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한국 개화기 사진과 회화의 영향관계

Title
한국 개화기 사진과 회화의 영향관계
Other Titles
The Correlation between Photos and Painting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Authors
한소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both external and internal correlation between photos and paintings by analyzing them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took a large amount of time for photos to be popularized in Korea; early photos failed to be positively received by Koreans, and photo studios were even attacked, though occasionally. Portrait photos only began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when Danbalryeong, the order for the cutting of topknots, was implemented in 1895.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photos made their own development by adopting numerous elements of portraits. At the same time, portrait painters also depended on photos to present portraits with the new style that wa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ortraits. The influences of photos on paintings after the early 20th century are relatively clear. The way of expressing facial shades, the posture of figures, and the realistic background frequently found in portrait photos were all passed down to modern portraits. Art works submitted to the Joseon Art Exhibition also shows the subject, composition, and expression similar to those of early photos. Likewise, a large number of landscape paintings were drawn as the way the camera captures the world, using realistic subject matters and adopting the linear perspective. Such features were rarely found in previous landscapes. Early photos were also heavily influenced by traditional paintings. For example, most subjects in portrait photos put their hands together in order not to make them noticeable and hold a precious fan awarded by the king to demonstrate their noble status. In addition, portrait photos do not have any specific background to emphasize human figures. As for landscape photos, small-size figures located in grand sceneries evidence the influence of landscape paintings. The composition with near, middle and distant views also shows the fact that photographers were highly inspired by the Shanghai School. Furthermore, this research examines how portrait photos were affected by new visual images introduce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the late 19th century. Considering that Korean photographers in early times were mostly educated in Japan,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Korean and Japanese photos. The results identify that the image of Emperor Gojong is considerably similar to that of the Japanese Emperor, and that other portrait photos were increasingly influenced by Japanese photos in terms of the subject posture and background. Such features of portrait photos are deemed to be originated from western paintings previously adopted by Japan. In other words, postures or backgrounds frequently found in Korean portrait photo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already presented in western portraits from the 16th to 19th centuries. Since many western portraits were introduced to China and Japan earlier than to Joseon, these postures seemed to be established for portrait photos already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is study explores the similarity and connectivity between paintings and photos as a visual imag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Such efforts will lay the foundation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aintings and photos, not as a different art genre but as an interactive way of visual expression, will contribute to draw a clearer picture of Korea's modern visual images.;본 논문에서는 사진과 회화를 여러 각도에서 분석함으로서 외면적으로 드러나는 관계 뿐 아니라 이미지 안에 내재된 의미에 있어서도 서로 주고받은 영향이 있음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초기 사진이 환영받지 못했고 사진관을 습격하는 일도 종종 일어나 대중화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1895년 단발령이 실시되면서 초상사진은 대중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는 사진이 초상화의 많은 부분을 차용하여 독자적인 발전을 꾀하는 시기였던 동시에 초상화가들 또한 사진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통 초상 제작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사진이 이후 회화에 끼친 영향은 그 관계가 비교적 명확하다. 초상사진의 경우 안면의 음영 표현이나 인물의 자세, 사실적인 배경 등을 근대 초상화에 물려주었고,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된 작품들을 살펴본 결과 상당수가 이전의 사진들과 소재뿐 아니라 구도 및 표현법 등이 닮아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풍경화에서도 마찬가지로 기존의 산수화에서는 볼 수 없었던 현실적인 소재나 일점투시도법을 이용하여 원근감을 강조하는 등 사진 속 시점을 그대로 화폭에 옮겨놓은 작품들이 많았다. 반대로 초기 사진은 어떠한 영향을 받아 탄생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면, 초상사진의 경우에는 전통 초상화와 닮은 점이 많았는데, 손을 모아 안보이게 하는 공수자세나 왕에게 하사 받은 부채를 들고 있음으로 신분의 고귀함을 드러냈던 점, 그리고 특별히 배경을 드러내지 않음으로 인물을 돋보이게 하는 부분 등이 있다. 또한 풍경사진의 경우에는 해상화파의 영향을 받은 산수화의 근경, 중경, 원경의 구성, 그리고 자연 속에 배치한 조그만 인물들을 통해 산수화의 영향을 찾아보았다. 더불어 외국과의 교류가 막 시작되던 개화기에 접할 수 있었던 새로운 시각이미지들의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초기 사진사들이 주로 일본에서 사진술을 배워온 점에서 착안하여 일본 사진과의 관계는 어떠했는지 살펴보면서 고종황제의 이미지가 일본 천황과 상당히 비슷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른 초상사진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자세나 배경에 있어 일본 사진의 영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그 원류는 일본이 일찍이 받아들였던 서양화에서 찾을 수 있었는데, 16~19세기까지의 서양 초상화들에서는 우리나라 개화기 초상사진들에서 익숙한 자세나 배경이 이미 보이고 있었던 것이다. 서양 초상화가 활발히 유입된 중국과 일본에서 이러한 자세를 초상사진에 적용시켜 19세기 말에는 이미 사진용 자세로 정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기 표현매체였던 회화와 사진을 살펴봄으로써 개화기 시각 이미지로서의 공통성과 동류성을 찾아보려 했다. 이를 통해 개화기 미술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회화와 사진을 서로 다른 예술장르로서가 아니라 시각 이미지의 다양한 표현매체로서 비교연구를 계속 한다면 전체적인 근대 시각이미지에 대한 더욱 분명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