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고등학교 특별활동에서의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특별활동에서의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uthors
남상미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은 성인과는 달리 봉사의 교육적 측면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 최근 청소년들의 자원봉사가 의무화되어감에 따라 각 학교에서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한 봉사클럽이 실시되고 있으나, 봉사클럽의 실시에 반해 클럽담당교사가 적절한 봉사프로그램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회적인 활동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현재 학교 봉사클럽들이 안고 있는 자원봉사프로그램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선행연구에 의하면, 단지 지식중심의 교육에서 실천을 중시하는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교육적 효과, 즉 이타적 동기, 사회적 책임성, 지연사회에 대한 이해,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반드시 요구된다는 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특별활동 담당교사와의 연계를 통해 의뢰된 청소년봉사클럽을 대상으로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이론에 입각한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을 계획 및 실시하고, 프로그램 실시 후 효과성을 측정하므로써 보다 체계적인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회사업실천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서울시 한 고등학교의 Y-teen 자원봉사학생 36명을 대상으로 3월 30일 ~ 5월 4일까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총 6회의 진행으로 이루어졌다. 본 프로그램의 개발틀은 ‘봉사학습’의 순환적인 준비-실행-평가의 3단계에 준비단계를 좀 더 세분화하여 문제확인, 배경조사, 훈련의 과정으로 나누어지고, 실행, 평가단계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틀에 맞추어 본 프로그램의 내용은 개입목표에 맞도록 구성되었다. 1회 프로그램은 성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지도자와 성원간의 관계형성, 자원봉사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 및 봉사활동참여에 대한 동기유발을 위해 진행되었다. 2회 프로그램은 문제확인단계로 문제 및 쟁점 논의 및 다양한 해결책의 구상, 선택을 위해 지역사회 내 재가어르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재가어르신에 대한 쟁점을 논의하며, 재가어르신 대하는 태도 및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3회 프로그램은 배경(쟁점)조사단계로 실제로 어르신 방문을 통해 재가어르신과의 Rapport 형성하게 되고, 재가어르신의 서비스 중복여부를 조사하며, 이와 아울러 재가어르신의 생활의 어려움 및 욕구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4회 프로그램은 훈련단계로 우선 봉사학습(Service-Learning)개념의 이해를 도모하였고, 이를 기초로 ‘준비-실행-평가’ 과제수행을 위한 봉사활동계획서를 작성하게끔 하였다. 5회 프로그램은 실행단계로 재가어르신을 방문하여 그동안 봉사활동을 계획하고 준비한대로 실행하도록 하였다. 6회 프로그램은 평가단계로 활동에 대한 평가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집단성원들의 봉사 활동 동기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의 이타성과 사회적 책임성,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켰는지 여부에 대한 측정은 프로그램 실시대상인 Y-teen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동일한 구조를 지닌 봉사클럽 YFC를 통제집단으로 하여 사전사후 비교설계를 통해 이루어졌고, 이와 아울러 집단과정분석을 통해 집단과정을 살펴보며, 집단전체의 흐름과 세부목표달성정도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구조는 본 연구자가 직접 계획하고 강의하였고, 이때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동안 아무런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으며, 사전사후 실험통제집단 검사를 통한 자료는 SPSS/Win으로 처리하며,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결과 본 프로그램으로 교육받은 실험집단의 이타적 동기 및 사회적 책임성, 지역사회의 이해와 관심,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는 프로그램 실시 전 조사와 실시 후 조사에서 통제집단과는 달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2)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조평가를 통해 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효과적이었다. 즉, 실험집단이 프로그램 내용을 통해 봉사정신,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심을 배울 수 있었고 어르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으며, 이런 프로그램이 있다면 또 참여하겠냐는 질문에는 ‘참여하겠다’가 92%로 나타남으로써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프로그램 횟수와 소요시간 면에서는 횟수는 적당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대다수였으나 시간 면에서는 부족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위의 연구결과와 같이 ‘봉사학습’접근 방식에 따른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다시 한번 증명하면서, 본 자원봉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입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학교 봉사클럽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로 제시될 수 있겠다. 이와 아울러 청소년들에게 보다 의미있고 효과있는 봉사활동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청소년 클럽을 위한 자원봉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봉사학습’이론에 입각하여 다른 청소년 봉사활동 영역들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Unlike adults, to teenagers, the educational aspect of volunteer activity should be emphasized, which signifies the role of the school. As more schools are adding volunteer activities to their compulsory class list, many schools have organized volunteer clubs as part of their extra-curriculum class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club teachers are merely providing one-time activities failing to provide sufficient continuous volunteer programs. In order to complement the current volunteer programs at schools, a wider range of systematic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focus of these programs needs to shift from a mere knowledge-oriented education to an activity-oriented education of 'Service-Learning'. In other words, these programs need to emphasize the enhancement of altruistic motivation, social responsibility,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interpersonal skills. In this aspect, this study aims to plan and implement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Service-Learning theory, develop a systematic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program by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action, and provide a basic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s by working with extra-curriculum teachers and a teenager volunteer club. The program involved 36 teenagers from the Y-teen volunteer club of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was conducted from Mar. 30 to May 4 2000 over a total of six sessions. The development framework of the program basically follows a cyclical three-step process of 'preparation-action-reflection(evaluation)'. However, the preparation step was broken down in more detail into problem identification, background investigation, and training. The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is framework to meet the intended goal of the study. The first session was focused on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buil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er and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need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the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The second session, the problem identifying stage, was designed to help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enior citizens in the community, discuss issues related to them, and acquire interpersonal skills and a proper attitude with an ultimate aim of discussing problems and points of issues and generate and choose problem solutions. In the third session, or the background fact-finding stage, the participants visited senior citizens to develop rapports, investigate whether they are receiving duplicated services, and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everyday life and their wants and needs. The forth session, of the training stage,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ervice-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expected to create a volunteer activity plan based on the 'preparation-action-reflection(evaluation)' framework. During the fifth session, or the service action stage, the participants visited the senior citizens to actually carry out the volunteer activity as planned. The sixth session, or the reflection(evaluation) stage, was arranged to evaluate their activities and strengthen their motivation towards volunteer work. An assessment was carried out to gauge the development of altruism, social responsibility,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interpersonal skill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he assessment was made by dra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the Y-teem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a similar volunteer club named YFC,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In addition, the group process was analyzed using the group process analysis method, and the overall flow of the group activities and the achievement of the detailed goals were evaluated. The programs were planned and conducted by the researcher. During the same period,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similar programs.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processed using SPSS/Win, and frequency, percentage and the t-test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e program analysis. 1)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of the program concluded tha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altruistic motivation, social responsibility,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the community,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interpersonal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content and structure show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following aspects. The experiment group enhanced their spirit of volunteerism,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understanding of senior citizens through the program.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also surveyed with 92% of the respondents answering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a similar program if they had the opportunity in the future. A major portion of the participants also responded that the number of sessions was appropriate, but the time should be increased. As seen in the result above, this study reconfirmed the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programs tha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ervice-Learning method, and proved the intervention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Therefore, this program could serve as a model for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be used at schools for volunteer clubs. In addition, the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program provided a more effective volunteer activity for teenagers.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e study stated above, more education programs and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Service-Learning' method should be developed for teenager volunteer activities in other areas as well in order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