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백민정-
dc.creator백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9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생의 분리-개별화와 진로미결정이 상호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 또한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돕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진로미결정척도와 분리-개별화척도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척도로 구성된 동일한 설문지를 가지고 2009년 4월부터 5월에 걸쳐 서울 소재의 4년제 대학교 4곳에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통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수준이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는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들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분리-개별화는 진로미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분리-개별화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진로미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도울 때,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이루어지고, 스스로 해낼 수 있음에 대한 효능감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진로미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성별에 따라, 학년에 따라 서로 다른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separation- individu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participants were 541 undergraduates at the 4 universities in Seoul.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Korean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Questionnai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and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according to sex and grad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sex and grad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ndecision, separation-individuation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major. Based on the findings, there are some clinical suggest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improve career indecision and self-efficacy when university students suffer from career indecision. Second, a different psychological help should be offered to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sex and gr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진로미결정 = 6 1. 진로미결정의 개념 = 6 2. 진로미결정에 관련된 변인들 = 8 B. 분리-개별화 = 9 1. 분리-개별화의 개념 = 9 2. 분리-개별화와 진로미결정 = 11 C. 진로결정자기효능감 = 12 1.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념 = 12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 = 14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연구절차 = 18 C. 측정도구 = 18 1. 진로미결정 = 18 2. 분리-개별화 = 19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 20 D. 분석방법 = 21 Ⅳ. 연구결과 = 22 A.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분석 = 22 1.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치와 차이분석 = 22 2. 주요변인들의 상관관계 = 26 B. 연구가설 검증결과 = 27 1. 진로미결정에 대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 27 Ⅴ. 결론 및 논의 = 30 참고문헌 = 35 부록 1. 설문지 = 46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37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분리-개별화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Separation-Individu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ed Effect b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c.creator.othernameBack, Min Jung-
dc.format.pageⅷ,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