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공적 자의식, 자기제시 동기에 따른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의 관계

Title
공적 자의식, 자기제시 동기에 따른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Perfectionism by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uthors
김은혜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e current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in addition to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432 undergraduates in Seoul and Daejeon completed a 96-item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from the Covert Narcissism Scale (C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ub-scale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public self-consciousness sub-scale of Fenigsteins's Self Consciousness Scale (SCS), and Self Presentational Motivation Scale (SPMS). SPSS 17.0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In addition, AMOS 7.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 path analysis for the analyzed data.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rov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his result is in line with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covert narcissists are more likely to believe that their significant others expect them to be perfect. Covert narciss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lso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Second, a path analysis showed that covert narcissism not only influence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is indicates that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 findings of the current research confirm those of the past studies in that it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lso, these results further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 that it verifies the role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s a mediating factor within the relationship. Lastly, the outcome of the current research may benefit counseling settings by finding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narcissistic people.;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자기제시 동기, 공적 자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관계에 있어 자기제시 동기와 공적 자의식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내현적 자기애 척도(Covert Narcissism Scale; CNS),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중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하위 척도, 자의식 척도(Self Consciousness Scale; SCS) 중 공적 자의식 하위 척도, 자기제시 동기 척도(Self Presentational Motivation Scale; SPMS), 인구통계학적 질문의 순서로 구성된 질문지를 서울과 대전 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다니는 남녀 대학생에게 배부, 수거하여 총 432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의미 있는 타인이 자신에게 부과하는 기대와 기준을 충족시켜야만 한다고 믿는 경향이 더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제시 동기, 공적 자의식 간에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자기제시 동기와 공적 자의식 간에도 강한 정적 상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내현적 자기애뿐만 아니라 공적 자의식, 자기제시 동기와도 정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제시 동기, 공적 자의식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적 경로 모형을 검증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기제시 동기와 공적 자의식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제시 동기와 공적 자의식이 유의미한 매개변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적인 신념이 높아진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매개변인으로 자기제시 동기와 공적 자의식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그 내부에 존재하는 역동을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상담 장면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기애적 성향의 사람들을 돕는데 있어 보다 효과적인 치료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