유형 = 28 Ⅳ. 한국어와 영어 간접 화행의 실현 양상 = 30 A. 영어 간접 화행의 실현 양상 = 30 1. 의문문 형식의 간접 화행 = 31 2. 평서문 형식의 간접 화행 = 40 3. 명령문 형식의 간접 화행 = 48 4. 청유문 형식의 간접 화행 = 51 B. 한국어 간접 화행의 실현 양상 = 54 1. 의문문 형식의 간접 화행 = 54 2. 평서문 형식의 간접 화행 = 62 3. 명령문 형식의 간접 화행 = 69 4. 청유문 형식의 간접 화행 = 73 C. 결과 비교 및 분석 자료 검증 = 78 1. 결과 비교 = 78 2. 분석 자료 검증 = 94 D. 논의 = 102 Ⅴ. 결론 = 107 참고문헌 = 109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78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와 영어의 간접 화행 대조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TV 드라마 대본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Indirect Speech Acts in Korean and English Based on TV Drama scripts-
dc.creator.othernameLee Han Min-
dc.format.pageⅷ,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