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이유진-
dc.creator이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0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8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028-
dc.description.abstractKayaguem Sanjo of Jung Nam-hee ? Hwang Byung-ki School is composed of the tune which Hwang himself corrected in some parts and newly produced besides Jeong Nam-hee's tune, that Hwang had learned from Kim Yun-deok(1918-1978), the follower of Jeong Nam-hee, and Jeong Nam-hee's old record and Jeong Nam-hee's tune that was recorded in North Korea. Jeong Nam-hee was born in 1905 and was taught by Han Deok-man and Ahn Ki-ok. He led an active life like putting on a record and in 1950 he went to North Korea and worked there. Kayaguem Sanjo of Jung Nam-hee school is one school of Kim Chang-jo Sanjo affiliates, and now, transmission in South Korea makes a poor show. Thereupon, on this article, I studied the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this music through the analysis of Jungmori rhythm of Kayaguem Sanjo of Jung Nam-hee ? Hwang Byung-ki School. Based on three datas of the Junomori of Kayaguem Sanjo of Jung Nam-hee school which initiates in the records and music books in North and South Korea, I analyzed and compared the Jungmori of Kayaguem Sanjo of Jung Nam-hee ? Hwang Byung-ki School and the Jungmori of Kayaguem Sanjo of Jung Nam-hee school.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reached: First, the Jungmori of Kayaguem Sanjo of Jung Nam-hee ? Hwang Byung-ki School has 87 jangdans and 12 columns, and consists of total 3 modes such as gyemyeonjo mode - woojo mode - pyeongjo mode. Of its total jangdans, gyemyeonjo mode consisted of 69 jangdans(approx. 79%, the highest), and pyeongjo mode consisted of 17 jangdans(approx. 20%), and woojo mode consisted of 1 jangdan(approx. 1%). Second, in view of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jungmori of Hwang Byung-ki School and the jungmori of Jung Nam-hee School, I found 56 jangdans(approx. 64.4%) of its total 87 jangdans was the same ․ similar ․ modified rhythm which was from the jungmori of Jung Nam-hee School. Of the three jungmoris of Jung Nam-hee School, the same ․ similar ․ modified rhythm ranked the highest(26 jangdans) in record jungmori, published in 1939, and Jung Nam-hee's record jungmori, published in 1934, ranked second(16 jangdans), and Jung Nam-hee's note jungmori, published in 1992, was followed(14 jangdans). It indicates that there is a lot of similarity between the jungmori of Hwang Byung-ki School and Jung Nam-hee's record jungmori, published in 1939. The similar ․ modified rhythm was ch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insertion and omission of the new sound, division and magnification of the rhythm. Third, 31 jangdans of 87 jangdans(the jungmori of Hwang Byung-ki School) is regarded as original and different rhythm that doesn't exist in Kayaguem Sanjo of Jung Nam-hee. The different rhythm is the 12th jangdan in the 2nd column ․ the 32-33rd jangdan in the 5th column ․ the 38-40th jangdan in the 6th column ․ the 41-49 jangdan in the 7th column ․ the 50-59 jangdan in the 8th column ․ the 82-87 jangdan in the 12th column.;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산조는 황병기가 정남희의 제자인 김윤덕(1918-1978)에게 배운 정남희의 가락과 정남희 가야금산조의 고음반과 북한에서 녹음된 정남희의 가락 외에 황병기 자신이 부분적으로 손질하고 새로 짜 넣은 가락으로 만든 것이다. 정남희는 1905년에 태어나 한덕만과 안기옥에게 가야금을 사사하여 음반을 취입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다가 1950년 월북하여 활동하였다. 정남희 가야금산조는 김창조 산조계열의 한 유파로 현재 남한에서의 전승이 미미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산조 중모리의 선율 분석을 통해 이 산조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남한과 북한에서 음반과 악보로 전하는 정남희 가야금산조 중모리 자료 세 가지를 바탕으로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산조 중모리와 정남희 가야금산조 중모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산조 중모리 87장단은 12장으로 계면조 선법?우조선법?평조선법으로 되어있다. 전체 장단 중 계면조 선법이 69장단 약 79%로 가장 많았으며, 평조선법이 17장단 약 20%? 우조선법이 1장단 약 1%로 되어있다. 둘째, 황병기류 산조 중모리와 정남희 산조 중모리를 비교한 결과 황병기류 산조 중모리는 총 87장단 중 약 64.4%인 56장단이 정남희 산조 중모리의 선율에서 온 동일? 유사? 변형선율 임을 알 수 있다. 56장단 중 동일선율은 36장단으로 선율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는 9장단이고, 1박 이하의 변화를 보인 동일선율은 27장단이다. 동일? 유사? 변형선율은 정남희 산조 자료 세 가지 중 정남희 1939년 유성기 음반 중모리가 26장단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남희 1934년 유성기 음반 중모리가 16장단?정남희 1992년 채보 중모리가 14장단으로 황병기류 산조 중모리는 정남희 1939년 유성기 음반 중모리의 자료와 가장 많은 유사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변형선율은 새로운 음의 삽입과 생략, 리듬의 분할과 확대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선율이 변화하였다. 셋째, 황병기류 산조 중모리 87장단 중 31장단은 정남희 산조에는 없는 상이선율로 황병기류 산조의 독창적인 선율로 보인다. 상이선율은 제2장의 제12장단? 제5장의 제32-33장단? 제6장의 제38-40장단? 제7장의 제41-49장단? 제8장의 제50-59장단? 제12장의 제82-87장단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의의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2 C. 선행연구 = 4 Ⅱ. 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산조 중모리 분석 = 6 A. 각 선법의 구성음 = 6 B. 각 장의 조와 선법 = 8 1. 계면조 = 9 2. 경조(1) = 11 3. 경조(2) = 12 4. 평조-계면조 = 14 5. 계면조 = 16 6. 우조(추천목)-계면조 = 18 7. 진계면조(상두소리) = 20 8. 평계면조-계면조 = 22 9. 계면조(1) = 24 10. 계면조(2) = 26 11. 평조 = 28 12. 진계면조(퉁애가락) = 30 Ⅲ. 정남희와 황병기류 가야금산조 중모리 비교 분석 = 34 A. 동일선율 = 34 B. 유사선율·변형선율 = 35 1. 제13장단 변형선율 비교 = 35 2. 제15장단 변형선율 비교 = 36 3. 제16장단 변형선율 비교 = 37 4. 제17장단 변형선율 비교 = 38 5. 제18장단 유사선율 비교 = 39 6. 제19장단 변형선율 비교 = 40 7. 제20장단 변형선율 비교 = 41 8. 제22장단 유사선율 비교 = 42 9. 제28장단 변형선율 비교 = 42 10. 제31장단 변형선율 비교 = 43 11. 제36장단 유사선율 비교 = 44 12. 제37장단 변형선율 비교 = 44 13. 제64장단 유사선율 비교 = 45 14. 제67장단 유사선율 비교 = 46 15. 제68장단 유사선율 비교 = 46 16. 제72장단 유사선율 비교 = 47 17. 제74장단 유사선율 비교 = 48 18. 제75장단 변형선율 비교 = 48 19. 제80장단 유사선율 비교 = 49 20. 제81장단 유사선율 비교 = 50 C. 상이선율 = 51 Ⅵ. 결론 = 54 참고문헌 = 56 부록악보 = 58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669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남희제 황병기류 가야금산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모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Hwang Byung ki Kayaguem Sanjo: Focussed on the Jungmori-
dc.creator.othernameLEE, Yu Jin-
dc.format.pageⅹ,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