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과제 유형에 따른 정보 전달 능력에 관한 연구

Title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과제 유형에 따른 정보 전달 능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Informativeness and Efficiency of Spontaneous Speech depending on Task type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uthors
정윤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ormativeness and efficiency of spontaneous speech depending on DAT severity and task type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DAT). In this study, 40 subjects participated. 30 DAT patients, separated into 3 sub groups by DAT severity stage, and 10 normal elderly people. Subjects described single picture, sequencing picture and procedure of things. These samples were analyzed Correct Information Unit(CIU) method that can measure informativeness and efficiency in spontaneous speech. Main variables of this analysis were %CIU(CIUs/words × 100), CIUs/minute. Also, the ratios of filler(fillers/words × 100) was compared with each task.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IU and CIUs/minut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DAT severity. Therefore CIU scoring system was reasonable to analyze spontaneous speech in patients with DAT. Also, there were no age, sex and educational level differences in all measure. Second, the %CIU was no task differences in normal elderly peopl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ask type in %CIU of DAT groups and in CIUs/minute of all groups. And then, there was noticeable distinction between normal elderly group and all DAT group in sequencing picture description task. Also sequencing picture description task was the most difficult among three tasks in DAT patients. In conclusion, CIU method was useful to analyze spontaneous speech and task type influenced informativeness and efficiency of spontaneous speech in DAT patients. Therefore various tasks are needed to evaluate spontaneous speech of DAT patients in clinical situations.;알츠하이머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이하 DAT) 환자들은 치매 초기 기억력 문제와 함께 이름 대기 능력의 손상을 시작으로 전반적인 언어 능력이 점차적으로 퇴화하게 된다. 이러한 DAT 환자들의 언어 능력 손상은 치매 초기부터 의사소통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DAT 환자들의 언어 능력에 대한 초기 연구는 주로 단어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DAT 환자의 언어 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어 수준에서 벗어난 발화 수준에서의 분석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임상에서 환자 평가 시 사용되고 있는 언어 평가 도구는 DAT 환자들의 발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DAT 환자들의 발화를 분석하기 위한 객관적인 분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치매가 진전됨에 따라 DAT 환자들의 정보 전달 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과제 유형에 따른 정보 전달 능력 차이를 분석하여 평가 및 치료 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제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40명이었고, 정상 노인 10명, 치매 노인 30명이었으며 치매 노인은 임상적 치매 평가(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척도에 따라 치매 의심 집단(CDR 0.5) 10명, 경도 치매 집단(CDR 1) 10명, 중등도 치매 집단(CDR 2) 10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의 연령, 성별 및 교육연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DAT 환자들의 정보 전달 능력을 분석하는 기준으로 CIU(Correct Information Unit)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CIU 비율과 분당 CIU 수를 측정하였으며, 발화 수집을 위하여 사용한 과제는 단일 그림 과제, 연속 그림 과제, 절차 설명 과제였다. 단일 그림 과제는 한 장의 그림에 나타난 여러 인물들의 모습이나 행동, 또는 주변 상황을 설명하는 과제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PARADAISE・Korean versoin-The Western Aphasia Battery, 김향희・나덕렬, 2001)의 스스로 말하기항목에 포함된 그림인 ‘해변가’ 과제를 사용하였다. 연속 그림 과제란 하나의 이야기를 가진 여러 장의 그림을 보고 이야기의 내용을 사건 순서대로 설명하는 과제로 본 연구에서는 ‘흥부와 놀부’(신예영, 2001) 중 6장의 그림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절차 설명 과제는 하나의 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는 가를 순서대로 조직하여 설명하는 과제로 본 연구에서는 라면 끓이기 절차와 된장찌개 끓이기 절차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 정도에 따라 정보 전달 능력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노인 집단은 치매 집단과 CIU 비율 및 분당 CIU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등도 치매 집단 역시 다른 모든 집단과 정보 전달 능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치매 의심 집단과 경도 치매 집단의 평균은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정도 이외에 정보 전달 능력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 성별, 교육연수와 CIU 비율 및 분당 CIU 수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해당 변인은 정보 전달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과제 유형에 따른 정보 전달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상 노인 집단은 과제에 따라 CIU 비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치매 집단은 과제 유형에 따라 CIU 비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분당 CIU 수는 모든 집단에서 과제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치매 집단은 연속 그림 과제에서 CIU 비율 및 분당 CIU 수가 가장 낮았고, 절차 설명 과제에서 가장 높았으며, 정상 노인 집단 역시 절차 설명 과제에서 분당 CIU 수가 가장 높았다. 정보 전달 능력의 차이를 각 과제 유형 별로 집단 간 비교한 결과, 단일 그림 과제의 경우 정상 노인 집단과 치매 집단의 CIU 비율 및 분당 CIU 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치매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 그림 과제에서도 정상 노인 집단과 치매 집단의 정보 전달 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치매 집단 안에서도 중증도에 따라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절차 설명 과제에서 나타난 정보 전달 능력의 집단 간 차이도 연속 그림 과제의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는 먼저, CIU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정상 노인 집단과 치매 집단의 발화 능력 차이를 보여주어 치매 평가 시 필요한 자발화 분석에 CIU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할 수 있고, 치매 정도에 따라 CIU 비율 및 분당 CIU 수가 유의한 차이를 가지는 것을 보여주어 CIU 분석 방법이 DAT 환자의 중증도를 구분할 수 있는 타당한 기준임을 입증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과제 유형에 따라 DAT 환자의 정보 전달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어 임상 환경에서 DAT 환자의 언어 평가에 다양한 과제가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평가 및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과제 유형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