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신혜수-
dc.creator신혜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5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82-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한국 근대 초기 문학사의 대표적인 여성작가 김명순의 전작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작품에 내재한 작가 의식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명순에 관한 기존 연구는 김명순 작품의 불확실한 서지를 기반으로 한 까닭에, 작가의 확인되지 않은 전기적 요소로 작품을 환원 분석하거나 남성 작가의 모델 소설과 작가에 대한 인신 공격적 비판을 논의의 시작으로 삼아서 김명순 작품의 본뜻이 왜곡된 경우가 많았다. 하여 본고는 김명순의 전 작품을 발굴하여 수집하는 것에서 출발하였으며, 작가 연구는 철저히 작품 분석으로써 고증해야 한다는 원칙하에 1차 자료인 작품과 2차 자료인 작품에 관련된 작가의 문학적 행보만으로 연구 대상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고는 1917년부터 1922년까지를 작가의 초기로, 1923년부터 1927년까지를 중기로, 1928년부터 1939년까지를 후기로 나누고, 각 시기에 속하는 작품을 분석하여 작가 의식을 추출하였다. 각 장별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김명순의 초기작을 분석하여 작가가 근대 편입을 열망하여 문학 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함으로써 여성작가로서의 주체성을 모색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자신의 태생적 결함을 극복하고 봉건적 축첩제의 굴레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어머니가 부재하는 구습 가족으로부터 탈주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탈주의 방식은 근대교육을 습득하기 위한 유학이며 여성인물들은 유학을 통해 근대문학과 자유연애를 체험한다. 김명순이 거의 모든 작품에서 주력했던 주제는 자유연애론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작품들에는 연애 대상인 남성 인물이 희미하게 그려지고 낭만적 연애를 막연히 동경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이 시기 김명순은 유학을 통해 접한 근대문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서구문학을 한국에 소개하는 번역가로서의 활동을 전개한다. Ⅲ장에서는 중기작을 분석하여 작가가 식민지 조선 문학 장에서 여러 시련을 겪으면서 식민지 근대성을 자각하고 근대 여성작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 여성 인물들은 어머니에 대한 거부와 동일시의 양가감정을 드러낸다. 작가는 섹슈얼리티를 배제한 이상적 연애관을 내세우고 그것에 기반한 새로운 대안 가족을 모색한다. 또한 작가는 작중 인물들 간의 서구문학 토론 장면을 삽입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서구문학 작품의 주제와 인물을 재해석한다. 이 시기 작가와 당대 문학 장과의 길항 관계는 󰡔생명의 과실󰡕에 작가가 직접 상재한 작품과 󰡔조선 시인 시선집󰡕에서 선정한 김명순의 대표시가 다르다는 점 등을 들어 밝혔다. Ⅳ장에서는 후기작을 분석하여 식민지 문학 장의 내부 식민주의에 대한 비판 의식과 식민지 근대 여성작가로서의 재도약 의지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작품에서는 어머니를 깊이 이해하게 된 여성 인물이 모성성을 추구하는 모습이 드러난다. 그러나 김명순은 제도화된 가족을 형성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에서 당대의 현모양처론과 변별된다. 작가는 기혼 여성의 혼외 연애라는 전복적 연애를 제시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연애관을 드러내었다. 이는 이상적 자유연애의 파국적 실천 모습을 극단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연애 대상인 남성 지식인들은 모두가 허위에 찬 인물로 묘사된다. 이는 당대 남성 지식인들의 내부 식민주의 기제를 통찰한 작가 의식의 발로이다. 김명순 문학 연구는 한국 근대 여성문학사의 복원을 위한 시작점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김명순이 식민지 근대성을 정치하고 세밀하게 포착한 많은 작품을 남겼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김명순의 전 작품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김명순이 피식민 여성작가로서 숱한 시련을 겪으며 점차 식민지 조선 문학 장의 본질을 통찰해 갔음을 규명했다. 그리하여 남성 작가 중심의 조선 문학 장의 작동 기제가 식민주의적 무의식 즉, 내부 식민주의라는 사실을 김명순이 자각했음을 작가 의식의 변모과정을 통해 밝혔다. 이러한 시각의 연구는 김명순과 김명순의 작품을 ‘피식민’ ‘여성’ 이라는 이중적 타자성의 자리에 두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는’ 자리에 둠으로써, 그녀를 ‘타자’의 자리가 아닌 ‘주체’의 자리에 올려놓는다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This thesis focuses on the periodic study on the whole works of Kim Myŏng-Sun, the representative woman author in early modern age in Korea, and studies changing aspects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her works. Earlier studies on Kim Myŏng-Sun stood on the basis of uncertain bibliograph, thereby many of them have shown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 in her works, by restoring and analyzing the author's uncertain biographical factor or starting discussion on men author's model novels and criticism involving personal insult. Therefore, the study in this thesis began unearthing and collecting her whole works. Under the principle that studies on authors should be thoroughly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works, the scope of study object is limited only to the author's walk of literature related to primary and secondary data. In this thesis, early period correspond to 1917-1922, middle period 1923-1927, latter period 1928-1939, and works in each period were analyzed and extracted the author's consciousness. The summarie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Through analyzing Kim Myŏng-Sun's early works, Chapter Ⅱ studies aspects of searching her identity as a woman author who desired entry of the modern age and entered field of literature in earnest. Women characters in this period are described as escapers