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정숙-
dc.creator송정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3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60-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에서 이혼의 증가와 함께 편부모가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편모가구는 여성이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지위가 열악하기 때문에 빈곤에 빠질 위험이 많다. 편모가족에 있어서 빈곤은 단순히 경제적인 어려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편모의 신체, 정신적 건강에 위험요소가 되고 자녀에게는 부적응의 문제를 야기 시켜 이는 사회 전체적으로 볼 때 큰 손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모자가정의 증가와 편모의 경제적 어려움은 사회로 하여금 저소득편모가 취업을 통해 생활이 안정되고 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자활정책의 마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편모를 위한 자활정책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실태가 어떠한지 알아보며 저소득편모의 직업을 통한 자활에서 개인특성, 가족특성, 정부자활지원체례 사용특성으로 분류된 변수들 중 어떠한 변수들이 경제활동참여유무와 고용의 안정성 여부를 나타내는 상용직유무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마포구에 거주하면서 정부의 지원을 받는 저소득편모 154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방법은 저소득편모의 개인특성, 가족특성, 장부자활지원체계사용특성, 경제활동실태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사용하였으며 관련변수들간에는 Chi-Square test 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실태를 보면 전체 조사대상 154명 중 124명(80.5%)이 취업한 상태이며 14명(9.1%)은 실업자이고 건강, 자녀양육, 심신장애 등의 사유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은 16명(10.4%)이었다. 저소득편모의 취업직종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직종은 서비스, 판매직이 65명으로 제일 많고 그 다음으로는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았다. 취업자를 고용형태별로 보면 상용직이 49명(39.5%)으로 제일 많고 그 다음으로 임시직 39명(31.5%), 일용직 28(22.5%), 자영업 8명(6.4%)이었다. 사업체 종사자 규모별로는 대부분이(84명, 67.7%) 5인 미만의 사업체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50인 이상의 업체에서 근무하는 경우는 단지 5명(4%)뿐이었다. 둘째,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여부와 개인특성, 가족특성, 정부자활지원체계특성과의 일대일 관계를 Chi-Square test를 통해 보았을 때 건강, 타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특성, 가족특성, 정부자활지원체계사용특성을 모두 포함시켜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여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 편모는 교육년수가 높을수록 타소득이 있는 사람에 비해 타소득이 없는 사람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영향요인으로 선행연구들에서 강조되고 있는 6세미만의 자녀와 대리양육자로서 노인동거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정부의 자활지원체계인 직업훈련과 융자경험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의 또 다른 측면을 h고용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해 취업자를 상용직과 임시, 일용직으로 나누어 상용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특성, 가족특성, 정부자활지원체계사용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교육, 연령, 육세미만의 자녀유무, 노인과의 동거여부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저소득편모는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육세미만의 자녀가 있는 사람에 비해 없는 사람이 노인과 동거하지 않는 삶에 비해 동거하는 경우에 상용직에 종사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 결과가 정부의 저소득편모를 위한 자활정책에 주는 함의는 저소득편모의 건강에 대한 보장이 자활정책의 하나로서 중요하며 자녀양육과 취업을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정부의 자활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작업을 통해 실질적인 자활지원체례가 될 수 있도록 개선이 요구된다. ;With increased divorces in Korea, the number of single-parent families is also increasing. Single-mother families, in particular, ar highly likely to get into poverty due to the poor status of women in Korea's labor market. Poverty in single-mother families not only makes them suffer financial difficulties but also does harm to single mother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makes their children maladjusted, causing a considerable amount of loss to the socie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mother families and their financial distress justifie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come up with self-support measures to help low-income single mothers to lead a stable life on their own by getting a job.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a basic document for self-support measures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 activities by low-income single mothers and analyzing how their economic activitie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ame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f government assistance measures to find out which variant affects whether or not a single mother participates in economic activities and whether she has a regular job or not, an indicator of job secur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54 low-income single mothers who live in Mapo-gu and receive government assistanc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as survey analysis methods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use of government assistance measures and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 activities of low-income single mothers. The survey also introduced chi-square test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figure out correlation between related variants. The surve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154 respondents, 124 respondents (80.5%) had a job, 14 respondents (9.2%) were unemployed and 16 respondents (10.4%) did no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due to health problems, childcare or physical or mental disabilities. In terms of occupation type, service and sales jobs topped the list with 65 respondents, followed by repetitious manual jobs. In terms of employment type, 49 respondents were regular employees (39.5%), 39 were temporary (31.5%). 29 were daily workers (22.5%), and 8 were self-employed (6.4%). In terms of the size of a company, 84 respondents or 67.7% work for a company with less than 5 employees and only 5 respondents or 4% work for a company with more than 50 employees. Second, based on the chi-square test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activities of low-income single mothers and each of the three variant groups, health and other income sources were foun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variants. Third, the analysis of the variants found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is, the more likely single mothers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hose who do not have other income sources also tend to be economically more active than those who do. Meanwhile, factors such as whether a mother has a child under age 4 or lives with an elderly were found out to have less impact than widely believed in the past studies. Job training and loans provision, which are a part of government assistance measures, were found out to have little impact. Fourth, in order to identify variants affecting job security of low-income single mothers, single mother employe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regular, temporary, and daily. The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and use of government assistance as independent variants to find out which factor affects job security of single mothers. As a result, education, age, whether or not a mother has a child under age 6 or lives with an elderly were found out to be important variants. In other words, a low-income single mother who is younger, or more educated, or does not have a child under age 6, or lives with an elderly tends to have a regular job. What this study implies to the government's self-supply policy for low-income single mothers is that single mothers' health issue must addressed in the policy an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help mothers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ir job and childcare. Lastly,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government self-supply programs through an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 제기 1 B. 연구목적 4 II. 이론적 배경 6 A. 저소득편모의 개념 6 B.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 8 C.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 관련 선행연구 11 D. 연구분석틀 15 III.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19 A. 연구가설 19 B. 연구대상 19 C. 자료수집방법 20 D. 측정도구 20 E. 조사분석방법 24 IV. 연구결과 25 A. 조사대상자의 개인, 가족특성 25 B. 조사대상자의 정부자활지원체계사용특성 30 C. 조사대상자의 경제활동참여 특성 33 D.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유무와 변수들과의 관계 39 E.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유무에 영향을 주는 요인 44 F. 저소득편모의 상용여부와 변수들과의 관계 49 G. 저소득편모의 상용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 53 V. 결론 및 제언 57 A. 결론 57 B. 제언 61 참고문헌 66 설문지 73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190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8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