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3 Download: 0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

Title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과 자살사고와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 of Academical Stress, Locus of Control,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uthors
박혜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교육열이 매우 높은 국가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은 학업 스트레스 수준이 상당히 큰 편이어서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청소년 자살의 위험성이 상당히 크다. 매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고 나면 고3 학생들이 성적을 비관하여 자살하는 사건이 일어나고 있고, 심지어 초등학생, 중학생도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자살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학업 스트레스가 자살사고까지 이르는 경로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 자살사고의 경로를 검증하고, 검증된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 위치한 4개의 중학교, 4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이며, 44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학업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오미향, 천성문이 제작한 학업 스트레스 검사를 수정 사용하였고, 통제소재를 측정하기 위하여 Rotter의 내외통제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한미현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고,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Kovacs의 소아 우울 척도(CDI)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살사고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Beck, Kovacs와 Weissman이 개발한 자살사고 척도(SSI)를 김중술, 박광배, 신민섭, 오경자가 자기 보고형 질문지로 번안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우울, 자살사고의 성별 차이, 학교급간별 차이와 상관관계를 통해 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 자살사고의 인과적 관계를 설정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하여 검증된 경로를 가지고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 각 하위변인, 우울, 자살사고에서 성별 차이, 학교급간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진로 스트레스, 가족지지, 친구 지지, 자살사고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고,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교사지지에서 학교급간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 각 하위변인, 우울, 자살사고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든 변인들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 외적 통제소재를 가지고 있고,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며 우울과 자살사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통제소재를 가질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우울과 자살사고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살사고는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 자살사고 간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업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 통제소재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우울이 완전 매개를 하고,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서 통제소재가 부분 매개를 하는 경로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 자살사고의 경로가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사회적 지지의 중앙치를 근거로 고․저 집단을 나누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제소재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 우울에서 자살로 가는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외적 통제소재 경향일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졌고, 우울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살사고가 높아졌다. 반면 학업 스트레스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는 사회적 지지 고․저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어 사회적 지지 수준과 무관하게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졌던 학업 스트레스와 자살사고 사이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반복 검증하였고, 통제소재가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 사이를 매개한다는 경로가 처음으로 밝혀졌다. 또한 통제소재가 우울로 가는 경로, 우울이 자살사고로 가는 경로가 사회적 지지 수준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살사고를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같은 관계적 접근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This study examined the path of academic stress, locus of control,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this integrative model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Participants were 448 adolescents at the 4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in Korea. They completed the academic stress test,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children depression inventory, scale fo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ale for suicidal ide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s correlations, Path analysis and Multi-groups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t test using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 future career stress, support of family, support of friend and suicidal ideation. And a t test using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significant on all academic stress, locus of control and support of teacher. 2.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variances.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But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3. The result of path analysis suggested that depression completely mediated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lso depression completely mediated locus of control and suicidal ideation. And locus of control partly mediated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4. Social support process model varied with academic stress, locus of control,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suicidal ide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