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실업자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실업자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오혜은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Job-Searching behavior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reduce economical and emotional burden on unemployed people and their family and it can also be an indication of possible reemployment. However, it is very hard for the unemployed, who are under the stress of unemployment, to look for a new job demand and to do Job-Searching behavior themselves.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on Job-Searching behavior on the first ground,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unemployed to do their continuous Job-Searching behavior. This research on individual Job-Searching behavior has its value in the respect that it is hard to find studies about individual Job-Searching behavior in Korea and it comes up with the necessity for more close attention and intervention on the Job-Searching behavior. Besides, by discovering what kind of factors of the unemployed are helpful in promoting their Job-Searching behavior, we can use them as basic data to develop and supplant employment-related programs To reach the aim of this study indicated above, this research analyses the relation between the Job-Searching behavior and Job-Search Self-Efficacy, Employment Commitment, Emotional Control, Motivational Control, Social Support, Financial Hardship, Unemployment Duration which are all reported to have an sizable effect on the Job-Searching behavior in previous studies. For more practical analysis, Q&A investigation concerning the Job-Search Self-Efficacy, the Employment Commitment, the Emotional Hardship, the Unemployment Duration was undertaken at the 5 Employment Security Centers in Seoul. 20 to 50 year-old people who receive the unemployment benefit from the government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as subject. And the measurement of Job-Searching behavior is limited in March. A total of 161 cases were involved in the practical analysis. This result was analyzed by Cronbach alpha, Descriptive Statistic, t-test, ANOVA, Correlation, Bivariat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The following is a brief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First, relations between the Job-Searching behavior and the general characters of the subjects are found. The difference in the Job-Searching behavior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and the difference in Job-Searching behavior among the Employment Security Centers are valuable statistically. To put it concretely, there is a difference in Job-Searching behavior between the people entitled to the unemployment benefit at th Song-Pa Employment Security Center and those at the Kwan-Ak Employment Security Center, Gum-Chun Employment Security Center. And there is a definite Job-Searching behavior difference between the graduate school graduates and the college graduates.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es of Job-Searching behavior and each variable, the Employment Commitment, the Emotional Control, the Motivational Control and the Financial Hardship are closely related to the Job-Searching behavior. The Job-Search Self-Efficacy, the Social Support, the unemployment Duration also prove to have an effect on the Job-Searching behavior. Thirdly, the result of Bivariate Regression Analyses of Financial Hardship and each variable shows the Employment Commitment, the Emotional Control, the Motivational Control, and the Financial Hardship affect the Job-Searching behavior, which is the sam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However, in contrary to the expectation, it shows that the people who have little ability in Emotional Control do their Job-Searching behavior more often. Lastly, to put forward a model for predicting Job-Searching behavi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using all variables including the Job-Search Self-Efficacy, the Employment Commitment, the Emotional Control, the Motivational Control, the Social Support, the financial Hardship and the Unemployment Duration. The result tells three variables, the Employment Commitment, the Motivational Control and the Financial Hardship have a meaningful effect on Job-Searching behavior. That is, the more one puts one's value on work, the better one controls one's motivation for Job-Searching and the worse one's financial condition, the more one is apt to do Job-Searching behavior. When we go into their explanatory power on Job-Searching behavior, the Employment Commitment, the Motivational Control and the Financial Hardship are more effective in that order. As you can see from the above, the unemployed should think highly of work in order to continue their Job-Searching behavior in the first place. Yet, the Descriptive Analysis for the Employment Commitment shows most of the people given unemployment benefit put high value on work.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unemployment must involve detailed plan, which connect Job-Searching behavior into real reemployment, rather than demand only the strict proof for Job-Searching behavior. Like foreign countries, government-backed job consultation,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for unemployment people to have continuous Job-Searching Motivation under the oppression of their Jobless. Now that the Job-Searching behavior is influenced by individual's financial condition, the differentiation in Job-Searc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financial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ir effort to create new jobs in proportion to the demand in labor market to promote individuals' Job-Searching behavior into reemployment. ;구직행동은 실직이 개인 및 가족에게 미치는 경제적, 정서적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재취업의 예측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구직자들이 실직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새로운 직업 수요를 찾아야 하고 익숙하지 않는 구직행동을 하는 것은 실제로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실업자들이 구직행동을 지속적으로 도울 수 있는 실업 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는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들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개인적 차원에서의 구직행동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고, 개인의 구직행동에 대한 관심과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실업자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구직효능감, 일몰입, 동기조절, 정서조절, 사회적지지, 재정곤란, 실업기간과 구직행동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제적인 분석을 위해 서울시내 5곳의 고용안정센터에서 20~50세까지의 실업급여 수급권자들을 대상으로 구직효능감, 일몰입, 동기조절, 정서조절, 사회적지지, 재정곤란, 실업기간에 대해 설문조사 하였다. 구직 행동은 측정은 3월 한달 동안으로 한정 시켰다. 실제 분석에 사용된 사례는 총 161부였으며 SPSSWIN을 이용하여 Cronbach a,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단순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들과 구직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용안정센터와 학력에 따른 구직행동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구체적으로 송파고용안정센터와 관악고용안정센터, 금천고용한정센터의 실업급여 수급권자들의 구직행동에 차이가 있었고, 대학원 졸업과 대학졸업자들간의 구직행동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구직행동과 각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일몰입, 동기조절, 정서조절, 재정곤란은 구직행동과 유의미한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고, 구직효능감, 사회적지지, 실업기간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구직행동과 각 변수들간의 단순회귀 분석 결과 상관관계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일몰입, 동기조절, 정서조절, 재정곤란은 구직행동과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정서조절은 구직행동과 유의미한 관계 였지만 가설과는 반대로 정서조절 능력이 부족할수록 구직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직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구직효능감, 일몰입, 동기조절, 정서조절, 재정곤란, 실업기간의 모든 변수들을 포함시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몰입, 동기조절, 재정곤란이 구직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즉 일에 대한 가치가 클수록, 구직에 대한 동기를 잘 조절할수록, 재정이 곤란할수록 구직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구직행동에 대한 설명력은 일몰입, 동기조절, 재정곤란 순으로 영향력이 컸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업자들이 구직행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먼저 일에 대한 가치를 소중하게 갖는 것이 중요한데 일몰입에 대한 기술분석 결과 실업급여 수급권자들은 대부분 일에 대한 가치를 높게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행 실업인정제도에서의 구직행동에 대한 엄격한 증명에 대한 요구보다 구직행동이 실제 재취업으로 연결될 수 있는 세부적인 계획등도 구직행동으로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외국의 경우처럼 구직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속에서 구직 동기를 지속적으로 갖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 교육, 훈련이 필요하며, 재정상황에 따라 구직 행동이 영향을 받으므로 이에 따른 구직행동의 차별화도 고려되어야 한다. 덧붙여 개인적 차원에서의 구직행동이 재취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노동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정부차원에서의 고용창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