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기업체 종사자의 개인-환경 일치에 따른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이직의도의 구조모형 검증

Title
기업체 종사자의 개인-환경 일치에 따른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이직의도의 구조모형 검증
Authors
용태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환경 다양한 개인-환경간 일치 중에서 성격과 환경이 요구하는 성격특성의 일치 정도가 직업적응 및 성공적인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무만족, 직무성과, 이직의도에 있어서 개인-환경 일치가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탐색적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은 국내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대기업의 대졸 이상의 신입사원 212명 이었으며, Holland의 적성탐색검사, MSQ(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직무성과 질문지, 이직의도 질문지 등을 사용하였다. 개인-환경 일치도의 측정은 Holland 적성탐색검사의 결과와 실제 직업환경 유형의 두 자리 코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 Zener-Schnuelle 지수를 사용하였다. 둘째, 기업 종사자들의 개인-환경 일치가 영향을 미치는 직업적응 및 성공적인 수행 변인간의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개인-환경 일치가 직무만족, 직무성과, 이직의도에 각각 미치는 영향들을 검증한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경로를 제거하여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가정하는 경쟁모형1을 설정하였고, 이직의도에 개인-환경 일치가 직접경로로 추가되어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직무성과를 매개로도 영향을 미치고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 경쟁모형2를 설정하였다. 구조모형 검증결과 연구모형이 지지되었다. 기업 종사자의 개인-환경 일치는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끼쳤다. 또한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나, 직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반면, 직무성과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개인-환경 일치가 심리적 변인인 직무만족을 통해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환경 일치가 기업종사자의 직무성과에도 직무만족을 통해서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 성격이 작업환경에 적합할 때 직업에 만족할 것이고, 이러한 심리적 만족감을 통해 직무수행이나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데 향상된 동기를 보일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e purpose to develop a broad model,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o explore the influence and structure of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Self-Directed Search(SDS) which was developed and by Ahn(1996), MSQ(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urnover Intention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12 newcomers of Korean large companies, who received education of more than a 4 year univers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positively related each other. However, turnover inten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2.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assumptive model of this study is appropriate, a competitive model 1 and 2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researches precedent. The first competing model tested the possibility there was a missing pathway of job satisfaction related job performance. The authors also rested a second competing partially mediated model that included an additional direct effect of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on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l, a research model was supported with a better fit to data. 3. In research model, the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can positively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influences on job performance. And it was a negative significant path from job satisfaction to turnover intention but not from job performance to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of the structural model supported the job satisfaction variabl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and job performance,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gives career counselors many suggestions. Also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