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朝鮮美術展覽會」의 室內女性像 硏究

Title
「朝鮮美術展覽會」의 室內女性像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omen Portraits in Indoors of the 「Chosun Art Exhibition」: Focusing on the Oriental Painting Sector
Authors
정연경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朝鮮美術展覽會」에 출품되었던 室內女性像의 유형별 고찰을 통해 한국 근대 화단의 경향을 살펴보고 또 한국의 전통회화가 근대를 맞으면서 서구와 일본 회화의 영향을 받아 어떻게 변모했으며 그 역사적 의의는 어떠한 것인지를 연구한 것이다. 조선미술전람회는 대대적인 홍보와 입·특선 작품의 구매로 작가들의 등용문 역할을 했으며 특히 일본 官展이나 그에 연관된 일본인 작가들의 출품작과 심사위원들의 구성은 일본 관전의 아카데미즘이 조선미전을 통하여 한국 근대 화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日帝 强占 下의 식민지 상황에서 日本畵와의 共存을 위해 탄생한 ‘東洋畵’라는 공식제도와 근대적 개념의 전람회를 통해 韓國의 전통 水墨彩色畵는 중세적 특징에서 벗어나 근대적 변모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는데, 그 가운데 두드러진 것이 彩色人物畵였으며 그 중에서도 女性人物畵는 이 분야의 주류를 이루었다. 총독부가 주최한 조선미술전람회의 ‘東洋畵部’ 인물화 가운데 여성인물화의 비율은 거의 매회 70%이상이었으며, 여성인물화에서 실내여성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회 평균 46%로서 12회 이후의 평균 비율은 58%로 더욱 높아지며 주류를 이루었다. 실내여성상은 종래에 볼 수 없었던 것으로서 근대사회에서 여성의 지위와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부각되었던 주제라는 면에서도 그 의의 또한 크며, 조선미전 후반기에 확립된 실내여성상의 경향은 해방 후 「大韓民國美術展覽會」까지 지속되기도 했다. 19세기 서구에서는 일상적 삶과 가정 생활이 인상주의 회화의 중심 주제가 되면서 편물, 독서, 주악 등 실내여성상의 변화과정은 일본 회화에 모본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일본도 프랑스의 살롱전을 본뜬「文部省美術展覽會」등을 개최하면서 근대화를 추구하게 되었고, 일본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서구 회화에서 즐겨 다루던 주제들을 일본적 화풍으로 소화시켜 조화를 이루었다. 제전에서는 서구회화의 도상이 좀 더 적극적으로 차용되면서 서양악기가 등장하고 바둑, 골패놀이에서 당구, 골프 등으로 여가활동도 다양해진다. 昭和 후반기는 박물관이나 음악회 등 예술적·지적 활동에 참여하는 공적인 실내공간에서의 여성과 각 분야에서 활동하는 직업 여성이 많아지는 시기다. 또한 서구 부르주아의 사교생활이 차츰 소비적이고 향락적인 문화로 옮겨졌듯이 점차 주위의 근대적인 풍물과 카페, 엘리베이터 걸 등 신종 직업 여성들을 묘사하는 작품이 제작된다. 이 같은 변화는 조선미전에도 반영되어 주제의 변화와 함께 사적인 공간에서 공적인 공간으로의 변화를 가져온다. 조선미술전람회는 출품작의 비율이나 작품의 특징으로 볼 때 전반기(1922년-1932년)와 후반기(1933-1944년)로 나눌 수 있는데 전통적인 여성상이 등장하는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로 갈수록 근대적이고 새로운 주제가 나오며, 또 같은 주제일지라도 지향하는 바가 근대적인 여성상이 등장한다. 전반기는 인물화의 비율이 낮았기 때문에 실내여성상의 작품 수 또한 적었고, 針線과 이국취미, 여가활동, 자연관조, 독서의 5가지 유형이 등장하는데 점차 일본화의 영향이 많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후반기는 출품작이 증가하면서 인물의 복식과 지물 등이 달라지고 전반기의 유형 외에 혼례, 육아, 가족 및 세시풍속, 화장 및 외출, 지적 탐구의 3가지 유형이 추가되며 출품작이 많아지면서 침선과 함께 독서에서 차츰 주악으로 옮겨가는 현상을 보인다. 자연관조의 경우에도 시선의 처리나 자세 등이 달라지고, 독서에서도 전반기의 교양적 측면을 넘어서서 정보의 습득이나 학업으로 연결되며, 특히 지적 탐구를 통해 후반기 작품 속의 여성들은 가정이라는 사적인 공간에서 점차 박물관이나 실험실 같은 공적인 공간으로 진출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화장 및 외출은 교양과 지성을 추구하는 계몽적 주제에서 물질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꾸미고 장식하는 여성적 주제로 이양되는 특징을 보여주는데, 혼례, 육아, 가족 및 세시풍속 등 충·효사상에 입각하여 가족간의 유대를 강조하는 전시체제의 작품이 출품되면서도, 여성적 주제가 계속 등장하는 것은 국가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인 안정감, 전쟁의 승리를 확신하도록 유도하는 것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또한 인체비례가 길어지고 무배경의 화면에 장식화·평면화하는 경향을 보이며, 점차 변화 없는 획일적인 윤곽선으로 대상을 묘사하고 그 안에 세밀한 문양을 넣어 채색을 하는 색면구성적인 일본화의 특성도 나타난다. 실내여성상의 유형별 분류를 통해서는 전통적 여성상, 교양과 미를 겸비한 여성상, 자녀 양육과 가족 결속의 구심점이 되는 여성상, 자연 관조를 통해 자신을 자각하는 여성상 그리고 지적 능력을 갖춘 인텔리 여성상이라는 5가지 한국 근대여성상을 살펴볼 수 있다. 전통적 여성상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가부장제 안에서 헌신과 순종의 도를 지켜야 하는 여성을, 교양과 미를 겸비한 여성상은 신여성으로 불리며 예술적 소양과 미를 갖춘 이상형으로서 일반인들의 근대화 의식과는 거리가 있는 여성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녀 양육과 가족 결속의 구심점이 되는 여성상은 전시체제 속에서 동양주의와 국가에 대한 충성을 유도하고, 자연 관조를 통해 자신을 자각하는 여성상은 여성의 의식과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나타내며, 지적 능력을 갖춘 인텔리 여성상은 여성의 지위 상승과 사회 활동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조선 화단 자체에서 근대화를 주도하지 못하고 일본을 통해 근대회화에 접하게 됨으로써 세계미술의 흐름을 보는 안목을 갖지 못한 채, 일본화단의 유행을 추종하거나, 서구에서 시작되어 일본의 수용과정에서 번안된 도상이나 양식을 모방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기도 했다. 일본 관전의 아카데미즘과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했던 일본인 화가들의 영향을 받으면서 개성과 창의성이 부재된 작품을 제작했던 일부 화가들에 의해 전통회화의 상당 부분이 잠식되고 한국의 고유색과 특성을 잃어버리게 됐던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실내여성상을 통해 한국 근대 여성상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고, 여성인물화가 근대적으로 변모하면서 한국 근대 인물화의 토대가 된 점과 함께 실내여성상에 표현된 여성의 삶과 인식, 가치관 등이 전람회 후반기로 갈수록 작품에 반영되는 점은 한국근대미술의 심화 양상을 말해주는 것이다.;This thesis is about 'the women portraits in indoors shown in the Chosun Art Exhibition, which was the first academic exhibition in Korean modern art history. We could understand an aspect of Korean modern art by investigating the women portraits in indoors, and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European and Japanese modern art. The