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제주도 영등굿의 축제성 연구

Title
제주도 영등굿의 축제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estiv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deung Gut in Je-ju Island
Authors
한유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진옥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Young-deung Gut of Je-ju island. In this research, by conforming the traditional forms of Young-deung Gut, I clarify that the Young-deung Gut is a ritual which has the nature of an original form of a festival. In this regard, I tried to manifest festive characters of Young-deung Gut. Youngdeng-Gut is a community's ritual praying for the safety and richness of female divers, which is held every year on the lunar calendar, February 1. So far, Young-deung Gut managed to maintain the archetype of a ritual from which most of the festival is originated in Korea has been well transmitted. For this reason, Young-deung Gut has been noticed as a ritual containing the principles of festival. When Young-deung Gut started is not clear. However,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i.e., Jeung-bo-top-la-zi and Sin-Jeung-dong-kuk-yo-zi -seung-ram,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ritual was performed before the Cho-seon Dynasty. In addition, ‘Yak-ma-hue’, which is commonly referred in the previous mentioned two literatures, is the past form of the current ‘Bae-bang-sun' which is a step of sending Young-deung God and contains ‘Gyeong-Jo' event which disappears in current ‘Bae-bang-sun'. These differences show up the today's course of sending God is more simplified than past. In this way, the procedure of Young-deung Gut is simplified rather than the past. Even though the almost no change exists in the framework of a original form of Young-deung Gut, it is clear that the situation may change the procedure a little bit. Because Young-deung Gut does not have Bon-pul-yi about Young-deung God, I hav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es of Young-deung God through four different myths collected in the meantime. In these myths, Young-deung God is revealed as a guest god visiting from outside and, unlike a folk belief, assumed as the male sex.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divinity through the death of Young-deung God is not only associated with the productivity and abundance but also with the power to call the wealth. In this regard, the death of Young-deung God means more than the preliminary procedure of a resurrection. Young-deung Gut is the community's ritual of which the festive nature reveals more pliable through the existence of God. So ‘community's Sin-myeng (ecstasy)' appears in Young-deung Gut is an emanation of the joy and excitement of the participants who get definite answers from God. And at the same time that is expression of feelings of unity and harmony enjoying with God. Especially, this community's Sin-myeng is revealed at the ritual step so called as ‘Seo-woo-jet-so-ri'. Seo-woo-jet-so-ri done repeatedly in the course of Young-deung Gut takes a role to make characters of shamanism change to festive characters. And also it highlights up the characteristics of festival. Among the current courses of Young-deung Gut, ‘Young-gam-nol-yi' is a new ritual step accepted by the Chil-meu-ri-dang Young-deung Gut. In the process of this acceptance, Young-gam-nol-yi of which the original contents and form were to treat the disease was to accept the changes of the purpose to pray the safety and the big catch. Depending on the flow of tim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gam-nol-yi as a shamanism is gradually attenuated.