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7 Download: 0

해금의 운지법에 관한 연구

Title
해금의 운지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ingering for Haegum
Authors
한서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본 논문은 해금의 운지법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 발전되어 왔는지 그리고 현재 연주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음악에서 운지법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운지법은 역사적인 운지법의 변화, 발전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먼저 최초의 해금 운지법에 대한 사료(史料)인 「악학궤범」과 그 이후 처음 등장하는 해금 악보인 「아악부해금보」를 살펴보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악보인 「김기수보」를 중심으로 정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해금의 운지법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어서 현존하는 네 가지 해금산조 중에서 역사성과 정통성에 있어서 해금산조의 원류라 할 수 있는 한범수류와 지영희류를 중심으로 해금산조의 운지법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악과 산조의 운지법을 비교해 운지법이 어떻게 변화되고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민간 풍류 음악의 운지법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대풍류>와 <취타풍류>를 중심으로 운지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민간 풍류 음악도 정악 및 산조의 운지법과 비교하여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어떻게 발전되어 오고 있는지 비교, 연구하였다. 끝으로 대표적인 해금 창작 음악인 김기수 곡 <초롱>과 김영재 곡 <비>를 선별하여 이러한 전통 운지법이 현대 해금 창작 음악에 있어서는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되어 왔는지 연구하였다. 「악학궤범」시절에는 평조에서 두 가지와 계면조에서 두 가지를 합하여 모두 네 가지 종류의 운지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평조에서는 식지(食指)를 黃으로 잡는 운지법과 林으로 잡는 운지법의 두 종류가 있었고 계면조도 동일하게 식지를 黃으로 잡는 운지법과 林으로 잡는 운지법의 두 종류가 있었다. 그리고 「악학궤범」에 나온 그림을 통하여 이 당시의 운지법은 역안법(力按法)이 아닌 경안법(輕按法)이 쓰였고 개방현(開放絃)을 이용하여 조율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아악부해금보」에는 활대 표시만 있을 뿐 운지와 장식음에 대한 표시가 전혀 없다. 그러므로 특별히 운지법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는 자료가 되지 못 하였다. 현행 정악의 운지법을 살펴본 결과 당악 계통 악곡에서는 식지를 林으로 잡는 평조 운지법과 식지를 潢ろ으로 잡는 계면조 운지법의 두 가지가 쓰였으며 각 악곡 당 하나의 운지법만 사용되었다. 식지를 潢ろ으로 잡는 운지법은 당악 계통 악곡에만 쓰이는 독특한 운지법으로 이후 다른 음악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연주 시에는 운지가 불편하지만 줄을 눌러서 독특한 계면조 음색을 표현할 수 있는 운지법이라고 할 수 있다. 향악 계통 악곡에서는 식지를 黃으로 잡는 것 두 가지와 太로 잡는 것 한 가지, 식지를 仲으로 잡는 것 두 가지, 식지를 林으로 잡는 것 한 가지를 포함하여 모두 여섯 가지 운지법이 사용되었다. 식지를 林으로 잡는 운지법이 향악과 당악에 모두 사용되었지만 향악과 당악의 黃의 음고가 다르므로(향악의 黃은 eb, 당악의 黃은 c) 둘은 같은 운지법이라고 할 수 없다. 향악의 각 악곡에서는 이 운지법들이 한 가지 사용된 경우, 두 가지 사용된 경우, 세 가지가 사용된 경우, 네 가지가 사용된 경우가 각각 모두 있었다. 취타계주 중 군악은 식지를 黃 · 太 · 仲 · 林으로 잡는 네 가지 운지법이 쓰인 유일한 정악 곡으로 정악 운지법이 가장 발달된 형태로서 조선 시대에 이미 한 가지 악곡에 네 가지 운지법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범수류 해금산조는 식지를 黃으로 잡는 운지법과 식지를 仲으로 잡는 운지법 두 가지가 쓰였고 지영희류 해금산조는 식지를 黃으로 잡는 운지법, 식지를 太로 잡는 운지법, 식지를 仲으로 잡는 운지법, 식지를 林으로 잡는 운지법, 식지를 潢으로 잡는 운지법의 모두 다섯 가지 운지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조의 경우 향악 계통 악곡과 기본음 黃의 음고가 달라서(향악의 黃은 eb, 산조의 黃은 f) 식지의 위치는 차이가 있지만 연주자의 운지 형태로 볼 때 이조(移調)가 되었을 뿐임으로 산조와 향악 계통 악곡의 운지법은 같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식지를 潢으로 잡는 운지법은 향악 계통 악곡에서는 없는 운지법으로 지영희류 해금산조에서 새로 나타난 발전된 운지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운지법은 현재 창작 음악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데 해금의 고음 음역을 넓히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경우 운지법의 변화가 다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지영희류 해금산조의 진양조와 중중모리에서는 운지법이 네 번씩 바뀌었다. 민간 풍류 음악의 분석을 통하여 <대풍류>와 <취타풍류>의 운지법은 모두 정악과 산조에서 쓰인 운지법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풍류>에서는 식지를 黃 · 太 · 仲으로 잡는 세 가지 운지법이 쓰였고 <취타풍류>에서는 식지를 黃 · 太 · 仲 · 林으로 잡는 네 가지 운지법이 쓰였다. <대풍류>와 <취타풍류>는 黃의 음고가 같으므로 운지법도 같다. 창작 음악 중 김기수 곡 <초롱>과 김영재 곡 <비>의 운지법을 분석해 본 결과 <비>의 경우에 식지를 黃으로 잡는 것, 식지를 仲으로 잡는 것, 식지를 林으로 잡는 것의 세 종류의 운지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모두 전통 음악의 운지법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초롱>의 경우에는 식지를 무로 잡는 것, 식지를 黃으로 잡는 것, 식지를 夾으로 잡는 것, 식지를 仲으로 잡는 것의 네 종류 운지법이 사용되었는데 두 가지는 전통적인 정악 운지법이 쓰였고 나머지 두 가지는 식지를 무로 잡는 운지법과 식지를 夾으로 잡는 운지법이 새롭게 쓰였다. 모든 해금 운지법의 모태인 향악 계통 악곡에서는 식지를 黃과 仲으로 잡는 운지법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민간 풍류 음악인 <대풍류>와 <취타풍류> 그리고 창작음악 <비>에서는 식지를 太나 林으로 잡는 운지법이 많아졌다. 