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영상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시각 자극 반응에 대한 비교 연구

Title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영상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시각 자극 반응에 대한 비교 연구
Authors
추명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물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승애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영상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 영역을 동일한 좌표공간에서 분석,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일광자방출단층활영 영상은 Multispect Ⅱ (MSⅡ)(Siemens, USA)를 이용하여 얻었고, 방사성 의약품으로 Tc-99m-HMPAO를 사용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1.5T Magnetom Vision-Plus ( Siemens, Erlangen, Germany)를 이용하여 BOLD 대조법으로 얻었다. 시각 자극기는 직접 제작하여 두 실험 모두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각 실험 대상자에 대해 얻은 시각 자극에 대한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영상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SPM99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99, Institute of Neurology, University College of London, U.K.) 소프트웨어에서 분석, 지도화하기 위해 IDL (Interactive Data Language, Research Systems Inc., Co., USA)로 자체 제작한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의 영상 format을 Analyze format으로 변환하였다. 변환되어 입력된 각 영상은 SPM99를 통해 표준화된 좌표계인 Talairach 좌표공간으로 공간 정규화(spatial normalization)되었고, 정규화된 공간 위에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 영역은 3차원 공간좌표로 나타내어졌다. 이렇게 분석된 각각의 기능 영상에서의 시각 자극 반응 영역은 IDL을 이용하여 자체 제작된 영상 합성 프로그램을 통해 T1 강조 자기공명영상 위에 동시에 표현되었다. 그 결과 시각 자극 영역인 Occipital lobe에서 두 영상의 결과가 겹쳐짐을 볼 수 있었다. 기능신경영상연구에 있어서 자극 반응 영역의 정확한 위치정보는 아주 중요하다 이를 위해 얻은 기능 영상에 Talairach 좌표계와 같은 표준화된 좌표계를 적용하여 자극 반응 영역을 정확한 좌표로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와 같이 정상인의 기능신경영상연구의 결과를 통해 분석 방법의 정확도와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비정상인의 연구에 지침으로 삼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물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