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2 Download: 0

퓨전국악의 가야금 선율 고찰

Title
퓨전국악의 가야금 선율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Gayageum Melodies in Fusion Korean Music: Focusing on the Arrangements of Bang-ean Yang's Works
Authors
여송이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오늘날 문화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퓨전현상은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음악분야에서도 이러한 영향을 받아 최근 몇 년 사이에 퓨전국악이라 지칭되는 음악들이 연주와 음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퓨전국악은 새롭게 창작된 것은 물론 클래식이나 영화음악, 대중음악을 편곡하여 연주하는 사례가 많고, 이러한 곡들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 국악의 대중화에 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대중적 인지도와 음악적 완성도 면에서 가장 적합한 사례라고 생각되는 양방언의 「Prince of Jeju」,「Frontier! (Voices From The East)」,「Flowers of K」의 국악 편곡을 소재로 가야금 중심의 선율 분석을 통해 곡에 나타나는 편곡별 가야금의 비중과 역할, 형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Prince of Jeju」의 편곡자는 이준호, 원일, 한광수이며, 편곡별 가야금 비중은 이준호 90.1%, 원일 67.6%, 한광수 90.1%였다. 가야금의 역할에서 이준호는 주선율 41.6%, 반주 48.5%, 원일은 주선율 23.5%, 반주 44.1%, 한광수는 주선율 29.7%, 반주 60.4%로 나타났다. 이준호와 한광수에 비해 원일의 편곡에서 가야금의 쓰임이 적었고, 이준호와 한광수는 같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나 이준호 편곡의 가야금이 주선율의 비중이 더 많았다. 「Frontier」의 편곡자는 원일, 한광수, 한진이며, 편곡별 가야금 비중은 원일 60.8%, 한광수 57.9%, 한진 41.1%였다. 가야금의 역할에서 원일은 주선율 34.5%, 반주 26.3%, 한광수는 주선율 42.7%, 반주 15.2%, 한진은 28.6%, 반주 12.5%로 나타났다. 세 편곡 중 원일의 편곡에서 가야금 사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한광수, 한진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주선율의 비중은 한광수가 가장 많았다. 「Flowers of K」의 편곡자는 한광수, 이정면이며, 편곡별 가야금 비중은 한광수 78.8%, 이정면 73.5%였다. 가야금의 역할에서 한광수는 주선율 36.4%, 반주 42.4%, 이정면은 주선율 40.2%, 반주 33.3%로 나타났다. 한광수의 편곡에서 좀 더 많은 가야금의 사용이 있었으나 주선율의 비중에서는 이정면 편곡의 가야금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위의 편곡들에서 나타나는 가야금의 형태는 주선율의 역할일 때 단음과 화음형, 옥타브형, 반주의 역할일 때 선율형, 분산형, 리듬형, 화음형, 옥타브형태로 나타났다. 리듬의 형태는 일정한 리듬 연주에 용이한 발현악기의 특성을 활용한 것으로 보이고, 분산형, 화음형, 옥타브형태는 7음 음계의 조율체계를 가진 25현 가야금의 장점을 활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glissando, arpeggio, tremolo의 사용 역시 3옥타브의 넓은 음역을 가진 25현 가야금의 특성을 반영한 점이었다. 또한 선율을 두 성부로 나눈 편곡 방법은 편성된 다른 악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량이 작은 가야금의 단점을 보완하였고, 주선율과 반주를 동시에 연주할 수 있는 장점으로도 활용되었다. 가야금의 전통적인 수법과 시김새의 활용은 본래의 줄보다 한 줄 밑에서 눌러내는 수법()이 slur의 역할을 하거나, 서양 현악기 파트의 glissando와 같은 역할로 활용되었고, 그 밖에 전성, 농현, 추성의 시김새 사용은 서양음악을 국악으로 편곡하는데 있어 한국음악적인 특색을 살리고 있었다.;Fusion phenomena, an emerging topic of culture today occur in all the fields of society, and influenced by them, in the field of Korean music, music called fusion Korean music are made through performances and recordings in recent years. There are a lot of examples of fusion Korean music which are performances of not only newly created ones but also the arrangements of classical music, original sound tracks of films or pop music, and these pieces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music in which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them. So this paper examined the importance, roles and configurations of gayageum(twelve stringed Korean harp) in each Koran music arrangement of Bang-ean Yang's 「Prince of Jeju」,「Frontier! (Voices From The East)」 and「Flowers of K」which, I think, are the most appropriate example in public recognition and musical completeness through the analysis of melodies focusing on gayageum. The arrangers of「Prince of Jeju」were Jun-ho Lee, Il Won and Gwang-su Han and the weight of gayageum was 90.1% in Jun-ho Lee, 67.6% in Il Won and 90.1% in Gwang-su Han. For the role of gayageum, in Jun-ho Lee, main melodies were 41.6%, accompaniments, 48.5%, in Il Won, main melodies, 23.5%, accompaniments, 44.1%, and in Gwang-su Han, main melodies, 29.7%, accompaniments, 60.4%. In the arrangement of Il Won compared to that of Jun-ho Lee and Gwang-su Han, the use of gayageum was less frequent, and Jun-ho Lee and Gwang-su Han were same but gayageum in the arrangement of Jun-ho Lee had more weight in main melodies. The arrangers of「Frontier」were Il Won, Gwang-su Han and Jin Han, and the weights of gayageum in each arrangement were 60.8% in Il Won, 57.9% in Gwang-su Han, and 41.1% in Jin Han. For the role of gayageum, in Il Won, main melodies were 34.5%, accompaniments, 26.3%, in Gwang-su Han, main melodies 42.7%, accompaniments 15.2%, and in Jin Han, 28.6%, accompaniments 12.5%. Among the three arrangements, in that of Il Won, the use of gayageum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that of Gwang-su Han and Jin Han, but the weight of main melodies was most frequent in Gwang-su Han. The arrangers of「Flowers of K」were Gwang-su Han and Jeong-myeon Lee, the weights of gayageum in each arrangement were 78.8% in Gwang-su Han and 73.5% in Jeong-myeon Lee. For the role of gayageum, in Gwang-su Han, main melodies were 36.4%, accompaniments 42.4%, in Jeong-myeon Lee, main melodies 40.2%, accompaniments 33.3%. There were more uses of gayageum in the arrangement of Gwang-su Han but for the weight of main melodies, gayageum was more frequently used in the arrangement of Jeong-myeon Lee. The configurations of gayageum in the above arrangements were monotone, chord and octave types for the role as main melodies while melody, dispersion, rhythm, chord and octave types. for that of accompaniments. The configuration of rhythm seems the utiliz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stringed instrument which is suitable for playing regular rhythm while dispersion, chord and octave types are the utilization of the merit of 25 stringed gayageum having a tuning system with 7-tone scale. The uses of glissando, arpeggio and tremolo, also were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25 stringed gayageum having the wide range of 3 octaves. In addition, the arrangement method dividing the melodies into two parts of sound complemented the weak point of gayageum with relatively smaller volume than other instruments organized, and was utilized as a merit allowing to play main melodies and accompaniments simultaneously. With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and ornament marks of gayageum, the technique pressing one string lower than the original one() served as slur or was used as glissando in the part of Western stringed instruments and the use of ornament marks such as jeonseong, nonghyeon and chuseong made the best use of Korean musical properties in arranging Western music into Korean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