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영-
dc.creator이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4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8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41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pport & need of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How much was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 confident? 2. What was condition of the support given to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 2-1 What kind of support was given to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 before they began teaching? 2-2 What kind of support was given to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 during the first-teaching-year? 2-3 How was route of the support given to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 during the first-teaching-year? 3. How is cognition and need about the support of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 3-1 What kind of support does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 think is important? 3-2 What kind of support does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 need? 3-3 How does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think support method is effective given to them? 274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Pusan, Taejeon, Taegu, Kwangju and Incheon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developed by Queensland Board of Teacher Education(1988) was adopted and adapted for the survey.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SPSS program was appli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The result obtained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confident when they began teaching, mean was 3.12. Behaving kindergarten teachers expressed the most confident area was working with other teachers, and need assurance/moral support,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teaching, working with the aide/assistant, programming, teaching strategies for beginning with children which taken charge the first time, general teaching strategies, information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kindergarten, information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teaching strategies, information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kindergarten, information about the area in which the kindergarten was located, classroom management and organization, equipment selection, working with other professionals, working with particular parents, strategies for particular children, legal matters, and administration in its descending order. For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confident when they began teaching in regard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 the academic background, and kindergarten type were not signigicant variables. But at each area, there were significant variables. But at each area,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 Second, 50.4% of the whale answerer received the support from kindergarten before they began teaching. Supports which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received before they began teaching were teaching practice, guidance from teacher-in-charge/director, observation of classroom information book/video of kindergarten, orientation program, job training form other center. The areas in which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received relatively more support were assurance/moral support, programming, general teaching strategies, classroom management and organization, teaching strategies for beginning with children which taken charge the first time,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teaching, working with the aide/assistant, working with other teacher and information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kindergarten. The other side, the areas in which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received relatively less support were strategies for particular children, equipment selection, legal matters, administration, working with particular parents, working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information about the area in which the kindergarten was located. Most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received support from other teachers and teacher-in-charge/director during the first- teaching-year and 'no help received' case showed frequently in many areas. Third, the areas in which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think support is important are assurance/moral support, programming, strategies for beginning with children which taken charge the first time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teaching.