woman portraits could also provide a code to understand the social status and lives of Korean women in the early modern era. The Chosun Art Exhibition was an official gateway to success for the young Korean artists. However, they had to be influenced by the Japanese academism, because the Exhibition was committed by Japanese judges and many Japanese art works won the prizes in the Exhibition. As an example, they had the Oriental Painting Sector in the Exhibition, defying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ainting. Many painted portraits, competed in the Oriental Painting Sector, were typical modernist paintings, representing woman models posed in modernized Indoors. As modernist painting of European bourgeois, the women portraits in indoors were a right genre to display the changed lives of early modern Korea. In the salon of Japanese academism, women portraits in indoors were also a beloved genre. Many Japanese artists already appropriated European styles, motifs and icons of women portraits, presenting changed status of modern woman. Their Japanized modern paintings were exhibited in the Chosun Art Exhibition, and thus influenced early modern art in Korea, which was just about to step into the modernism. The history of Chosun Art Exhibition could b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earlier period from 1922 to 1932, and the latter from 1933 to 1944. In the early period there were not so many women portraits. The modernized composition and techniques of Japanese artists who exhibited their work in the first and second of the Exhibition were not familiar with Korean audience. Since the sixth, however, we could find that the Korean artists and audience got used to Japanese sense and taste of modernism. The main subjects of women portraits in the earlier period were such as needlework, exotic recreation and leisures, contemplation, and reading. We could hardly find women in public space. The five main subjects were also frequently represented in the latter period paintings with some variations in costumes, attributes, and background settings. Other subjects of wedding ceremony, childcare, seasonal feasts, dressing up and going out, and intellectual studies were added to the latter works of women portraits. Remarkably, many women portraits were presented without any backdrops. As women portraits got popular in the latter period, calm and static subjects of needlework and reading books changed to activities such a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ne might notice the changes in the pose and gaze of woman in contemplation, which had exclusively belonged to male figures. In the paintings of latter period, we could find some women represented in the public spaces of museum or laboratory rather than private and indoors of home. The subject of dressing up and going out, the one we could not find out in the earlier portraits, reveals the changed social status of women, now actively enjoying cultivated materialism rather than passively pursuing cultural enlightenment. Since the 16th Exhibition, woman portraits reflected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wartime with the theme of famine virtue such as childcare, loyalty and filial duty, or devotion for family, serving a kind of propaganda for convincing people to win the war. The decorative and flat composition without any details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latter portraits. Figures are delineated with simple and even lines and decorated with minute patterns and colors, which is the typical aspect of traditional Japanese painting. The women portraits in indoors is one of varied genres of Korean modernism, even though it was introduced to Korean art world under the guidance of Japanized modernism. As the Chosun Art Exhibition continued for twenty three years, the women portraits reflected changing consciousness of Korean modernism. Though the Koreans had to receive the waves of modernism by Japanese trend, the woman portraits exhibited in the Chosun Art Exhibition could be a cornerstone to understand the early modern art of Korea, which just star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tional flows of modern art. It also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 the changing status of Korean women since the daybreak of modernism to the contemporary Korean National Art Exhib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