from the feudal family which is absent of mother, in order to overcome inborn defect and free themselves from the bondage of feudal concubine system. The method of the escape is studying abroad for learning modern education, and this education leads women characters to free love and modern literature. Kim Myŏng-Sun's main forced theme through almost works come in contact with free love. Yet in this early period, men character as objects of love is described vague and women characters yearn romantic love. And Kim Myŏng-Sun in this period developed her career as a translator who introduced western literature to Korea, in the process of actively accepting modern literature through studying abroad. Through analyzing Kim Myŏng-Sun's works from middle period, Chapter Ⅲ studies process of her experiencing ups and downs in the field of literature of the Colony Chosun, and becoming aware of Colonial Modernity and established her identity as a modern woman author. Women characters in this period shows ambivalent feelings to their mothers(denial and identification). The author advocates ideal view of love excluding sexuality and tries to find an alternative family based on this view. Also the author inserts discussion scene about western literature among characters and reinterprets themes and characters of western literature through her own point of view. Antagonism between the author and the field of literature in those days is made clear on the fact that personally published works on Fruits of Life are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poems of Anthology of Chosun Poets. Through analyzing Kim Myŏng-Sun's latter works, Chapter Ⅳ studies both her leap will as a modern woman author in colony and spirit of resistance to internal colonialism in the field of colonial literature. In this latter works, a woman character who begins to deeply understand her own mother persue maternality. Kim Myŏng-Sun, however, discriminate her maternality and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that it doesn't form institutionalized family. The author shows her own unique view of love by presenting upset love, extramarital love, and this embodies catastrophic practice of ideal free love to the extreme. All intellectual men as objects of love, are described as men full of falsehood, this is the manifestation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has insight of mechanism of internal colonialism among intellectual men in those days. Study on Kim Myŏng-Sun literature signifies that it is starting point of restora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women literature. This thesis made clear on that Kim Myŏng-Sun left a lot of works behind which fixed on colonial modernity and apprehended it in details. Through periodic study and by analyzing her whole works, it has found out that Kim Myŏng-Sun, as a woman author in the colony, had experienced ups and downs and realized the essence of the field of literature in colonial Chosun. Then through transforming process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t is clarified that she realized the fact that operating mechanism of men-centered field of literature in Chosun is the colonialistic unconsciousness, so to speak internal colonialism. The study on this point of view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ut Kim Myŏng-Sun on the seat of "The Subject" not "The Other", by putting Kim Myŏng-Sun and her works on the seat of "To see", not on the seat of "To be double othered" as a 'colonial' 'wom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 7 Ⅱ. 근대 편입에의 열망과 주체성 모색 = 13 A. 어머니의 부재와 구습 가족으로부터의 탈주 = 14 B. 후경화된 남성상과 낭만적 연애의 동경 = 24 C. 근대문학의 내면화와 문학 장에의 정식 입성 = 35 Ⅲ. 식민지 근대성 자각과 정체성 확립 = 44 A. 어머니에 대한 양가감정과 대안 가족의 형성 = 48 B. 분열된 남성상과 이상적 연애의 전유 = 64 C. 근대문학의 비판적 수용과 문학 장과의 길항 = 75 Ⅳ. 내부 식민주의 비판과 재도약 의지 = 89 A. 모성성 추구와 제도화된 가족의 거부 = 91 B. 허위적 남성상과 전복적 연애의 파국 = 99 C. 근대문학의 주체적 재인식과 문학 장에 대한 저항 = 108 Ⅴ. 결론 = 118 참고문헌 = 123 부록 - 1 작품 연보 = 136 부록 - 2 김명순 서지 고찰 = 150 Abstract = 1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93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김명순 문학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가 의식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im Myŏng-Sun’s Literary Works : Focusing on the Progressive Aspect of Author Consciousness-
dc.creator.othernameShin, Hye Soo-
dc.format.pageⅴ, 1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