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think support is needed are programming, assurance/moral support, strategies for beginning with children which taken charge the first time, classroom management and organization, general teaching strategies, legal matters,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teaching, working with other teachers, strategies for particular children, information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kindergarten, equipment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area in which the kindergarten was located, administration working with the aide/assistant, working with particular parents and working with other professionals in its descending order. The best ways support is given to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are advice from other teachers, orientation, observation of other classroom and provision of written information in its descending order.;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주제 1. 유치원 초임교사의 자신감은 어떠한가? 연구주제 2. 유치원 초임교사가 받은 지원의 양상은 어떠한가? 2-1 교직 생활 시작 전에 유치원으로부터 어떤 지원을 받았는가? 2-2 교직 생활 첫해 동안 어떤 지원을 받았는가? 2-3 교직 생활 첫해 동안 받은 지원의 경로는 어떠한가? 연구주제 3. 유치원 초임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3-1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중요한 지원은 무엇인가? 3-2 유치원 초임교사가 요구하는 지원은 무엇인가? 3-3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효과적인 지원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인천 광역시에 위치한 유지원에서 1999년도에 교사생활을 처음으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재직 중인 교사 274명이었다.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Queensland 교사교육위원회(1998)에서 개발한 질문지를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P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x², t-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초임교사가 처음 교직 생활을 시작했을 때의 자신감은 평균 3.12로 나타났다. 각 분야별 자신감을 살펴보면 유치원 초임교사는 ‘동료교사들과 일하기’에서 가장 자신감 있어 했고 그 다음으로는 유아교육에 대한 확신/도덕적 지원, 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보조교사/자원인사와 일하기, 프로그램 계획·실행·평가하기, 처음 맡게 된 유아들과의 시작을 위한 교수전략, 일반적 교수전략, 유치원이 조직에 대한 정보, 유지원이 소재한 지역에 대한 정보, 학급 경영과 조직, 시설 및 설비 선택, 다른 전문가와 일하기, 특정 학부모들과 일하기, 특정 유아들을 위한 교구 전략 법률적 문제, 행정적 문제 순으로 자신감이 있다고 답변하였다. 교직생활을 처음 시작했을 때의 자신감을 기관유형, 학력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전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분야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 생활 시작 전에 유치원으로부터 받은 지원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50.4%의 유치원 초임교사들이 처음 교직 생활을 시작하기 전에 유치원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보조교사로 근무, 실습했던 유치원, 원장·원감·경력교사로부터 안내, 교실참관 및 부분수업, 유치원 자체의 운영책자·문헌·비디오,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타기관에서 실시한 직무연수를 통해 지원 받았다고 하였다. 교직 첫해 동안 받은 지원에 대해서는 유아교육에 대한 확신/도덕적 지원, 프로그램 계획·실행·평가하기, 일반적 교수전략, 학급경영과 조직, 처음 맡게 된 유아들과의 시작을 위한 교수전략, 교수에 대한 “반성적 하고”, 보조교사/자원인사와 일하기, 동료 유아교사들과 일하기, 유지원 조직에 대한 정보에서는 지원을 받은 경우가 더 많은 반면에, 특정 유아들을 위한 교수전략, 시설 및 설비 선택, 법률적 문제, 행정적 문제, 특정 학부모들과 일하기, 다른 전문가들과 일하기, 유치원이 소재한 지역에 대한 정보에서는 지원을 받지 못한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별로는 법률적 문제, 행정적 문제 분야에서 국·공립 유치원의 경우에 지원을 많이 받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 분야에서 대학부속, 사립, 국·공립 유치원 순으로 지원 빈도가 나타났다. 교직 생활 첫해 동안 지원을 받은 경로는 주로 기관 내의 유치원 교사에게 지원을 받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원장에게 많이 지원 받는 경향이 있었고, 아예 도움을 받지 못했다는 경우도 많은 분야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초임교사들은 동료 유아교사들과 일하기에서의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유아교육에 대한 확신/ 도덕적 지원, 프로그램 계획·실행·평가하기, 처음 맡게 된 유아들과의 시작을 위한 교수전략, 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등을 중요한 지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현실적으로 요구하는 지원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계획, 실행. 평가하기에서 가장 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유아교육에 대한 확신/도덕적 지원, 처음 맡게 된 유아들과의 시작을 위한 교수전략, 학급경영과 주직, 일반적 교수전략, 법률적 문제, 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동료 유아교사들과 일하기, 특정 유아들을 위한 교수전략, 유치원 조직에 대한 정보, 시설 및 설비 선택, 유치원이 소재한 지역에 대한 정보, 행정적 문제, 보조교사/자원인사와 일하기, 특정 학부모들과 일하기, 다른 전문가들과 일하기 순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효과적인 지원 방법으로는 동료교사의 조언, 연수 및 오리엔테이션, 수업참관, 경험담듣기, 기록(서적, 정보)제공 등의 순으로 답변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A. 초임교사의 특성 6 1. 초임교사의 발달적 특성 6 2. 초임교사의 교직 적응 특성 10 B. 초임교사의 문제와 지원 방안 13 1. 초임교사의 문제 13 2. 초임교사를 위한 지원 방안 16 III.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연구 도구 23 C. 연구 절차 25 D. 자료분석 26 IV. 연구결과 및 해석 27 A. 유치원 초임교사의 자신감 27 1. 유치원 초임교사의 자신감 27 B. 유치원 초임교사가 받은 지원의 양상 31 1. 교직 생활 시작 전에 유치원으로부터 받은 지원 31 2. 교직 생활 첫해 동안 받은 지원 33 3. 교직 생활 첫해 동안 받은 지원의 경로 36 C.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에 대한 인식 및 요구 38 1.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중요한 지원 38 2. 유치원 초임교사가 요구하는 지원 42 3.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효과적인 지원 방법 44 V. 논의 및 결론 46 A. 논의 46 B.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7 부록 65 [부록-1]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 요구 조사 질문지 67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175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 요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