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문실-
dc.contributor.author박정혜-
dc.creator박정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3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간호교육에 협동학습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전공 분야에 대한 지식 습득뿐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수업과정 중 대상자들의 경험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남 J 대학 간호과 2학년 2개 반, 90명으로, 협동학습 중 JigsawⅣ 모형을 적용한 실험군이 43명, 토의법 중 소집단 토의를 적용한 대조군이 47명이었다. 실험처치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하여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 집단이 서로 다르지 않은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처치는 6주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의 시점별 전공분야에 대한 지식 습득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격주로 3번의 형성평가와 실험처치 직후 1번의 종합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는 한국교육개발원(2003)에서 대학생/성인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처치 전&#8228;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과정 동안 대상자들의 수업경험은 실험처치 직후 Csikszentmihalyi와 Schneider(2000)의 경험표집양식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업만족도는 연구자가 개발한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협동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토의법을 적용한 대조군의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시점별 두 집단의 전공분야에 대한 지식습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73), 시점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였다(p=.000). 2. ‘협동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토의법을 적용한 대조군의 교수-학습방법에 따라 두 집단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2는 채택되었다. 실험처치 전&#8228;후 실험군의 의사소통능력은 처치 전 3.45에서 처치 후 3.5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3), 실험처치 후 실시한 공변량 분석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81, p=.002). 3. ‘협동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토의법을 적용한 대조군의 교수-학습방법에 따라 두 집단의 자기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3은 채택되었다. 실험처치 전&#8228;후 실험군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은 3.45에서 3.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0), 하위요소는 학습계획 점수가 3.36에서 3.53으로(p=.001), 학습실행 점수가 3.49에서 3.65로(p=.002), 학습평가 점수가 3.54에서 3.71로(p=.018)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또한 실험처치 후 실시한 공변량 분석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점수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1.81, p=.000). 4. ‘협동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토의법을 적용한 대조군의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두 집단의 수업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4는 채택되었다. 수업 동안 실험군의 학습자들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인지적 효율성이 높고(t=2.26, p=.027), 정서적으로 행복하고 즐겁고 사교적이며(t=3.01, p=.003), 적극적으로 활동하고(t=3.53, p=.001), 열린 태도로 참여하는 것(t=4.28, p=.000)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군의 대상자들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t=2.78, p=.007).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간호교육에 협동학습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전공분야에 대한 지식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은 물론, 간호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학습성과의 중요한 요소인 의사소통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수업 집중도가 높았고, 긍정적인 정서 상태에서 활발하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수업만족도도 높았다. 그러므로 본 협동학습을 향후 간호교육의 적합한 교과목과 학습주제에 활용함으로써 간호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성취하여야 할 학습성과의 성취 수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JigsawⅣ cooperative learning on the performance and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ith two comparison treatments desig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ve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nd quality of experience as well as performance in learning. One intact class of second-year students from three-year junior nursing colleg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class with 43 students served as the experimental(JigsawⅣ) group. The other class of 47 students served as the control(general small group learning) group. Students in each class were divided into 11-12 groups, with each group consisting of four to five student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ver a 6-week period. Every two week, a Jigsaw cooperative learning session was implemented for a lesson unit. A total of three lesson units in the area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were conducted in the study. All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directed by the same course instructo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12.0 versio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 compared the learning performance outcomes of the two groups by grades of three mini-test and one final exam.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mor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performance in learning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experiments(F=17.64, p=.00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nal exam between the two groups(F=0.61, p=.438) 2. When compared with pre-experiment, in the post-experiment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motion of communicative skills(3.45<3.57, p=.003). An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mor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motion of communicative skills between the two groups(F=6.81, p=.002). 3. When compared with pre-experiment, in the post-experiment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3.45<3.62, p<.000). And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mor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the two groups(F=11.81, p<.000). In the post-experimental questionnaire, we asked students in both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learning activities. Overall,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mor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positive perception about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The t-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attitud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entration in the class(t=2.26, p=.027), positive emotional state(t=3.01, p=.003), active participation(t=2.78, p=.007).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JigsawⅣ cooperative learning has more positive effects in the performance in learning, the promotion of communicative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lso, learners experience more positive effects i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al dimensions than those of small group during cooperative learning. Hereafter, more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is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C. 연구의 가설 = 6 D. 용어의 정의 = 7 Ⅱ. 문헌고찰 = 9 A. 협동학습 = 9 B. 토의법 = 24 C. 학습성과 = 28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 설계 = 32 B. 연구 대상 = 32 C. 연구도구 = 33 1. 의사소통능력 = 33 2.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 34 3. 수업경험 = 35 D. 연구절차 = 36 1. 수업 준비 = 36 2. 실험군의 수업절차 = 38 3. 대조군의 수업절차 = 44 E. 자료 분석 방법 = 48 F. 연구의 제한점 = 49 Ⅳ. 연구결과 = 50 A. 대상자의 동질성 검정 = 50 B. 가설검증 = 52 Ⅴ. 논의 = 62 A. 협동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 62 B. 협동학습이 간호학생의 수업경험에 미치는 효과 = 67 Ⅵ. 결론 및 제언 = 69 A. 결론 = 69 B. 제언 = 73 C. 간호학적 의의 = 74 참고문헌 = 76 부록 = 87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66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협동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습성과와 수업경험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the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and Experiences-
dc.creator.othernamePark, Jeong Hye-
dc.format.pageⅹ,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