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as a playing is getting stronger. The characteristics of Young-gam-nol-yi as a playing causes excitement and laughter to the people who participate in Chil-meu-ri-dang Young-deung Gut and is finished with Seo-woo-jet-so-ri at the end of that event. Young-gam-nol-yi shows a internalization of the people's Sin-myeng. is another step of the ritual representing Young-deung God's activity seeding in the sea and the plains during two weeks of stay in Je-ju island. In 'Ssi-deu-rim' step, female divers revive the acts of God directly. by this experience seeding in the sea, they come to face the existence of God more vividly and also by doing a direct act of God, they become to participate in the ritual with a strong faith. The process of Young-deung Gut, during female divers directly experience the active participations and have the opportunities to switch to a new lives by clearing their past lives and filling insert new liv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hamanism procedure and the forms of participation of female drivers, it is obvious that Young-deung Gut contains the principles of the festival. Young-deung Gut of Je-ju island is the ritual in which the bond with a shaman so called as Sim-bang (shaman), the consensus of female divers and the shamanism inevitably associated with the occupation get joined together. Because of the such strong foundation of traditional culture, Young-deung Gut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the ritual succeeding the tradition of the festival.;본 연구는 제주도 영등굿의 전승양상을 확인하여 제주도 영등굿이 축제의 원형을 간직한 의례임을 밝히고, 이를 통해 영등굿이 지닌 축제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다. 제주도 영등굿은 해녀들의 안전과 풍요(豊饒)를 기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년 음력 2월 초하루에서 보름 사이에 행해지는 공동체 의례이다. 제주도 영등굿은 오랜 시간 전승되면서 현재까지 제의의 원형이 남아있어 우리나라 축제의 기원인 무속 공동체 의례의 맥을 계승하면서 축제의 원리를 잘 담아내고 있다. 제주도 영등굿은 『增補耽羅誌』와 『新增東國輿地勝覽』의 문헌의 기록을 통해 적어도 조선조 이전부터 행해져왔음이 확인된다. 북촌리 영등굿과(1968년 현용준), 칠머리당 영등굿(2004년 문무병)의 현장을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2007, 2008년 필자가 조사한 전승현장을 확인하였는데, 북촌리 영등굿의 경우 40년의 시간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승형태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칠머리당 영등굿이 가진 특징은 당굿을 겸해서 하므로 본향듦 제차가 추가되어 있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영감놀이의 제차가 추가로 삽입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당을 이전하면서 바다와 거리가 멀어져 당에서 할 수 있는 제차를 모두 한 후에 바다로 나갈 수 있는 상황이어서, 씨드림은 배방선, 지드림과 함께 행해졌다. 영등굿에서는 영등신의 본풀이가 부재하므로, 그동안에 채집된 네 편의 영등신의 신화를 통해 영등신의 내력과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신화에서 영등신은 외래신, 내방신으로서의 성격이 드러나고, 속신(俗信)에서 대개 여신(女神)으로 인식되는 것과 달리 남신(男神)으로 상정되어 있다. 영등신은 신화 속에서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과정을 통해 풍요신으로서의 직능을 획득하고, 제주 어부들 대신 희생함으로써 바다를 관장하는 신, 안전을 보장해주는 신격을 획득한다. 영등굿은 무속 공동체 의례이기 때문에, 神의 존재를 통해 축제적 성격이 더욱 유연하게 표현된다. 영등굿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적 신명’은 신에게 청원한 바에 대한 확답을 들은 참여자들이 기쁨과 흥분을 발산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신과 함께 즐기는 통합과 화합의 감정 표출이다. 이러한 공동체적 신명은 영등굿에서 특히 ‘서우젯 소리’의 제차를 통해 나타나는데, 서우젯 소리는 영등굿의 과정 중에 반복적으로 행해지면서 굿의 제의적 성격을 축제적 성격으로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영감놀이는 칠머리당 영등굿에 수용되어 놀이성이 더욱 강화되면서 칠머리당 영등굿의 과정 안에서 드러나는 축제적 성격을 더욱 강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서우젯 소리로 마무리되면서 내재화되는 신명의 형태를 보여준다. 씨드림은 영등신이 제주섬을 내방하여 머무는 보름동안 섬 안을 돌며 들과 바다에 씨를 뿌리는 행위를 재현(再現)한 제차인데, 해녀들이 신의 행위를 직접 재현한다. 씨드림은 신의 행위를 직접 행하면서, 풍요를 기원하며 생명력을 재생시키고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는 축제적 과정을 담고 있다. 해녀들은 영등굿의 과정 중에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지난 과거를 비워내고 새로운 삶 에너지를 대신 채워 넣으면서 이전의 삶과 다른 새로운 삶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영등굿은 각 제차가 행해지는 과정과 이에 참여하는 해녀들의 참여 형태에서 축제의 원리를 잘 담아내고 있다. 이러한 제주도 영등굿은 해녀들 간의 공감대와 심방과의 유대감, 그리고 생업의 특성상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의례의 필요성이 함께 어우러지면서 공고한 전승기반을 바탕으로 축제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의례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