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분석연구

Title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분석연구
Authors
박윤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대단위 영구임대아파트 조성으로 인해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청소년들은 학교에 부적응하고, 비행을 저지르는 등 빈곤지역의 청소년문제가 날로 심각해졌고, 이들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은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학교사회사업은 우리나라에서 실시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빈곤청소년에 관한 몇몇 프로그램들이 생겨났으며, 대상자에 맞는 프로그램내용구성과 실천모델에 대한 정확한 인식 없이 혼동되어 사용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복지관들의 많은 시행착오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그램들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실시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빈곤청소년들의 부적응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며, 어떤 실천모델을 가지고 실시되어야 가장 적절한지 프로그램을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프로그램내용분석과 실천모델분석의 2개 차원에서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해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은 어떤 내용과 실천모델이 적절한지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구임대 아파트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학교사회사업이 가장 잘 실시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3곳의 빈곤청소년프로그램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내용에는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요인으로 책임감과 대인관계기술훈련, 가정요인으로 가족의 지지와 민주적 양육태도, 학교요인으로서 민주적 학교분위기, 교사의지지, 교과과정이외의 활동, 지역사회요인으로서 바람직한 역할모델의 영향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인요인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개별욕구에 맞는 문제해결보다 집단 프로그램중심으로 개입되는 것이 문제로 분석되었고, 특히 그 기간이 단기프로그램인 것이 문제로 분석되었다. 가정요인으로서 가족의 지지를 위한 가족상담과 민주적 양육태도를 위한 부모교육은 청소년에 대한 지지의 효과가 현저하게 높음에도 불구하고 부모와의 연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요인으로서 민주적 학교분위기는 해당되지 않은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었고, 그 이유는 학생들을 예방차원보다는 징계차원에서 프로그램에 참여시키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교사의 지지체계확보를 위한 교사상담과 교사교육은 실시한 복지관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인력부족, 사회사업가의 업무과다로 인해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과정이외의 활동으로는 자원봉사활동이 가장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으며, 자원봉사는 지역사회와의 긍정적 관계형성에도 큰 계기를 마련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요인으로서 바람직한 역할모델의 영향은 정서적으로 건강한 청소년이나 부적응청소년 모두에게 효과가 높았던 프로그램이었지만, 단기프로그램에서는 실시될 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내용분석결과 이 4요인들이 모두 포함되어진 프로그램은 6개, 3요인이상 포함되어진 프로그램은 3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들은 내용 면에서 잘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와의 연계가 미흡하였고, 단기-집단 프로그램중심의 개입들은 빈곤청소년의 문제해결에 맞지 않음이 나타났는데, 이는 실천모델의 혼동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장 효과적이었던 개입방법으로는 책임감, 가족의 지지를 위한 가족상담, 교사의 지지를 위한 교사상담, 바람직한 역할모델의 영향 등의 요인은 Case work을 통한 개입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기술훈련, 부모교육, 교사교육은 Group Work을 통한 개입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빈곤청소년에게는 구조화된 단기집단 프로그램보다는 사례관리체계의 장기프로그램이 더욱 적절한 개입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프로그램은 청소년보다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이 분석되었다. 둘째, 실천모델분석결과 모델에 대한 뚜렷한 인식없이 여러 모델을 혼동한 결과 프로그램내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실천모델의 혼동은 프로그램의 개입방법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천모델 중에서 학교연계통합모델이 가장 적절함이 분석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학교변화모델은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서 학교변화모델은 학교자체를 변화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사회사업가에게 위험부담이 큰 모델이기 때문에 학교사회사업실시단계인 우리나라에서는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모델로 분석된 프로그램틀은 9개 프로그램 중 4개 프로그램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는 모델로 분석되었다. 지지적 상담보다 집단 지도중심의 프로그램의 문제점, 장기가 아닌 단기프로그램의 문제점, 예방적 차원이 아니라 징계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무제점이 나타났으나, 이는 실천모델을 혼동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문제로 분석되었다. 부적응학생에게는 점차 사례관리체계로 변화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적으로 건강한 빈곤청소년에게는 그 개입효과가 뚜렷하였는데, 그 조건은 장기 개입이었다. 지역사회모델은 2개 프로그램이었는데, 개인과 가정이 간과된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점차 사례관리체계를 구성하고, 지역사회자구언을 연계, 조직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분석된 2개의 프로그램에서는 학교연계통합모델의 성격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임상모델과 지역사회모델의 각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학교연계통합모델로 변화되는 과정들은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가장 적절한 실천모델이 바로 학교연계통합모델임을 나타내주는 증거로 해석되었다. 한편, 학교연계통합모델은 3개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고, 부적응 빈곤청소년에게 가장 효과가 뛰어난 모델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한 실천모델로서 학교연계통합모델이 가장 적절한 실천모델임이 분석되었다. 셋째, 실천모델분석결과 학교연계통합모델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 나타내주었다. 즉 구조화된 집단 프로그램들이 반구조화로 진행되고, 반구조화 프로그램들은 다시 사례관리체계로 변화되었고, 지역사회학교모델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자원의 공조체계를 형성하는 과정들은 바로 학교연계통합모델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 나타내주었다. 즉 학교연계통합모델은 사례관리체계로 구성되어야 하며, 개별적인 욕구에 맞는 문제해결을 위해 개인 - 가정 - 학교 - 지역사회 각 체계에 개입해야하고, 이를 위해 지역사회자원을 조직하고 연계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빈곤청소년의 학교부적응 감소를 위해서 학교사회사업프로그램내용은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 지역사회요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이 4요인들은 실천모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 4요인을 모두 포함하여 개인 - 가정 - 학교 - 지역사회에 통합적으로 개입하는 학교연계통합모델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비교적 정서적으로 건강한 빈곤청소년에게는 장기개입이 된다면, 임상모델도 효과가 높다는 것이 나타났다.;After large complexes of rental apartments have been built, teenagers living in these areas are having a harder time getting along in school and showing more misconduct than before recently. And to solve these problems concerning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started to run a school welfare program. But since such programs are new to Korea, the appropriate programs and practice models for the teenagers could not be found despite the several programs that are run for the teens from poor families. Neither were any studies or analysis done on the programs though many problems have been revealed by the practice of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ograms and search for the appropriate program and model. And this study is such an analysis of school welfare programs to