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경림-
dc.contributor.author임현숙-
dc.creator임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34-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이 OECD에 가입한 1996년 이래 세계 11위 경제선진국으로 진입하면서 우리 사회에는 해외이주자가 대거 유입하게 되었다. 이들이 모국과는 전혀 다른 이질적인 문화와 역사를 지닌 새로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건강문제, 문화적 갈등, 가족관계, 2세 교육 등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제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 중 하나가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문제와 관련된 보건의료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주 여성이 임신과 출산을 통해 체험하는 삶의 전환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K시에 거주하는 자로 연구자의 질문(한국어)을 듣고 이해할 수 있으며 말로써 표현이 가능한 결혼이주 여성 총 11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3월부터 9월까지였으며 면대면 개별 면담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면담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고 반성적 사고를 통해 세분법에 따라 본질적 주제를 이끌어 내었으며, 1) 체험의 본질에 집중, 2) 실존적 조사, 3)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4) 글쓰기를 하였다. 또한 어원과 관용어구, 문학 및 현상학적 문헌을 참조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임신․출산을 통한 삶의 전환 체험에 관한 통찰력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참여자의 삶의 전환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혼란과 긴장의 낯선 생활세계에 힘이 없는 이방인으로 놓여 짐,’ ‘이주생활은 임신․출산으로 더 힘들어짐,’ ‘아이의 탄생은 고통스러운 현실을 견딜 수 있는 힘이 됨,’ ‘가족 내 주체자로서의 힘이 생김’ 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의 초기 결혼생활은 시 가족 내 주변구성원으로 전락하거나 경제여건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점, 차이와 차별에 의한 새로운 생활세계의 장벽에 고립되고 언어장벽에 부딪치는 등 새로운 세계의 힘이 없는 이방인의 위치에서 낯선 생활세계에 대한 혼란과 긴장의 극대화를 경험하였다. 임신과 출산은 참여자들의 이주생활을 더 힘들게 하였다. 임신강요, 아들선호, 임산부로서 부당한 대우는 스스로를 자녀생산의 도구로 취급받고 있다고 느끼게 되었다.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임신은 기쁨보다는 두려움이었으며 언어소통의 부족으로 건강전문인의 도움을 받지 못함으로 인하여 산전, 산후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자녀의 탄생으로 맛보는 기쁨은 이러한 고통을 잊게 하였다. 아이의 탄생은 고통스러운 현실을 견딜 수 있는 힘이 되었다. 아이는 참여자-자녀-남편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가족관계를 구성해 주고 시가족, 이웃과의 안정적 관계가 형성되는데 도움이 되었다. 더 나아가 참여자들은 자녀로 인하여 한국사회에서 한국인으로 주체적으로 살아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표현하였고 가족 내 주체자로 힘이 생겼음을 기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 여성의 임신․출산을 통한 삶의 전환 체험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건강정책 개발에 있어서 보건의료 시스템의 연계성 구축과 간호의 전문적 네트 웍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ir conjugal lives were followed using the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method developed by van Manen: focusing on the meaning of lived experience; existential investigating the phenomenon; reflecting; and writing with an hermeneutic phenomenology approac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married immigrant women residing in K City who could communicate with Korean language.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and September, 2008. through iterative face-to-face personal interview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tape-recorded and their essential themes were drawn by using ‘line by line’ approach of reflection. The associated etymology and idioms, literature, and phenomenological documents were assessed to obtain greater insight into an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transi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d undergone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essential theme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lives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as follows: “entering a strange world filled with chaos and tension where they feel like outsiders” “being pregnant and giving birth in increasingly difficult times” “giving birth to a child, which strengthens them to persevere through painful life experiences” “receiving greater support from their families” The participants described the distressing experiences that they endured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ir conjugal lives. These included being disregarded as insignificant members of the husbands' families, falling into worse than expected economic conditions facing obstacles in adapting to the newly lifestyle the country of migration, communication difficulties arising from unfamiliarity with the local language, and living in an environment full of chaos and tension in an unfamiliar country, namely, Korea. Dealing with pregnancy and childbirth added to the difficulties already being experienced by the immigrants dur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Further, experiences such as the coercive demands for pregnancy, preferences for a son, and the ill treatment of pregnant women leave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were raised in a different culture with the feeling that they are merely instruments of human reproduction. They were apprehensive of the unprepared pregnancy. Further, their lack of knowledge of the local language interfered with their procurement of satisfactory pre-delivery and post-delivery nursing care. Nonetheless, the pleasure derived from the arrival of a new baby afforded the mothers, some relief. The birth of child provided positive energy that alleviated the painful reality of the lives of the pregnant immigrant women. The bab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of a new family-centered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s, who then became participants in the child-rearing process, and in the shaping of a stable relationship with neighbours. Further,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at having children allowed them to integrate themselves into the Korean society and reaffirmed that their decision to immigrate was a positive on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It contribut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undergo pregnancy and childbirth after immigration.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would be likely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 appropriate health and medicare systems and the expert network of nursing care for immigrant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2 Ⅱ. 문헌고찰 = 4 A. 여성이주자와 결혼 = 4 B.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문제 = 7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2 A.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 12 B. 체험의 본질을 향한 집중 = 15 1. 현상에 대한 지향 = 15 2. 현상학적 질문을 형성 = 16 3. 연구자의 가정과 선 이해 = 17 C. 실존적 탐구 단계 = 18 1. 결혼이주 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연구자의 경험 = 18 2. 어원 추적 = 19 3. 관용어구 추적 = 20 4. 문학과 예술로부터의 경험적 묘사 = 22 1) 소설 부문 = 23 2) 시 부문 = 29 3) 수필 부문 = 34 4) 예술 부문 = 38 5) 임신·출산과 관련된 아시아 각국의 풍습 = 40 5. 연구 참여자의 경험적 진술 = 43 1) 연구 참여자의 선정 = 43 2) 자료수집 방법 = 44 3)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인 고려 = 45 6. 해석학적 현상학적 분석과정 = 46 7. 연구의 질 확보 = 47 Ⅳ. 연구결과 = 49 A. 결혼이주 여성의 임신·출산을 통한 전환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 49 B.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 89 C. 간호학적 의의 = 95 Ⅴ. 결론 및 제언 = 99 A. 결론 = 99 B. 제언 = 100 참고문헌 = 101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 107 부록 2 작품사용 허가서 = 108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16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결혼이주 여성의 임신·출산을 통한 삶의 전환 체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xperience of Transition in Pregnancy and Childbirth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dc.creator.othernameLim, Hyun Suk-
dc.format.pageⅷ,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