그러나 식지를 黃과 仲으로 잡는 것과 식지를 太와 林으로 잡는 것은 黃과 仲 그리고 太와 林 사이에 완전4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서 비록 식지의 음고는 다르지만 이조(移調)의 의미에서 같은 운지법으로 볼 수 있다. 현대 창작 음악에서는 운지법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곡도 많으며 서양 음악 작곡가들에 의하여 작곡된 곡들의 경우 운지법 표시가 전혀 되어 있지 않다. 많은 현대 창작 음악이 전통 운지법을 그대로 쓰고 있는데 운지법 표시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연주자가 임의로 운지법을 응용하여 연주한다. 그러므로 같은 곡이라도 다른 운지법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정악을 제외한 모든 음악에서 운지법 표시 기호가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통일 되어 있지 않다. 앞으로 모든 음악에 있어서 운지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history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fingering(Unjibeob, 運指法) for Haegum, how the fingering is used in playing various types of music played at present and what correlations current fingering has with the historical change and development of fingering. This study reviewed 「Akhak Kwebeom」 which is the first historical material of fingering for Haegum and 「A-akbu Haegumbo」 which is the first musical note for Haegum and analyzed the fingering for Haegum used in Jeongak(正樂) focused on the『Kimkisubo』which is the musical note of Jeongak used currently. This study, next, analyzed the fingering for Haegum Sanjo focused on Hanbeomsuryu and Jiyoungheeryu which are the original ones in terms of historicity and legitimacy among the four existing Haegum Sanjo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historical change and use of fingering by comparing those of Jeongak and Sanjo. This study,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fingering of Minkanpoongryu(民間風流) music, analyzed the fingering of and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played musics at present time. The fingering of Minkanpoongryu music was also compared with those of Jeongak and Sanjo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and developmental history among them. This study, finally, selected by Kim Ki-soo and by Kim Young-jae as representatives of modern creative music and investigated how the traditional fingerings have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creative music.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our kinds of fingerings in use with two ones at each of Pyeongjo(平調) and Kyemyeonjo(界面調) in the time of 「Akhak Kwebeom」; the two fingerings in each modal system were one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Hwang(黃) and the other one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Lim(林) respectively. The illustrations in 「Akhak Kwebeom」 suggested that the fingering used at that time was Kyeonganbeob(輕按法, touching method) not Yeokanbeob(力按法, pulling method) and that the tuning was performed using open string. There are only indications for bowing but no indication for any fingerings and ornament in 「A-akbu Haegumbo」. This literature, therefore, has not any value for study on fingerings. The analysis of the fingerings in current Jeongak showed that two kinds of fingerings were used in composition of Tangak(唐樂); Pyeongjo fingering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Lim(林) and Kyemyeonjo fingering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Hwangろ(潢ろ) and that only one fingering was used in each music. The fingering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Hwangろ is a unique one used only in composition of Tangak, therefore, hardly found in later music. The characteristic of this fingering is the capacity of representing the unique tone of Kyemyeonjo by pressing string though it makes some inconvenient problem in fingering. There were a total of six fingerings in composition of Hyangak(鄕樂); two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Hwang(黃), one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Tae(太), two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Jung(仲) and one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Lim(林). The fingering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Lim(林) was