help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o get along in school. One analysis is that of the program contents and the second is an analysis of the program model. The study is purported for coming up with the most appropriate content and model for school welfare programs that will help teens from poor families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staged in the rental apartment complex. And 3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with the best organized programs for poor teenagers have been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to help the teenagers do well in school, the programs must contain individual factors such as enhancing responsibility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family factors such as family support and understanding parental guide, school factors such as warm classroom atmosphere, teacher's support, and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local community factors such as role models. Most programs dealt with individual factors on group basis when they should be adapted respectively to each individual, and the programs were relatively too short. Though family support had been enhanced through family counselling and education for parents, connections with parents seemed rather weak. Many programs also did not contain school factors for enhancing a warmer classroom atmosphere.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students were put into the programs for punishment rather than prevention of misconduct. And though counselling and education for teachers have proven to be effective in building a supportive system, these were not practiced due to lack of man power and overload of work. Volunteer activity is judged to be the best extracurriculum activity and it is shown to be greatly effective in constructing a positive relation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ough community role models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for all teenagers, those who are mentally healthy and those who don't get along in school, this was not appliable to short term programs. Among the programs analyzed, 6 of them included all 4 factors mentioned above, and more than 3 of them included more than 3 factors. So it can be said that the contents of these school welfare programs are rather well organized. But the connections with parents were weak and the short term group programs were not appropriate for solving problems of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his was due to inappropriate practice models. On the other hand, case work was most effective for enhancing responsibility, counselling for families and teachers, and role models. And group work was effective for enhancing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Long term case work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especially for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han short term group work. Group work was more effective for parents and teacher rather than the teenagers. Second, the analysis of practice models show that lack of knowledge and inappropriate application of practice models lowered the effect of the programs. Such use had especially affected the intervention of these programs. On the other hand, the school change model is not applied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model tends to change the school itself, it is risky when the program is operated by the school itself as it is in Korea. The clinical model is applied the most in Korea as 4 out of 9 programs analyzed had applied the same model. Problems due to the tendency to be based more on group instructions rather than supportive counselling, to be short term rather than long term, and practiced for punishment rather than prevention of misconduct derive from the in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practice model. The case management system was gradually applied for students who could not get along well in school. And this was distinctively effective for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that were mentally healthy after long term intervention. 2 programs had applied the community school model and gradually organized a case management system to solve left out individual and family problems. The resources of the community were connected and organized. The 2 programs that were analyzed also contained many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factors. The transfer to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to modify the disadvantages of the clinical model and the community school model proves that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practice model for helping students from poor families get along in school.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was applied in 3 programs and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model for teenagers from poor families who could not adapt themselves to school. Third, the analysis of the practice models suggested the requirements for applying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The structured group programs were first sub-structured, then transferred to case management systems, and then to collaborative systems using community resources to solve problems of the community school model. This process shows what is required for applying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The model must be organized in a case management system, intervene with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respectively, and organize and connect the community resources for this purpose. As a conclusion, the school welfare programs purported for helping poor students adapt themselves to school must be organized to include all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These 4 factors may vary according to the practice model. However, the school-linked comprehensive services model turned out to be the most appropriate since it contains all 4 factors and practices a more integrated intervention with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local community. In cases of long term intervention, clinical models turned out to be effective for poor teenager who are relatively healthy ment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