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주희-
dc.contributor.author현혜원-
dc.creator현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3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8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30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describes that the wage difference in labor market arises from the hierarchy of universities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social problems in Korea. The ratio of students who enter a university has been increased in a high level as compared to former days, thus the premiums which could be only acquired by entering university have been disappeared. With this phenomenon the vertical differentiation is occurred among the college graduates. In addition, it appears that students make an effort to get the premium which could be obtained from the name of the university and this causes some social problems such as overheated competition for entering the finest universities. In Korea society, a large amount of capital and major facilities have crowded into Seoul, the capital of South Korea, and the distribution of universities is no exception. Most universities called the finest university are located in Seoul. The previous studies have described that hierarchy of universities relates to the location of university, especially the distance from Seoul and the score of a college entrance exam. In this study, I classified the graduates into three groups by the location of universities; Seoul,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ural district groups. I analyzed the ratio and the total amount of the difference in wages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and productivity by the comparison and decomposition of wag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wage of each group displayed the difference. The group Seoul has the highest average wage, and the group metropolitan area and the rural district are followed.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hierarchy of universities. Second, I analyzed the wage difference by Oaxaca Decomposition. The ratio of the wage difference based on the discrimination was much higher than on the difference of productivity. This means that most wage difference stems from th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university. In particular, in wage decomposition between the group Seoul and rural district, the ratio of wage difference based on productivity was much higher than other groups. It was evaluated that productivity of the rural distric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Seoul group. Those results describe that hierarchy of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university affects the wage difference. Since the wage difference arises from the discrimination, an effort to deal with the problem is needed. Furthermore, the policy and social recognition should be required to take care of the prejudice occurred from the location of university in labor market.;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사회문제 중 하나인 대학의 서열화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임금격차를 알아보고자 한 논문이다. 대학 진학률이 과거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고 이에 따라 대학 진학만으로 얻을 수 있는 프리미엄이 이전과 비교하여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과 함께 나타난 것이 대학 졸업자 내에서 발생하는 수직적 분화이다. 대학 졸업으로 누릴 수 있었던 많은 프리미엄을 이제는 어느 대학을 나왔는가로 얻으려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명문대 진학을 위한 과열입시경쟁 등의 사회적 문제까지 야기하고 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모든 주요시설과 사회적, 인적 자본이 서울에 몰려있다. 이는 대학의 분포에서도 예외가 아닌데, 이른바 명문대로 통칭되는 주요 대학들은 거의 서울에 몰려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존 연구들은 대학 서열화가 지역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서울에서와의 거리와 대입 수능점수, 대학의 서열화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출신대학 지역을 서울과 수도권, 지방의 세 지역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 간 임금격차의 비교와 임금격차 분해를 통해서 생산성에 의한 임금격차와 차별에 의한 임금격차의 총량과 비율을 분석해내고자 하였다. 서울과 수도권, 지방소재대학 졸업자 집단에서는 각각 로그월평균임금에 서 차이를 보였다. 서울소재대학 졸업자 집단이 가장 높은 로그월평균임금 수준을 보였으며 그 다음이 수도권과 지방소재대학 졸업자 집단으로 지방소재대학 졸업자 집단의 로그월평균임금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술통계에서는 종속변수로 설정된 로그월평균임금과 총 16개의 독립변수들의 평균값과 표준편차가 분석되었다. 이후에 이루어진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에서는 각 집단의 로그월평균임금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에서는 각 집단별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들의 회귀계수와 영향력이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임금격차를 생산성에 의한 임금격차와 차별에 의한 임금격차로 분해하여 그 총량과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이를 분석해내기 위해 임금격차분해공식 방법 중 하나인 옥사카(Oaxaca,1973)의 임금격차분해공식을 사용하였다. 이 공식을 사용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된 기술통계에서의 각 변수별 평균값, 그리고 회귀분석에서 도출된 각 변수의 회귀계수를 사용하여 생산성에 의한 임금격차와 차별에 기인한 임금격차를 분석해낼 수 있었다. 수도권-서울소재대학 졸업자 집단, 지방-수도권소재대학 졸업자 집단, 지방-서울소재대학 졸업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임금격차분해는 각 집단에서 생산성 차이에 의한 임금격차보다는 차별에 기인한 임금격차의 크기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나 각 집단에서 보이는 임금격차의 대부분이 차별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지방-서울소재대학 졸업자 집단의 임금격차는 생산성에 의한 차이가 다른 두 집단에 비교하여 가장 높고 차별에 기인한 임금격차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생산성에 의한 임금격차의 비율이 작았던 다른 두 집단과 비교하여 조금은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임금격차를 다룬 선행연구들이 주로 정규직-비정규직, 성별 임금격차, 학력에 따른 임금격차 등에 집중한 것과 달리 대학의 서열화와 대학 소재지를 연결시켜 임금격차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대학 서열화와 노동시장 문제를 연관시킨 연구들이 주로 구직 경로나 입직 과정에서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현상을 분석하였으나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임금과 출신대학 소재지에 따른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도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학 소재지에 따른 대학의 서열화 구분이 적절한가에 대한 문제에서 한계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대학 서열화 문제는 대학 소재지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것을 사실이지만, 소재지에 따라 서열화가 일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옥사카의 임금분해공식을 생성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설정된 변수들이 종속변수를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 역시 후속 연구가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논의 = 6 A. 임금격차에 관한 선행연구 = 6 B. 노동시장 관련이론 = 9 Ⅲ. 조사대상 및 방법 = 18 A. 연구 설계 및 방법 = 18 1. 연구의 설계 = 18 2. 자료분석 방법 = 20 B. 분석모형 = 21 1. 변수의 측정과 정의 = 21 C. 임금차별 영향 분석 모형 = 25 Ⅳ. 조사대상 분석 = 31 A. 기술통계 = 31 B.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 36 C. 집단 별 평균 값 비교 = 40 1. 독립표본 T 검정(T-test) = 40 2.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 41 D. 회귀분석 = 41 1. 각 집단별 회귀분석 결과 = 45 Ⅴ.집단 간 임금격차 분석 = 52 A. 수도권소재대학 졸업자와 서울소재대학 졸업자의 임금격차 분해 = 52 B. 지방소재대학 졸업자와 수도권소재대학 졸업자의 임금격차 분해 = 56 C. 지방소재대학 졸업자와 서울소재대학 졸업자의 임금격차 분해 = 60 Ⅶ. 결론 = 67 A. 요약 및 결론 = 67 B. 연구의 함의 및 한계 = 69 참고문헌 = 71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95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출신대학 소재지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a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university.-
dc.format.pageⅹ,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