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세완-
dc.contributor.author최서연-
dc.creator최서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5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8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30-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nalyzes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by using 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s(STAR) model.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by tracing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of Korean won against the currencies of the world’s top three trading nations: US dollars, Chinese yuan, and Japanese yen. In light of the structure of Korea’s market economy, both the trade balance and exchange rates are important components of macro time series. While as summing that the analysis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will allow understanding of the variability in both trade and exchange rates, this paper has determined the weights of each of the worlds top three trading nations to apply to finding out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for the analysis. In the adjustment process, this paper will attempt to find out the nonlinear aspect of the process and analyze the particulars of the nonlinear model and looking to the dynamic adjustment process. Secondly, this paper examines the adjustment process of trade balance to analyze the dynamic behaviors.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the Granger causation analysis is conducted. The analysis focuses on the data pertinent for December 2007 when Korea introduced th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The analysis of the increase rates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has revealed that the time series of each component are indicative of nonlinearity.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each time series, the paper focuses on finding out the form of transition function.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in the increase rates of both time series, the transition function changes to the ESTAR model in symmetrical format. The analysis of dynamic behaviors is employed in examining the adjustment process of each time series, and it is shown that the increase rate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eveals considerable moves in both contraction regime and expansion regime; the increase rate in trade balance has revealed changes in the outer regime, which would be considered as outer regime, while the middle regime shows a stable trend. The increase rates of both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a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Granger causation based on both nonlinear and linear models. The analysis based on the linear model has resulted in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rates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rade balance.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rate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has had some meaningful impact on that of the trade balance in the analysis of the nonlinear Granger causation.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has been highly influenced by the exchange rates and trade balance due to its heavy dependence on external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nsu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implication of exchange rates and trade balance and to procure out appropriate responses to any change in the exchange rate for sound policies.;본 논문에서는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과 무역수지의 증가율을 평활전이자기(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 : STA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우리나라와 무역거래 상위3개국인 미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원/달러 환율, 원/위안 환율 그리고 원/엔 환율로 실질실효환율을 추정하여 실질실효환율의 특성을 파악한다. 우리나라의 시장경제 구조를 볼 때 무역거래와 환율이 모두 중요한 거시 시계열이다. 이에 실질실효환율을 분석함으로써 무역 거래의 변동성과 환율의 변동성을 동시에 알아 볼 수 있다는 판단 하에 무역거래 상위3개국과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실질실효환율을 추정하여 분석에 사용한다. 그리고 그 조정과정이 비선형성을 밝히고 비선형 모형이 갖는 특성을 분석하고 그 동태적 조정과정을 알아본다. 두 번째로 무역수지의 조정과정을 살펴보고 그 성질을 바탕으로 동태적 행태 분석을 한다. 그리고 실질실효환율과 무역수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한다. 이에 안정적 시계열인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과 무역수지 증가율을 각각 사용한다. 분석 시점은 우리나라가 자율변동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기 시작 한 1997년 12월을 시점으로 한다.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과 무역수지 증가율의 분석 결과, 각각의 시계열은 비선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시계열의 비선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이함수의 형태를 파악한다. 그 결과 두 시계열의 증가율은 전이함수가 ESTAR모형으로 대칭적인 국면 전환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동태적 행태를 분석하여 각 시계열의 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은 수축국면과 확장국면 모두 폭발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무역수지 증가율은 확장국면이라 할 수 있는 외부국면에 발산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반면, 중간국면에는 안정적인 성향을 보인다. 각각의 시계열 증가율을 선형모형에 기초한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과 비선형 모형에 기초한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각각의 변수사이에 관계를 살펴본다. 선형 모형에 기초한 분석은 실질실효환율의 증가율과 무역수지 증가율 사이에 어떤 인과관계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선형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에서는 실질실효환율 증가율이 무역수지 증가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대외의존도가 높고 우리나라는 환율과 무역수지가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융업이 빈약하고 국제 금융에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외환 시장의 변동에 대처할 능력이 미약하다. 따라서 환율과 무역수지가 갖는 특성을 정확히 파악해 보고 환율의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경제, 사회적으로 지나친 위기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선행연구 = 4 Ⅲ. 모형 = 5 A. STAR(평활전이자기)모형 = 6 B. 모형의 설정절차 = 10 Ⅳ. 추정결과 = 14 A. 시계열 자료 = 14 B. 실질실효환율의 추정 = 15 C. 실질실효환율 및 무역수지의 단위근 검정 = 15 D. STAR(평활전이자기회귀) 모형의 검정 = 20 E. STAR 모형 추정 결과 = 22 Ⅴ. 그랜저 인과관계검정 = 27 Ⅵ. 동태적 행태(Dynamic Behaviors) = 30 Ⅶ. 결론 = 33 참고문헌 = 37 Appendix 1 원/달러 실질환율의 증가율(ESTAR) = 40 Appendix 2 원/위안 실질환율의 증가율(ESTAR) = 42 Appendix 3 원/엔 실질환율의 증가율(ESTAR) = 44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38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실질실효환율과 무역수지의 비선형성에 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and the Trade Balance by using Smooth Transition Autoregressives(STAR) model-
dc.creator.othernameChoi, Seo Yun-
dc.format.pageⅵ,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제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