used in both Tangak and Hyangak, however there are difference in Hwang(黃) pitch(Hwang of Hyangak; eb, Hwang of Tangak; c), therefore these two fingerings in each music syste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ach composition of Hyangak used one, two, three or four kinds of fingerings respectively. Gunak(軍樂) in Chuitagyeju(吹打繼奏) is the only Jeongak music which used four kinds of fingerings of setting the index finger as Hwang(黃), Tae(太), Jung(仲), Lim(林) and represents the most developed fingerings for Jeongak, indicating that there was already a composition in which four kinds of fingerings are used. Hanbeomsuryu Haegum Sanjo used two kinds of fingerings of setting the index finger as Hwang(黃) and Jung(仲) respectively and Jiyoungheeryu Haegum Sanjo used five kinds of fingerings of setting the index finger as Hwang(黃), Tae(太), Jung(仲), Lim(林) and Hwang(潢) respectively. It is reasonable to note that the fingering both in Sanjo and Hyangak are the identical one because it simply has the meaning of Ijo(移調, modul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of players' fingering type, even though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pitch(Hwang of Hyangak; eb, Hwang of Sanjo; f) by the different position of the index finger. The fingering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Hwang(潢) was not found in the composition of Hyangak and newly found in Jiyoungheeryu. This fingering has been used in modern creative music and contributed much in extending the high-pitched range of Haegum. For Jiyoungheeryu Haegum Sanjo, it was found that the shift in fingering was various. There were four times of fingering shift at Jinyangjo and Jungjungmori respectively. The result from analysis of Minkanpoongryu showed that all the fingerings used in and were the same ones used in Jeongak and Sanjo. In three kinds of fingerings of setting the index finger as Hwang(黃), Tae(太), Jung(仲) respectively were used and in four kinds of fingerings of setting the index finger as Hwang(黃), Tae(太), Jung(仲), Lim(林) respectively were used. They have the same fingerings because they have the same pitches of Hwang(黃).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fingerings of by Kim Ki-soo and by Kim Young-jae among modern creative music showed that, for the Bi, three kinds of fingerings of setting the index finger as Hwang(黃), Jung(仲), Lim(林) were used, which are the ones of traditional music as it is and that, for the , four kinds of fingerings were used; two of them, the ones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Hwang(黃) and Jung(仲), were from traditional fingerings used in Jeongak and remaining two of them, the ones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Mu(무) and Hyup(夾), were new ones. Almost all the fingerings used in the composition of Hyangak, which is the base of all fingerings, were the ones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Hwang(黃) and Jung(仲), while the fingerings in which the index finger is set as Tae(太) and Lim(林) have been found frequently in and of Minkanpoongryu and of creative music. But those two sets of fingerings (Hwang and Jung vs Tae and Lim) have the same interval of perfect fourth,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note that they are the same fingering with only difference in the pitch of the index finger, simply in the meaning of Ijo(移調). Many of the modern creative musics have no indication of fingering, moreover all the musics by western composers have no indication of fingering. Some of the modern creative musics use traditional fingering as it is but the fingerings used in musics without indication of fingering are determined by players. There have been no agreement on the sign of fingerings used in musics except for Jeongak. It is considered that the fingerings for Haegum should be arranged systematically by consistent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its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